#1. ‘편의점에서 파는 1만원 이내 재료로 위스키 칵테일을 만들어라.’ 조니워커와 윈저를 판매하는 위스키업체 디아지오가 올해 한국에서 전 세계 바텐더들의 올림픽 ‘월드클래스’를 열면서 던진 주제다. 고급 술의 대명사인 위스키가 편의점 제품을 기반으로 세계 대회를 펼친다는 점에서 업계에 파장이 컸다.
#2. 저도주 위스키 돌풍을 이끌어온 골든블루는 지난 18일 주력 제품인 ‘팬텀 디 오리지널’ 가격을 10% 인하했다. 가격을 낮춰 20~30대 소비자를 더 끌어들여 위스키 대중화에 앞장서겠다는 취지다.
위스키 시장이 10년째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업계가 몸부림을 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위스키 판매량은 2008년 대비 거의 반토막 났다. 출고량은 2008년 286만 상자(9L 기준·500mL 18병)에서 지난해 158만 상자로 감소했다. 40도 미만의 저도 위스키 시장은 성장했지만 정통 위스키 판매량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100만 상자 밑으로 떨어지며 전체 시장이 줄었다. 업체들이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이유다.
◆10년째 내리막길 “끝이 안 보여”
위스키 시장 위축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시작됐다. 기업들이 접대비를 줄이면서 유흥업소가 타격을 입었다. 2016년 부정청탁금지법(김영란법) 시행으로 술자리는 더 사라졌고, 지난해부터 거세진 ‘혼술’ 열풍과 수입맥주 공세도 악재가 됐다. ‘미투 열풍’과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기업 회식 문화마저 급격히 위축되면서 위스키업체들의 위기감은 더 커지고 있다.
페르노리카코리아(임페리얼)와 디아지오코리아는 자구 노력의 일환으로 차례로 본사를 서울 강북으로 옮기며 ‘강남 시대’의 막을 내렸다. 청담동 플래그십스토어인 조니워커하우스도 5년 만에 문 닫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위스키가 흥청망청 마시는 접대 문화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새롭고 신선한 이미지를 전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소용량, 저도주 등을 내세우고 있지만 쉽지 않은 시장이 됐다”고 말했다.
◆저도주에 20대 소비자 잡기
위스키업체들은 수년째 위기 탈출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 과거 40~50대 남성이 주 타깃이었다면 20~30대 젊은 층으로 타깃층도 확대했다. 독주를 기피하는 젊은 층을 위해 저도주 제품을 늘린 게 대표적이다. 2009년 골든블루가 내놓은 저도주가 시장에서 잘 팔리자 디아지오와 페르노리카, 윌리엄그랜트앤선즈 등 위스키 명가들도 저도주를 내놨다.
소용량 위스키도 등장했다. ‘홈술(집에서 마시는 술)’이나 혼술 열풍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디아지오는 2016년부터 조니워커 레드와 블랙 등 200mL 소용량 제품을 판매 중이다. 싱글몰트 위스키 맥캘란도 저용량 4종을 판매하고 있다. 20대가 열광하는 웹툰과 협업해 위스키 브랜드를 알리는 판촉도 등장했고 핵심 상권 팝업 스토어, 영화관 마케팅 등도 벌이고 있다.
◆맥주·전통주로 사업 확대
위스키업체들은 맥주, 전통주로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디아지오는 기네스 등 맥주를 취급하고 있다. 골든블루는 지역 특산주 회사인 오미나라와 협약을 맺고 전국 판매에 나섰다. 칼스버그 맥주의 수입 유통도 시작했다. 면세점 판매와 함께 해외수출팀도 신설했다. 윌리엄그랜트앤선즈는 작년 말 베트남에 그린재킷을 수출했다.
