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부품왕' 천안 병화, 인도네시아 공장에 20억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충남 천안의 자동차부품 가공 전문업체인 병화(대표 손병욱)는 지난해 15억원을 투자해 첨단설비를 들여왔다. 올해는 해외 공장을 신축하는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선다. 손병욱 대표는 4일 “지난해 40억원을 투자해 인도네시아 카와산 1만㎡ 부지에 공장을 신축한 데 이어 올 하반기 20억원을 들여 공장을 추가로 짓는다”고 말했다. 병화는 ABS브레이크 부품을 국내 자동차회사에 공급해 지난해 22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 회사는 ABS브레이크에 들어가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연간 생산량 2500만 개로 단일 공장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이 회사는 제품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고속절삭 설비 미크론을 들여왔다. 일반 절삭가공기 30대가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설비다. 기존 설비는 부품 한 개를 생산하는 데 30초가 걸리지만 미크론은 1초면 가능하다. 미크론 도입으로 9단계 공정을 5단계로 축소하고 작업 인원을 12명에서 4명으로 줄여 생산성을 개선했다. 지름 7㎜, 길이 2㎜의 작은 부품을 정밀가공하는 기술이 큰 경쟁력이다.
1987년 창업한 이 회사는 비디오와 카세트테이프에 들어가는 전자부품에서 자동차엔진 연료분사 장치인 인젝터와 브레이크 부품으로 사업영역을 넓혔다. 자동차 부품이 전체 매출의 70%를 차지한다. 손 대표는 “올해 전기자동차용 ABS브레이크 부품 양산 체계를 갖춰 하반기부터 본격 생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안=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
이 회사는 ABS브레이크에 들어가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연간 생산량 2500만 개로 단일 공장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이 회사는 제품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고속절삭 설비 미크론을 들여왔다. 일반 절삭가공기 30대가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설비다. 기존 설비는 부품 한 개를 생산하는 데 30초가 걸리지만 미크론은 1초면 가능하다. 미크론 도입으로 9단계 공정을 5단계로 축소하고 작업 인원을 12명에서 4명으로 줄여 생산성을 개선했다. 지름 7㎜, 길이 2㎜의 작은 부품을 정밀가공하는 기술이 큰 경쟁력이다.
1987년 창업한 이 회사는 비디오와 카세트테이프에 들어가는 전자부품에서 자동차엔진 연료분사 장치인 인젝터와 브레이크 부품으로 사업영역을 넓혔다. 자동차 부품이 전체 매출의 70%를 차지한다. 손 대표는 “올해 전기자동차용 ABS브레이크 부품 양산 체계를 갖춰 하반기부터 본격 생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안=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