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체류 예멘인 20여일 만에 35% 해고·자발적 취업포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농업·어업 분야 일 맞지 않아 고용주·예멘인 모두 꺼려"
제주 체류 예멘인 난민신청자들이 생계와 숙소 마련을 위해 취업을 이어가는 일이 갈수록 줄어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제주출입국·외국인청에 따르면 제주 체류 예멘인 486명 중 8일 현재 247명이 도내 요식업과 농·어업 등 1차산업 분야에 임시 취업했다.
이는 지난 1일 기준 취업자 265명에 견줘 6.8%(18명)가 감소했다.
지난달 14일·18일 취업설명회 직후 382명이 취업한 것과 비교해서는 35.3%(135명)나 줄어들었다.
이날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을 찾은 예멘인 호세(20·가명)씨와 헤미에르(〃·가명)씨 2명은 지난 6일 감귤 농장에 취업했다가 이틀 만에 일을 그만뒀다.
이들을 고용한 농장주도 이날 같이 와 고용 해지서를 작성했다.
농장주는 "예멘인이 말이 통하지 않는 데다 농기계를 다루는 데 서툴러 같이 일하기에 어렵다"며 "더는 고용을 할 수 없을 것 같아 해지하게 됐다"고 말했다.
호세 등 예멘인들도 "일이 전혀 맞지 않고 농장주와의 마찰로 해당 농장에서는 더 일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호세씨는 지난 5월 말 제주에 입국한 후 한 달여 만에 일을 2번이나 그만뒀다. 아볼난서(26·가명)씨도 양식장 일을 하다가 해고됐다.
그는 "예멘에서도 어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제주와 전혀 방식이 다른 것 같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난민 인권을 위한 범도민 위원회 관계자는 "다양한 직군에서 일하던 사람들에게 갑자기 1차산업 중에서만 일하라고 강제하게 되면 일이 익숙하지 않거나 맞지 않는 일이 당연한 것"이라며 취업 직군 확대 등을 요구했다.
국가인권위가 지난달 29∼30일 제주도에 있는 예멘 국적 난민신청자 144명을 순회상담 한 결과에서도 '취업을 통한 생계 안정'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혔다.
상담 결과, 144명 모두가 생계 안정이 가장 절실한 문제라고 꼽았다.
이 밖에 총상 후유증, 당뇨 등에 대한 '의료 지원'(32건), '임금체불' 관련 상담(12건)도 접수됐다.
인권위는 "난민들은 특히, 일자리가 시급한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며 "어선, 양식장 등 소개받은 일자리는 닷새 이내 단기 노무로, 자발적으로 일자리를 떠나거나 고용주에 의해 해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설명했다. 취업하지 못해 숙소가 없는 예멘인 대부분은 시민단체와 종교 단체에서 마련해 준 임시 거주지에서 생활하고 있다.
일을 그만두지는 않은 예멘인들도 심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일 어선 선원에 임시 취업한 예멘인 2명이 숙소에서 설거지 문제로 시비가 돼 흉기로 위협하는 등 서로 폭행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를 본 선주의 아내가 경찰에 신고하면서 이들 예멘인 2명이 모두 경찰 조사를 받고 특수 폭행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이들 예멘인 2명이 만에 하나 기소가 된다면 한국에서 강제 출국당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은 지난달 11일 제주 체류 예멘인 난민신청자들에 대해 생계 및 숙소 마련을 위해 임시 취업을 허가했다.
난민에 대한 인정심사와 이의제기 등의 과정을 거치려면 상당 기간 국내에서 체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국인들의 취업 기회가 줄어드는 것을 막으려고 예멘인들은 요식업과 1차산업으로 취업을 제한했다.
/연합뉴스
제주 체류 예멘인 난민신청자들이 생계와 숙소 마련을 위해 취업을 이어가는 일이 갈수록 줄어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제주출입국·외국인청에 따르면 제주 체류 예멘인 486명 중 8일 현재 247명이 도내 요식업과 농·어업 등 1차산업 분야에 임시 취업했다.
이는 지난 1일 기준 취업자 265명에 견줘 6.8%(18명)가 감소했다.
지난달 14일·18일 취업설명회 직후 382명이 취업한 것과 비교해서는 35.3%(135명)나 줄어들었다.
이날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을 찾은 예멘인 호세(20·가명)씨와 헤미에르(〃·가명)씨 2명은 지난 6일 감귤 농장에 취업했다가 이틀 만에 일을 그만뒀다.
이들을 고용한 농장주도 이날 같이 와 고용 해지서를 작성했다.
농장주는 "예멘인이 말이 통하지 않는 데다 농기계를 다루는 데 서툴러 같이 일하기에 어렵다"며 "더는 고용을 할 수 없을 것 같아 해지하게 됐다"고 말했다.
호세 등 예멘인들도 "일이 전혀 맞지 않고 농장주와의 마찰로 해당 농장에서는 더 일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호세씨는 지난 5월 말 제주에 입국한 후 한 달여 만에 일을 2번이나 그만뒀다. 아볼난서(26·가명)씨도 양식장 일을 하다가 해고됐다.
그는 "예멘에서도 어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제주와 전혀 방식이 다른 것 같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난민 인권을 위한 범도민 위원회 관계자는 "다양한 직군에서 일하던 사람들에게 갑자기 1차산업 중에서만 일하라고 강제하게 되면 일이 익숙하지 않거나 맞지 않는 일이 당연한 것"이라며 취업 직군 확대 등을 요구했다.
국가인권위가 지난달 29∼30일 제주도에 있는 예멘 국적 난민신청자 144명을 순회상담 한 결과에서도 '취업을 통한 생계 안정'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혔다.
상담 결과, 144명 모두가 생계 안정이 가장 절실한 문제라고 꼽았다.
이 밖에 총상 후유증, 당뇨 등에 대한 '의료 지원'(32건), '임금체불' 관련 상담(12건)도 접수됐다.
인권위는 "난민들은 특히, 일자리가 시급한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며 "어선, 양식장 등 소개받은 일자리는 닷새 이내 단기 노무로, 자발적으로 일자리를 떠나거나 고용주에 의해 해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설명했다. 취업하지 못해 숙소가 없는 예멘인 대부분은 시민단체와 종교 단체에서 마련해 준 임시 거주지에서 생활하고 있다.
일을 그만두지는 않은 예멘인들도 심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일 어선 선원에 임시 취업한 예멘인 2명이 숙소에서 설거지 문제로 시비가 돼 흉기로 위협하는 등 서로 폭행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를 본 선주의 아내가 경찰에 신고하면서 이들 예멘인 2명이 모두 경찰 조사를 받고 특수 폭행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이들 예멘인 2명이 만에 하나 기소가 된다면 한국에서 강제 출국당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은 지난달 11일 제주 체류 예멘인 난민신청자들에 대해 생계 및 숙소 마련을 위해 임시 취업을 허가했다.
난민에 대한 인정심사와 이의제기 등의 과정을 거치려면 상당 기간 국내에서 체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국인들의 취업 기회가 줄어드는 것을 막으려고 예멘인들은 요식업과 1차산업으로 취업을 제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