업계는 2008년 이후 위스키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일본을 주목하고 있다. 일본 젊은 층은 기존의 음주 문화에서 탈피해 위스키와 레몬, 탄산수 등을 혼합해 만드는 칵테일 ‘하이볼’을 대중적인 술 문화로 만들었다. 위스키보다 알코올 도수가 낮고 생맥주보다 가격도 낮다. 글렌피딕은 이를 벤치마킹해 전국 100여 곳 레스토랑에 글렌피딕 하이볼을 선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도 경기 침체가 지속되던 약 20년간 위스키 수요가 줄었다”면서 “전망은 어둡지만 새로운 소비 문화를 선보이는 게 지금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국민 횟감’ 광어와 우럭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지난해 여름철 폭염으로 양식장에 있던 물고기들이 집단 폐사하면서 시장에 내다 팔 물량이 부족해진 탓이다. 올 가을은 돼야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9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 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1월 우럭 도매가격은 ㎏당 1만7900원으로, 전년 동월(1만1650원) 대비 55.0% 뛰었다. 이달에도 작년 같은 달(1만1250원)보다 55.6% 오른 ㎏당 1만7500원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광어 가격도 ‘우상향’이다. 올 1월 광어 도매가격은 ㎏당 1만8475원으로, 1년 전(1만5560원)보다 18.7% 상승했다. 이달엔 ㎏당 1만8000원으로 1년 전(1만594원)보다 19.3% 뛸 것이란 게 KMI의 예상이다. 경기 침체로 수산물 소비가 줄어들었는데도 가격이 뛴 것은 공급량이 크게 줄어서다. 지난달 우럭 출하량은 827t으로 지난해 같은 달(1352t)보다 38.8% 급감했다. 이달 출하량도 950t으로 작년 같은 달(1207t)보다 21.4%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광어 출하량도 3000t으로 지난해 같은 달(3195t) 수준을 밑돌 것으로 예측됐다. 시장에 공급되는 물량이 줄어든 것은 작년 여름철 무더위 영향이 크다. 유례없는 폭염으로 바다마저 뜨거워지면서 양식장에 있던 우럭과 광어가 집단 폐사해 겨울철까지 수급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여름철(6~8월) 전국 평균기온은 25.6도로, 1973년 이래 가장 높았다. 해수면 온도도 23.9도로 최근 10년(2015~2024년) 중 가장 더웠다. 특히 8월에는 맑은 날이 많아 일사량도 늘면서 평균 해수면 온도가 28.3도까지 상승했다. 양식장은 고수온의 직격탄을 맞았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
KGC인삼공사는 정관장의 건강음료 브랜드인 ‘홍삼원’의 연간 매출이 지난해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고 18일 밝혔다. 1988년 출시된 홍삼원은 깊고 진한 홍삼의 풍미에 계피, 대추, 생강, 구기자 등 성분을 담았다. 영지버섯과 녹용을 더한 ‘홍삼원기’, ‘홍삼원 골드’ 이외에 지난해 새롭게 출시한 제로(0) 칼로리 제품인 ‘홍삼원 딜라이트’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해외 시장 공략에 성공한 ‘수출 효자’ 상품이기도 하다. 지난해 매출 1032억원 중 약 54%인 555억원이 해외에서 나왔다. 지난해에는 중국(158%)을 비롯해 동남아시아(144%), 일본(122%), 미국(116%) 등지서 전년 대비 매출이 크게 늘었다.홍삼원이 글로벌서 높은 인기를 누리는 건 현지 맞춤형 전략 덕분이다. 홍삼원은 한국서 8종, 해외서 26종이 팔린다. 미국에서 홍삼원은 ‘카페인 없는 프리미엄 에너지 드링크’로 잘 알려져있다. 주 소비층은 30대 남성으로 남부와 중동부 지역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2015년 코스트코에 처음 입점해 현재 약 140개 매장에서 팔린다. 일본에서는 40대 여성들이 피로 관리를 위해 홍삼 함량이 높은 ‘홍삼원 플러스’를 많이 구매한다. 동남아에는 2018년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도 수출하고 있다.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워렌 버핏이 주식을 팔고 현금을 축적하는 동안,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은 1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현금을 보유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월간 펀드 매니저 설문 조사 결과 전세계 펀드 매니저의 2월 포트폴리오에서 현금 보유 비중은 2월에 3.5%로 떨어졌다. 이는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뱅크오브 아메리카는 매도 신호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현금 보유량이 4% 이하로 떨어지면 매도 신호가 발생하고 현금 보유량이 최소 5%에 도달하면 매수 신호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자산 4,820억 달러를 운용하는 205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이 설문조사에서 34%의 참여자는 올해 글로벌 주식이 가장 수익률이 높은 자산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또 11%는 채권에 대해 비중축소라고 밝혔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전략가 마이클 하트넷은 투자자들이 “주식은 매수, 나머지는 매도”상태라고 적었다. 그는 이 같은 강세 심리가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와 강력한 경제 성장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응답자의 89%는 미국 주식이 과대 평가 됐다고 답했다. 이는 2001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주식 배분과 세계 경제 성장 예측을 포함한 보다 광범위한 투자자 심리 지표가 1월의 6.1에서 2월에 6.4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2월에 매니저들은 부문별로는 유로존 주식, 채권, 방어적 부문에 대한 배분을 늘리고 기술주와 은행에 대한 배분을 줄였다. 투자자들이 보는 소프트 랜딩 확률은 5개월 만에 처음으로 50%에서 52%로 상승했다. 하드 랜딩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