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역의 수온 상승에 따라 한류성 어종인 명태 어획이 거의 불가능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기후(수온) 변화에 다른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 보고서를 보면 국내 어선이 연근해 어업으로 잡은 명태량은 1986년 4만6890t에서 작년 1t으로 급감했다. 동해안 해역 수온이 상승하면서 명태가 북태평양으로 이동한 데다 어린 치어(노가리) 남획으로 자원량이 부족해져 2000년부터 어획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명태와 마찬가지로 한류성 어종인 꽁치 어획량도 크게 줄었다. 꽁치 어획량은 1975년 2만5958t이었으나 작년엔 757t에 그쳤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 주변 표층 수온은 최근 50년 사이 1.12도 높아져 상승폭이 세계 평균(0.52도 상승)의 2.2배에 달했다.

반면 난류성 어종은 어획량이 늘어난 사례가 눈에 띄었다. 고등어류는 1970년 3만6256t에서 2017년 11만5260t으로, 멸치는 같은 기간 5만4047t에서 21만943t으로 증가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