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소비자물가 1.5%↑…9개월째 1%대
농축수산물 상승세 둔화, 밥상물가는 주춤…감자 안정, 쌀값은 8개월째 고공행진


국제유가 상승으로 국내 석유류 가격이 크게 뛰며 공업제품·교통 물가까지 들썩이고 있다.

밥상물가를 끌어올렸던 채소와 축산물 가격은 다소 안정되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5% 올랐다.

작년 7∼9월 2%대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월 1%대(1.8%)에 진입하고서 9개월째 1%대에 머물러있다.

이처럼 9개월 연속 2%를 밑돈 것은 2012년 11월∼2016년 12월(4년 2개월) 이후 처음이다.
휘발유ℓ당 최고 2229원… 유가상승에 공업제품·교통물가 들썩
6월 소비자물가 상승에는 석유류 영향이 컸다.

석유류 가격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0% 뛰며 전체 물가를 0.44%포인트 끌어올렸다.

이번 오름폭은 작년 4월(11.7%) 이후 14개월 만에 가장 컸다.

특히 경유는 12.3% 올라 역시 작년 4월(14.1%)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석유류 가격 상승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것이다.

통계청은 국제유가가 통상 2∼4주 시차를 두고 국내 가격에 반영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유가 정보 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3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가격은 ℓ당 1천608.03원이고 최고가는 2천229원이었다.

경유는 평균 1천408.58원, 최고가 2천67원이다.

유가 상승 여파로 공업제품(1.8%)과 교통(4.1%) 물가도 많이 올랐다.

교통비 물가는 작년 5월(4.5%) 이래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휘발유ℓ당 최고 2229원… 유가상승에 공업제품·교통물가 들썩
밥상물가 상승을 이끌던 농·축·수산물 상승세는 다소 꺾였다.

농산물은 6.7% 올라 앞선 5월 상승률(9.0%)에 비해 둔화했다.

채소류 가격은 6.4% 상승해 5월(13.5%)보다 오름폭이 크게 낮아졌다.

축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7.4% 내리며 전체 물가를 0.20%포인트 낮췄다.

농·축·수산물 물가지수 상승률은 1.8%로 올해 1월 -0.6%를 기록한 후 5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달걀은 42.0%, 돼지고기 7.1%, 닭고기 12.7%, 수박 9.6%, 양파 14.9% 각각 하락했다.

특히 5월 가격 상승률이 59.1%였던 감자는 출하량이 늘면서 6월엔 8.1%로 낮아졌다.

재고량이 부족한 쌀은 가격이 1년 전보다 34.0% 뛰었다.

작년 11월(12.5%) 이후 8개월째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생산량이 감소한 낙지 가격도 43.1% 올라 오름폭이 컸다.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4% 올랐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2.0% 올랐다.

전월(4.5%)보다 상승률이 낮아졌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2% 올랐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감자 등 채소 가격 상승세가 둔화했고 축산물, 달걀, 돼지고기, 닭고기 가격도 하락했다"며 "다만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공업제품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요금에선 가사도우미 요금이 1년 전보다 10.7% 올라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올해 3월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요금이 올랐으며, 최저임금 인상과 전반적인 물가 상승 기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외식비는 3개월 연속 상승률 2.7%를 기록했다.

앞으로 유가 상승과 맞물려 가계 에너지 요금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도시가스 요금은 7월부터 평균 4.2%(주택용 4.0%) 인상될 예정이다.

기재부는 "자구 노력으로 공공요금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하도록 하고 인상 폭과 시기를 조정해 국민 부담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