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어촌도 '일자리 블루오션' 될 수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양식업·관광업 가능성 열린 어촌
어촌계 가입 등 진입장벽 낮춰
6차 산업 활성화 앞당기도록 해야
최명용 < 한국어촌어항협회 이사장 >
어촌계 가입 등 진입장벽 낮춰
6차 산업 활성화 앞당기도록 해야
최명용 < 한국어촌어항협회 이사장 >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는 최근 ‘2017년 기준 귀농어·귀촌인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 한 해 농촌·어촌·산촌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한 가구원은 51만8176명으로 집계됐다. 가구원 숫자가 50만 명을 돌파한 것은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게다가 절반이 40세 미만이라니 희망적인 일이다.
아직 ‘귀농’에 비해 ‘귀어’는 낯선 것이 사실이다. 대신 귀어는 일단 정착하고 나면 성과가 빨리 나타난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 어가 평균 소득은 4902만원으로 3824만원인 농가 평균소득보다 높다. 도시근로자 가구당 소득의 80% 수준이다. 40대 이하 젊은 어민의 가구당 연평균 소득이 1억원이 넘는다는 조사도 있다.
어촌 하면 배를 타고 나가 물고기를 잡는 어선어업부터 떠오르지만 요즘은 양식장에서 물고기 미역 전복 조개 등을 길러 판매하는 양식업이 대세다. 어업에 종사하지 않아도 어촌체험상품을 판매하거나 펜션 낚싯배 등 해양레저, 관광, 수산물 가공·유통 등 어촌을 기반으로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 어촌은 인구에 비해 일자리가 많은 것이다. 말 그대로 ‘블루오션’이다.
정부가 귀농귀어촌을 권장하고 있지만, 유독 귀어인구가 늘지 않는 이유로 어촌의 높은 진입장벽을 꼽는 이가 많다. 많은 귀어인이 문화적 차이로 어촌마을의 정서를 이해하기 어려워하고, 이로 인한 마을 주민과의 마찰 등으로 어촌 정착에 어려움을 토로한다.
어민의 공동체인 ‘어촌계’에 가입해야 어로 활동이 쉬워지는데, 어촌계 계원이 되고 싶어도 일정 기간 거주한 뒤에야 가입할 수 있고, 어선어업과 양식어업의 면허 및 허가가 신규 발급되지 않아 비싼 금액을 지급하고 어업권을 승계받아야 하는 등 외지인이 끼어들기 부담스러운 조건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여러 가지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귀어귀촌과 관련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귀어귀촌종합센터가 도시민의 귀어귀촌 지원정책, 자금융자, 교육사업 등을 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수협, 어업단체, 어업인 등과도 네트워크를 구축해 귀어귀촌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있다.
어업창업자금, 주택구입자금 등 여러 가지 금전적 지원정책 못지않게 기존 어촌민과의 장벽을 없애기 위한 지원을 원하는 현장의 목소리가 절실하다. 이를 위해 귀어귀촌 초기 정착단계에 있거나 귀어귀촌을 희망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노하우를 전수하는 지역 기반의 ‘귀어닥터’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어선·양식 같은 어업실무부터 행정지원, 홍보·마케팅까지 관심·이주·정착 등 단계별로 전문가들이 도움을 준다. 최근에는 경남 통영에 ‘귀어학교’도 처음 생겼다.
귀어귀촌 지원사업은 결국 도시민보다 어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것이다. 고령화로 인해 젊은 사람을 찾아보기 힘든 농어촌에 젊고 능력 있는 사람들이 유입되면 지역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도시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젊고 유능한 사람을 바닷가로 끌어들이려는 이유는 인적 역량을 강화해 어촌마을의 생산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우리 어촌에서도 가공, 유통, 관광 서비스 등을 접목해 수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6차 산업화가 진행 중이다. 6차 산업은 인적 역량이 핵심이다. 도시에서 쌓은 전문성을 살려 귀어귀촌을 한 귀어인이 기존 어업인과 함께 가공이나 유통, 관광 서비스사업을 펼친다면 어촌 마을이 그야말로 기회의 땅이 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가져본다.
아직 ‘귀농’에 비해 ‘귀어’는 낯선 것이 사실이다. 대신 귀어는 일단 정착하고 나면 성과가 빨리 나타난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 어가 평균 소득은 4902만원으로 3824만원인 농가 평균소득보다 높다. 도시근로자 가구당 소득의 80% 수준이다. 40대 이하 젊은 어민의 가구당 연평균 소득이 1억원이 넘는다는 조사도 있다.
어촌 하면 배를 타고 나가 물고기를 잡는 어선어업부터 떠오르지만 요즘은 양식장에서 물고기 미역 전복 조개 등을 길러 판매하는 양식업이 대세다. 어업에 종사하지 않아도 어촌체험상품을 판매하거나 펜션 낚싯배 등 해양레저, 관광, 수산물 가공·유통 등 어촌을 기반으로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 어촌은 인구에 비해 일자리가 많은 것이다. 말 그대로 ‘블루오션’이다.
정부가 귀농귀어촌을 권장하고 있지만, 유독 귀어인구가 늘지 않는 이유로 어촌의 높은 진입장벽을 꼽는 이가 많다. 많은 귀어인이 문화적 차이로 어촌마을의 정서를 이해하기 어려워하고, 이로 인한 마을 주민과의 마찰 등으로 어촌 정착에 어려움을 토로한다.
어민의 공동체인 ‘어촌계’에 가입해야 어로 활동이 쉬워지는데, 어촌계 계원이 되고 싶어도 일정 기간 거주한 뒤에야 가입할 수 있고, 어선어업과 양식어업의 면허 및 허가가 신규 발급되지 않아 비싼 금액을 지급하고 어업권을 승계받아야 하는 등 외지인이 끼어들기 부담스러운 조건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여러 가지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귀어귀촌과 관련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귀어귀촌종합센터가 도시민의 귀어귀촌 지원정책, 자금융자, 교육사업 등을 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수협, 어업단체, 어업인 등과도 네트워크를 구축해 귀어귀촌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있다.
어업창업자금, 주택구입자금 등 여러 가지 금전적 지원정책 못지않게 기존 어촌민과의 장벽을 없애기 위한 지원을 원하는 현장의 목소리가 절실하다. 이를 위해 귀어귀촌 초기 정착단계에 있거나 귀어귀촌을 희망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노하우를 전수하는 지역 기반의 ‘귀어닥터’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어선·양식 같은 어업실무부터 행정지원, 홍보·마케팅까지 관심·이주·정착 등 단계별로 전문가들이 도움을 준다. 최근에는 경남 통영에 ‘귀어학교’도 처음 생겼다.
귀어귀촌 지원사업은 결국 도시민보다 어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것이다. 고령화로 인해 젊은 사람을 찾아보기 힘든 농어촌에 젊고 능력 있는 사람들이 유입되면 지역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도시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젊고 유능한 사람을 바닷가로 끌어들이려는 이유는 인적 역량을 강화해 어촌마을의 생산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우리 어촌에서도 가공, 유통, 관광 서비스 등을 접목해 수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6차 산업화가 진행 중이다. 6차 산업은 인적 역량이 핵심이다. 도시에서 쌓은 전문성을 살려 귀어귀촌을 한 귀어인이 기존 어업인과 함께 가공이나 유통, 관광 서비스사업을 펼친다면 어촌 마을이 그야말로 기회의 땅이 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