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비 월시 교수 "AI 무기화하면 핵보다 더 큰 파괴력… 국제적 금지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컴퓨터과학자 토비 월시 교수
“인공지능(AI)을 무기화한다면 화학무기, 핵무기 같은 대량살상무기보다 더 큰 파괴력을 지니게 될 것입니다. 무기화가 이뤄지기 전에 이를 금지하는 국제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컴퓨터 과학자인 토비 월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사진)는 지난 4월 세계 29개국 AI 전문가 57명과 함께 KAIST와의 연구 교류를 중단하겠다는 보이콧 선언을 했다. KAIST가 한화시스템과 함께 세운 국방AI융합연구센터를 통해 AI의 무기화를 추진한다는 이유에서였다.
KAIST는 곧바로 신성철 총장 명의로 오해라고 밝혔다. 인간의 통제력이 결여된 자율무기 개발을 포함해 인간 존엄성에 어긋나는 연구활동을 수행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후 월시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 57명은 보이콧 선언을 철회했다.
KAIST가 21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주최한 세미나에 참석한 윌시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류가 AI기술을 살인무기로 만들지, 전체 인류에게 유익한 기술로만 활용할지 결정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에 와 있다”고 말했다. 무기 역사에서 1차 혁명이 화약무기 발명, 2차 혁명이 핵무기 개발 혁명이었다면 전장 상황을 또다시 바꿀 3차 혁명은 AI의 무기화라는 것이다.
그는 “인간 통제와 결정 바깥에 있는 AI가 무기에 사용된다면 어린이, 여성 같은 특정 목표만을 목표로 하거나 무차별로 인간을 살상하는 테러용 무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AI가 한번 무기로 사용되기 시작하면 급속히 확산되는 건 시간문제여서 화학무기금지협약이나 핵확산방지조약 같은 수준의 규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월시 교수는 자신과 다른 AI 전문가들이 한때 KAIST에 연구교류 중단을 선언한 것은 KAIST가 그만큼 세계적 연구대학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KAIST가 AI의 무기화에 반대한다는 뜻을 명확히 밝힌 점은 국제적으로 상징성이 강하다”고 평가했다. “구글 엔지니어들이 (구글과) 미국 국방부의 (AI 관련) 프로젝트를 반대한 것보다 한발 앞서 대처했다는 점에서 향후 유엔 등에서 진행될 논의에 좋은 선례를 남겼다”고 덧붙였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컴퓨터 과학자인 토비 월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사진)는 지난 4월 세계 29개국 AI 전문가 57명과 함께 KAIST와의 연구 교류를 중단하겠다는 보이콧 선언을 했다. KAIST가 한화시스템과 함께 세운 국방AI융합연구센터를 통해 AI의 무기화를 추진한다는 이유에서였다.
KAIST는 곧바로 신성철 총장 명의로 오해라고 밝혔다. 인간의 통제력이 결여된 자율무기 개발을 포함해 인간 존엄성에 어긋나는 연구활동을 수행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후 월시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 57명은 보이콧 선언을 철회했다.
KAIST가 21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주최한 세미나에 참석한 윌시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류가 AI기술을 살인무기로 만들지, 전체 인류에게 유익한 기술로만 활용할지 결정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에 와 있다”고 말했다. 무기 역사에서 1차 혁명이 화약무기 발명, 2차 혁명이 핵무기 개발 혁명이었다면 전장 상황을 또다시 바꿀 3차 혁명은 AI의 무기화라는 것이다.
그는 “인간 통제와 결정 바깥에 있는 AI가 무기에 사용된다면 어린이, 여성 같은 특정 목표만을 목표로 하거나 무차별로 인간을 살상하는 테러용 무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AI가 한번 무기로 사용되기 시작하면 급속히 확산되는 건 시간문제여서 화학무기금지협약이나 핵확산방지조약 같은 수준의 규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월시 교수는 자신과 다른 AI 전문가들이 한때 KAIST에 연구교류 중단을 선언한 것은 KAIST가 그만큼 세계적 연구대학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KAIST가 AI의 무기화에 반대한다는 뜻을 명확히 밝힌 점은 국제적으로 상징성이 강하다”고 평가했다. “구글 엔지니어들이 (구글과) 미국 국방부의 (AI 관련) 프로젝트를 반대한 것보다 한발 앞서 대처했다는 점에서 향후 유엔 등에서 진행될 논의에 좋은 선례를 남겼다”고 덧붙였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