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급이 내려간 지역은 알려줄 수 없습니다.”

[취재수첩] 문체부가 공개한 반쪽짜리 관광정보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주 발표한 2017년 지역관광발전지수 결과를 묻는 질문에 문체부 담당자는 이렇게 답했다. 전체 6개 등급 가운데 1등급을 받은 지역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했음에도 나머지는 알려줄 수 없다는 것이다. 지수 측정 목적이 지역 관광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해 지역에 자가 진단의 참고 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전체 결과를 공개할 경우 지역 간 소모적인 순위 경쟁이 우려된다는 이유도 덧붙였다.

지역관광발전지수는 문체부가 지역별 관광산업의 발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2015년 도입했다. 전국 17개 시·도와 152개 시·군을 대상으로 관광 수용력과 소비력, 정책역량 등 34개 항목 측정 결과에 따라 1~6등급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이번 측정에서 대상 지역의 절반 가까이는 2년 전보다 등급이 올라간 반면 12곳은 등급이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체부는 등급 하락의 주된 이유로 관광 만족도와 홍보·교육 부족을 꼽았다. 그러면서도 이들의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1등급 지역 명단은 국내 여행을 독려하기 위해 공개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입맛에 맞는 반쪽짜리 평가 결과만 앞세워 국내 여행을 장려하고 있다는 의구심을 떨쳐 버릴 수 없는 이유다. 우려스러운 것은 문체부가 공개하지 않은, 이른바 ‘관광 수용 태세가 부족한 지역’에서 ‘바가지 요금’ 등 각종 피해를 보는 쪽은 국내 여행 소비자인 국민이라는 점이다.

국내 여행을 늘리려면 무엇보다 만족도를 끌어올리는 일이 시급하다. 문체부의 여름휴가 실태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5명 이상이 올 7~8월 여름휴가를 떠나고, 이 가운데 82.6%가 국내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여행 비율은 2016년 87.1%, 지난해 83.6% 등 계속 낮아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나 여행·호텔 등 공급자 시각이 아니라 소비자인 국민 입장에서 국내 여행을 늘리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상품이나 서비스도 소비자가 만족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차라리 등급이 낮은 지역에 대한 보완책을 제시하면서 국내 여행을 독려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