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의도 의문, 협상에 찬물 끼얹은 것"…'전형적 협상술' 분석도
조셉 윤 "아주 나쁜 신호"…리처드슨 "원하는 것 얻으려 판돈 올리기"
미 언론·전문가 "비핵화 돌파구 마련못해"… 북미협상 결과 우려
미국 언론과 전문가들은 7일(현지시간) 북한 비핵화를 위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간 북미 고위급회담 결과에 대해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북한 외무성이 대변인 담화를 통해 "미국 측의 태도와 입장은 실로 유감스럽기 그지없는 것"이라면서 "우리의 비핵화 의지가 흔들릴 수 있는 위험한 국면에 직면하게 되었다"고 밝힌 데 대해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한 폼페이오 장관의 언급을 직접 반박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WP는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이 길어지고 어려울 것이라는 뚜렷한 신호라면서 "평양의 의도는 물론 담화가 일시적인 표출인지 또는 북미 간의 깊은 오해를 상징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WP는 북측의 유감 표명과 방북 기간 폼페이오 장관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면담이 불발된 것을 거론하며 "비핵화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돌파구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평양에서 회담 후 동행한 기자들에게 비핵화 문제 등에 대해 "복잡한 이슈"라면서도 "우리는 거의 모든 핵심 이슈에 대해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 외무성은 이후 비핵화에 대해 '단계적, 동시행동'을 주장하며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요, 신고요, 검증이요 하면서 일방적이고 강도적인 비핵화 요구만을 들고나왔다"고 미 측의 태도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자신들의 종전선언 요구에 대해서도 미 측이 "이런저런 조건과 구실을 대면서 멀리 뒤로 미루어놓으려는 입장을 취했다"고 주장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북한의 유감 표명에 대해 "(폼페이오 장관보다) 확실히 덜 낙관적이었다"면서 폼페이오 장관의 이번 세 번째 방북이 "가장 덜 생산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북미의 설명이 충돌하면서 핵 협상이 균형을 잃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협상의 운명이 의문에 빠졌다"고 평가했다.

미 CNN 방송은 "북한이 협상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도 북한의 비핵화 의지와 협상 장기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미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였던 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WSJ에 "아주 나쁜 신호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끝인가? 알 수 없다"면서 "그들(북한)은 미국이 완전히 기대를 낮추기를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 전 특별대표는 "그들(북한)의 견해에서, 그들은 뭔가를 주고 있다(양보)고 느낄 수 있다.

그들은 워싱턴이 일관성을 갖고 얘기하고 있다는 느낌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에번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 수석부차관보는 WP에 "평양에서의 협상이 잘 안 된 것이 확실하다"면서 "북한은 미국이 원하는 방식의 비핵화 의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폼페이오 장관은 비핵화를 향한 실질적 움직임을 위한 일부 요구를 제시한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북한의 '분노'를 자아냈다"면서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가 한동안 얘기해왔던 북한의 게임 플랜과 의도를 지금 목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국가이익센터(CNI)의 해리 카지아니스 국방연구국장은 "일종의 돌파구를 기대했지만 북미는 단지 대화를 계속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패트릭 크로닌 미 신안보센터(CNAS) 아시아태평양 안보소장은 "김 위원장이 (비핵화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면서 "아마 진지한 비핵화 조치 없이 어떻게 북한에 대한 제재 해제를 얻을 수 있을지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의 반응을 판에 박힌 협상술로 보고 놀랄 이유가 없다고 한다고 WP는 전했다.

수차례 방북해 북한 당국과 협상을 벌인 경험이 있는 빌 리처드슨 전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북한이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판돈을 올리면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깎아내리고 있다.

이것은 전형적인 것이다.

그들은 이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고 매우 대가가 클 것이며 내놓을 것을 준비하는 게 좋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 고위 외교관은 "북미 양측은 추가협상을 위한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북미가 이번 협상에서 비핵화 검증 등 핵심 사안을 논의할 워킹그룹을 구성하기로 하고, 동창리 미사일 엔진실험장 폐쇄 방법 등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급 회담도 조만간 개최하기로 합의한 것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북미는 또 미군 유해의 송환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12일 판문점에서 회담을 열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