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강국 재건' 이끄는 한국해양진흥공사 출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장에 황호선 前 부경대 교수
선박해양·해양보증보험 흡수
산업정책·금융지원 업무 맡아
선박해양·해양보증보험 흡수
산업정책·금융지원 업무 맡아
해운산업 지원을 전담할 한국해양진흥공사가 5일 부산 벡스코에서 출범식을 열고 업무를 시작한다. 해양진흥공사는 해양수산부, 부산시 등과 함께 국내 1위, 세계 7위였던 한진해운이 파산한 뒤 급격하게 추락한 한국 해운과 조선의 경쟁력을 재건하고 해양 강국의 주춧돌을 놓기 위한 견인차 역할을 맡는다.
한국해양진흥공사 초대 사장에는 황호선 전 부경대 교수가 임명됐다. 혁신경영본부장에는 박광열 전 부산해양수산청장, 해양투자본부장에는 김종현 전 한진해운 전무, 해양보증본부장에는 조규열 전 한국해양보증보험 사장 등이 선임됐다. 임직원 수 80명으로 출발한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올 하반기에 21명을 신규 채용해 연내 101명으로 늘어난다. 사무실은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 내 아이파크 C-1동 7층(전용면적 2378㎡)에 자리잡았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기존에 있던 한국선박해양과 한국해양보증보험을 흡수하면서 산업정책 지원뿐 아니라 금융 지원까지 맡는다. 주요 업무인 해운항만 자산에 대한 투자·보증사업 지원은 외부위원이 포함된 심의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공정하고 객관적인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법정자본금은 3조1000억원이다. 한국해양진흥공사로 통합되는 한국선박해양, 한국해양보증보험의 자본금 1조5500억원과 지방항만공사 지분 1조3500억원을 제외한 현금 출자는 2000억원이다.
한국해양진흥공사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납입 자본금이 10조원은 돼야 기업 지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데 자본금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한 해운업계 임원은 “150명 정도로 논의되던 임직원 수가 80명으로 출발했다”며 “제대로 된 기업 지원과 정책을 마련하는 인원이 이른 시간 내에 확충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당시 해운 지원 조직인 한국선박금융공사 설립을 약속한 데 이어 지난해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100대 국정과제에 ‘해운·조선 상생을 통한 해운강국 건설’ 방안을 토대로 이뤄졌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2020년까지 8조원을 투입해 200척의 선박을 새로 건조하기로 한 정책 업무를 맡는다. 황호선 사장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와 부산시, 금융회사, 기업들과 힘을 합쳐 ‘해양수도 부산’을 만들고 나아가 글로벌 해양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한국해양진흥공사 초대 사장에는 황호선 전 부경대 교수가 임명됐다. 혁신경영본부장에는 박광열 전 부산해양수산청장, 해양투자본부장에는 김종현 전 한진해운 전무, 해양보증본부장에는 조규열 전 한국해양보증보험 사장 등이 선임됐다. 임직원 수 80명으로 출발한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올 하반기에 21명을 신규 채용해 연내 101명으로 늘어난다. 사무실은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 내 아이파크 C-1동 7층(전용면적 2378㎡)에 자리잡았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기존에 있던 한국선박해양과 한국해양보증보험을 흡수하면서 산업정책 지원뿐 아니라 금융 지원까지 맡는다. 주요 업무인 해운항만 자산에 대한 투자·보증사업 지원은 외부위원이 포함된 심의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공정하고 객관적인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법정자본금은 3조1000억원이다. 한국해양진흥공사로 통합되는 한국선박해양, 한국해양보증보험의 자본금 1조5500억원과 지방항만공사 지분 1조3500억원을 제외한 현금 출자는 2000억원이다.
한국해양진흥공사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납입 자본금이 10조원은 돼야 기업 지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데 자본금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한 해운업계 임원은 “150명 정도로 논의되던 임직원 수가 80명으로 출발했다”며 “제대로 된 기업 지원과 정책을 마련하는 인원이 이른 시간 내에 확충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당시 해운 지원 조직인 한국선박금융공사 설립을 약속한 데 이어 지난해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100대 국정과제에 ‘해운·조선 상생을 통한 해운강국 건설’ 방안을 토대로 이뤄졌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2020년까지 8조원을 투입해 200척의 선박을 새로 건조하기로 한 정책 업무를 맡는다. 황호선 사장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와 부산시, 금융회사, 기업들과 힘을 합쳐 ‘해양수도 부산’을 만들고 나아가 글로벌 해양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