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도 카드 납부 받아라"… 금감원, 보험사에 강력 주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기 카드결제율 3.5% 그쳐
생보사 24곳 중 22곳 '제한'
생보사 24곳 중 22곳 '제한'
금융당국이 보험사에 신용카드 결제를 늘리라고 압박하고 나섰다. 하지만 보험사들은 카드 수수료율을 획기적으로 낮추지 않으면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생명·손해보험협회를 통해 보험사의 보험료 카드 결제 현황 및 부당운영에 대한 개선 대책을 수립해 다음달 말까지 보고하라고 주문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카드 결제 비율뿐 아니라 카드 납부를 받는 상품에서도 결제가 불편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며 “보험사들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한 뒤 다음 단계를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보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으로 생보사 보험료 카드 결제율(2회 납입 이후)은 3.5%에 불과하다. 최흥식 전 금감원장이 카드 결제 확대를 강력 주문한 지난해 9월(3.3%)과 비교해도 거의 차이가 없다. 24개 생보사 중 9곳은 보험료 카드 납부가 불가능하다. 삼성·한화·교보 등 ‘빅3’ 생보사조차 첫 보험료를 제외하면 카드 결제를 할 수 없다. 카드 납부가 가능한 다른 보험사도 대부분 인터넷과 전화 채널에 국한된다. 이처럼 카드 납부에 제한을 둔 생보사는 전체 24곳 중 22곳에 달한다.
보장성보험이 주력인 손보사는 대부분 보험료 카드 납부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카드 납부를 희망하는 고객이 매달 고객센터나 지점에 연락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앞서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도 보험료를 낼 때 카드 사용을 확대하는 내용의 보험업법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보험사들은 현재 평균 2.2%인 카드 수수료율이 최소 1% 이하로 내려가야 보험료 카드 결제가 정착될 수 있다고 항변하고 있다. 보험료는 카드 미결제 가능성이 매우 낮은데도 높은 수수료율을 부과하고 있다는 것이 보험업계의 생각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보험료에 대해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하면 보험 소비자의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며 “적정 수수료율 수준에 대한 합의가 없으면 카드 사용 확대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생명·손해보험협회를 통해 보험사의 보험료 카드 결제 현황 및 부당운영에 대한 개선 대책을 수립해 다음달 말까지 보고하라고 주문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카드 결제 비율뿐 아니라 카드 납부를 받는 상품에서도 결제가 불편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며 “보험사들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한 뒤 다음 단계를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보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으로 생보사 보험료 카드 결제율(2회 납입 이후)은 3.5%에 불과하다. 최흥식 전 금감원장이 카드 결제 확대를 강력 주문한 지난해 9월(3.3%)과 비교해도 거의 차이가 없다. 24개 생보사 중 9곳은 보험료 카드 납부가 불가능하다. 삼성·한화·교보 등 ‘빅3’ 생보사조차 첫 보험료를 제외하면 카드 결제를 할 수 없다. 카드 납부가 가능한 다른 보험사도 대부분 인터넷과 전화 채널에 국한된다. 이처럼 카드 납부에 제한을 둔 생보사는 전체 24곳 중 22곳에 달한다.
보장성보험이 주력인 손보사는 대부분 보험료 카드 납부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카드 납부를 희망하는 고객이 매달 고객센터나 지점에 연락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앞서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도 보험료를 낼 때 카드 사용을 확대하는 내용의 보험업법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보험사들은 현재 평균 2.2%인 카드 수수료율이 최소 1% 이하로 내려가야 보험료 카드 결제가 정착될 수 있다고 항변하고 있다. 보험료는 카드 미결제 가능성이 매우 낮은데도 높은 수수료율을 부과하고 있다는 것이 보험업계의 생각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보험료에 대해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하면 보험 소비자의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며 “적정 수수료율 수준에 대한 합의가 없으면 카드 사용 확대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