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이후 정당 지형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방선거 압승으로 질주하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민생 악화’로 급격한 내림세를 보인 반면 ‘진보’ 프리미엄을 이어받은 정의당이 처음으로 두 자릿수 지지율을 얻었다. 보수정당 약세는 지속됐다.

민주당 지지율 50%대 붕괴… 민생 악화 '與 책임론' 본격화?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25∼27일 전국 성인 남녀 1501명을 조사해 28일 발표한 정당지지율(95% 신뢰수준에 ±2.5%포인트 표본오차)에 따르면 정의당 지지율은 5주 연속 상승한 10.1%로 집계됐다. 2012년 10월 창당 이래 최고치다. 정의당 측은 “남북 평화 문제는 문재인 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등의 노동 현안은 정부·여당과 각을 세우면서 지지층이 넓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의당 약진은 민주당 지지율 하락에 따른 반사효과가 크게 작용했다. 지난주 54.1%였던 민주당 지지율은 1주일 새 6.3%포인트 하락하며 50% 아래(47.8%)로 추락했다. 리얼미터는 “위장평화론을 앞세웠던 자유한국당에 대한 민심 이반이 줄고, 민생·경제 등에 대한 ‘여당 책임론’이 본격화된 것이 이유”라고 분석했다. 이 결과 민주당에서 이탈한 일부 지지층이 정의당으로 집결해 수도권과 부산·경남(PK), 20대, 진보·중도층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상승세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정의당 지지율이 급상승하면서 제1 야당인 한국당과의 격차는 8.2%포인트 차로 좁혀졌다. ‘113 대 6’ 이라는 두 당의 국회 의석수 격차를 감안하면 지방선거 이후에도 보수정당에 대한 심판은 계속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보수정당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 탓에 ‘지지율 5%’ 벽에 갇힌 바른미래당은 줄곧 외쳐오던 ‘개혁 보수’ 대신 ‘합리적 진보’로 노선을 틀며 ‘보수 포비아’를 극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새 원내지도부를 꾸린 바른미래당은 아예 당의 이념적 지향성을 ‘합리적 진보’라고 명명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지난 26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바른미래당을 개혁보수 세력으로 규정하려는 분들이 있는데 그건 우리가 갈 길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정치적 기반인 호남에서도 저조한 성적을 거둔 민주평화당은 2% 지지율이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들 정치 성향이 진보로 기운 것이 아니라 기존 정당에 대한 싫증과 반감이 정의당으로 일부 이동한 것으로 봐야 한다”며 “여당을 포함한 모든 정당이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지 않으면 금세 지형이 바뀔 수 있다”고 관측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