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4월17일 경찰법과 경찰관직무집행법이 피해자보호·지원업무를 명시한 내용으로 개정되면서 피해자 보호·지원업무가 명실상부한 경찰의 업무로 규정됐다. 그렇다면, 법률에 명시된 업무에 따른 예산도 실질적인 분야 만큼 경찰청에서 직접 요구하고 사용 할 수 있는 법률적 체계가 이뤄져야 한다. 실질적인 피해자 보호·지원이 될 수 있도록 각 기관에서 허심탄회하게 국민과 피해자만을 생각하는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빨리 가려거든 혼자 가고, 멀리 가려거든 함께 가라”는 아프리카 속담과 “물 들어올 때 노 젓 는다”라는 우리 속담도 있다. 이는 모든 일은 혼자 보다는 더불어 해야 하고, 일에는 때가 있다는 뜻일 것이다. 법 개정에 따라 피해자 지원 예산의 배정 지원체계가 개선되었으면 하는 것은 나 혼자만의 바램일까.
지난주 관내에 피해자가 발생해 지원 상담을 위해 뛰어다니던 중 피해자 가족 한 분과 상담한 적이 있다. 그가 아내의 피해를 떠올리면서 고통스런 얼굴로 절실한 지원을 물을 때 명쾌한 답변 보다 "지원을 검토하겠다" "연계 의뢰하겠다"고 말을 전하며 막막함과 무기력함을 느꼈다.
그러면서 무심코 흘리는 눈물을 닦도록 옆에 있던 티슈 한 장 건네면서 번뜩이는 생각이 있었다. 그것은 아! 뽑아 쓰는 티슈처럼 피해자의 치료비 등 경제적 지원을 이처럼 간편하고, 꼭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생각했다.
지난해 경찰교육원에서 피해자 지원 심화과정을 교육받던 당시 경찰청 심리학 전공 교수가 하던 말 중에 “피해자가 고통을 호소하고 절실한 지원에 목말라 할 때 너무 달래려 하지 말라. 그럴 때는 차라리 옆에 있는 티슈라도 조용히 건네고 아픔을 달래주는 것이 한결 낫다”라는 말의 의미가 새삼 이해됐다.
모름지기 피해자에 대한 지원이란 피해 당사자가 가장 절실한 시기에 꼭 필요한 도움과 지원을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피해를 당한 초기에 경제적 지원을 해주고, 주거지 또는 정상생활 복귀를 위한 신속한 노력과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경찰청에서는 2015년 2월 피해자보호 원년을 선포했다. “상투적 접근이 아닌 피해 회복과정에의 동반자, 동행론” “타 기능 지원에서 소외되는 피해자가 없도록 보호하는 그물망, 조직론” “피해자, 경찰관, 지원 단체를 잇는 소통의 징검다리, 마중물론” “통계관리, 정책 제언을 통한 국가정책 수립의 씨앗, 역할론”이라는 기본 목표를 세우고 지원활동을 펼쳐왔다.
현재 전국 경찰관서에서 피해자전담관 278명이 혼신의 힘을 다해 매일 발생되는 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하고 있다. 경찰청은 법무부에서 편성한 예산을 가져다 쓰는 체계이다. 물론 소중한 예산을 티슈, 휴지처럼 쓰자는 것은 아니다. 재 법무부장관에서 총리 산하로 격상 추진 중인 범죄 피해자 보호위원회의 실무위원회를 법무부와 경찰청에 각각 두고 예산 사용 권한을 분산 위임하면 될 것이다.
피해자의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경찰에 예산 사용의 권한이 주어진다면 지원이 필요한 절실한 피해자에게 쉽게 뽑아 쓰는 티슈처럼 피해자의 고통과 눈물을 닦아 줄 꼭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할 수 있다. 물론 부처간 이해 관계로 어렵겠지만, 반드시 시행이 필요하며 예산 관련 법규체계의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
서울에서 엿새째 영하권의 강추위가 계속되면서 수도 계량기 동파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8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부터 이날 오후 4시까지 서울에서 수도 계량기 동파 사고는 50건 발생했다. 7일 오후 4시∼이날 오전 4시까지 16건에 이어 이날 오전 4시∼오후 4시에 34건의 동파 신고가 접수됐다.서울에 한파특보가 발효된 지난 3일부터 누적된 계량기 동파는 총 265건이다. 현재 모두 복구를 마친 상태다. 수도관 동결 피해는 없었다.한랭 질환자는 지난 6일 1명에 이어 이날 1명이 추가로 나왔다.서울시는 한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근무 69개 반 237명, 순찰 인원 173명 규모의 한파상황실을 운영 중이다.이날 오후 8시 현재 서울은 서북권과 동북권에 한파주의보가 유지되고 있다. 동남권과 서남권은 한파주의보가 앞서 해제됐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계몽령'에 빗대며 "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탄핵하고 행정부와 국가 시스템을 마비시키려는 민주당이 바로 내란의 주체"라고 주장했다.8일 개신교계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동대구역 광장에서 주최한 윤 대통령 탄핵 반대 국가비상기도회에 참석한 전 씨는 "감추어졌던 언론의 행보, 법치와 공정, 상식을 무너뜨린 공수처와 (서울)서부지법, 편파 재판부로 구성된 헌법재판소의 실체를 알려준 계몽령"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지난주 50%를 넘었고 이런 집회를 통해 곧 60%에 도달할 것"이라며 "국민들의 60%가 대통령의 즉시 석방과 직무 복귀를 말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재판관들이 국민의 뜻을 거역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날 집회에는 경찰 추산 5만200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윤 대통령 탄핵을 반대한다는 팻말을 들고 동대구역 광장을 메웠다. 대구·경북을 지역구로 둔 국민의힘 윤재옥, 이만희, 강대식, 정희용 국회의원 등도 모습을 보였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제주 카지노에서 발생한 '145억원 증발 사건' 주범이 4년여 만에 법정에 선 가운데 경찰이 수사 초기 압수한 134억원이 어떻게 처리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8일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이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회수한 오만원권 현금 134억원 가운데 54억원은 제주지역 모 은행 금고에 보관돼 있다. 나머지 80억원은 검찰에 증거물로 제출했다.134억원은 2021년 1월부터 4년여간 은행에 보관돼 이자 수익은 5000여만원(금리 연 0.1%)에 그칠 전망이다. 26만8000장에 이르는 오만원권은 경찰의 압수물로 보관만 가능해 시중 금리 적용이 안 된다. 발생한 이자는 국고금 관리법에 따라 추후 국고로 귀속된다.돈은 수사가 완전히 끝나야 주인을 찾게 될 전망이다. 랜딩카지노 운영사인 람정엔터테인먼트는 회삿돈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람정엔터테인먼트 본사 홍콩 랜딩인터내셔널의 종속회사인 골든하우스 벤처스는 이 중 128억원의 소유를 주장하며 검찰을 상대로 '돈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했지만 2023년 3월 최종 패소했다.대법원은 "골든하우스 벤처스가 128억원에 대한 제출인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고 돈 전액의 소유자인지도 다툼이 있어 추가 수사가 필요한 사정 등을 종합하면 검찰이 압수물 환부를 거부할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판시했다.이 돈의 자금 출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거나, 정당한 돈이 아닐 경우 기소 이후 법원의 확정판결을 통해 국고로 환수할지 주인에게 돌려줄지 결정된다.앞서 람정엔터테인먼트는 2021년 1월4일 카지노 내 VIP 금고에 보관 중이던 회삿돈 한화 현금 145억6000만원이 사라진 사실을 확인, 이를 관리하던 중국계 말레이시아 국적의 임원 A(59·여)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