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굴기' 中 화웨이, 에릭슨 제치고 1위… 한국은 삼성전자 고군분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니혼게이자이, 71개 분야 세계 점유율 1위 조사
美·中 1위 기업 늘어나는데
한국은 작년 수준서 정체
中, 하이테크 분야 美 맹추격
스마트폰 中 3社 점유율 24%
5G 등 통신설비도 약진
美·中 1위 기업 늘어나는데
한국은 작년 수준서 정체
中, 하이테크 분야 美 맹추격
스마트폰 中 3社 점유율 24%
5G 등 통신설비도 약진
71개 주요 상품과 서비스의 세계 시장 점유율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고부가가치 정보기술(IT)이 미국과 중국 일본 한국 등 글로벌 기업의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로 드러났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의 10일 보도에 따르면 화웨이와 ZTE, 하이크비전, 하이얼 등 중국 IT 및 전자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중국 첨단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글로벌 선두 업체가 교체되거나 시장 판도가 뒤바뀌는 모습이 곳곳에서 나타났다. 이는 미·중 통상전쟁을 불러온 하나의 불씨가 됐다.
◆중국발(發) IT 구도 대격변
니혼게이자이신문 조사를 보면 D램과 감시카메라, 클라우드 서비스 등 7개 IT 분야는 지난해 시장 성장률이 30%를 웃돌았고, 이들 시장에선 한결같이 중국 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스마트폰 분야(출하대수 기준)에선 삼성전자(21.6%)와 애플(14.7%)의 양강 구도가 흔들리는 모습이 나타났다. 3~5위를 화웨이, 오포, 샤오미 등 중국 기업이 차지하면서 3개사의 시장점유율 합계는 24.3%로 삼성전자 점유율을 웃돌았다. 화웨이는 점유율 10.4%로 ‘3강 구도’까지 노려볼 만한 수준으로 성장했다.
5G(5세대)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이동통신 인프라 분야에서도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이 약진하고 있다. 지난해 화웨이는 터줏대감 격인 스웨덴 에릭슨을 제치고 시장 선두(출하액 기준)에 올라섰다. ZTE도 4위를 차지했다. 중국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구도를 바꿔가고 있다.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중국 기업이 시장 주도권을 잡은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감시카메라를 주요 도시에 적극 도입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장악력이 강화되는 모습이다. 중국 하이크비전(31.3%)과 다화테크놀로지(11.8%)가 나란히 감시카메라 세계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했다.
미국 기업의 아성에 도전하는 중국 기업도 늘고 있다. 라우터 분야에선 미국 시스코시스템스(61.3%)가 여전히 1위지만 화웨이(15.0%), H3C(4.2%), ZTE(4.2%) 등 중국 기업들이 추격에 나서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중 무역전쟁의 배경에는 하이테크 분야에서 미국을 맹추격하는 중국에 대한 경계심이 자리잡고 있다”며 “세계 1위 기업 분포도에서도 이 같은 변화상이 잘 드러나고 있다”고 전했다.
◆과도한 ‘삼성전자 쏠림’
세계 1등 품목 조사에서 미국은 일반 의약품(화이자)과 반도체 장비(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등 24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며 경제 강국의 면모를 과시했다. 클라우드 서비스(아마존)와 사이버보안(시만텍), 스마트폰 운영체제(구글)에서도 시장을 선도했다. 일본은 이미지센서(소니), 리튬이온전지용 절연체(아사히가세이), DSLR 카메라 및 일반 디지털카메라(캐논) 등 10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2개 더 늘어난 수치다. 중국도 8개에서 9개로 1등 품목이 하나 증가했다.
하지만 한국은 시장 경쟁력이 정체된 모습을 보였다. 미·중·일이 모두 전년 대비 세계 1위 기업 수를 늘린 데 비해 한국은 전년과 같은 7개 분야에서 1위 자리를 유지하는 데 그쳤다. 그나마 삼성전자가 스마트폰과 D램, 낸드플래시, 평면 TV, 중소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등 5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삼성전자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조선업에서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의 한국 조선 3사가 1~3위를 차지했지만 해당 업종이 글로벌 업황 악화와 공급 과잉 등으로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만큼 내실이 적다는 분석이다.
대대적인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약진하는 상황에서 지난해 LG디스플레이가 점유율 27.9%로 1위, 삼성전자가 13.9%로 3위를 기록했지만 기반이 약해지고 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오춘호 선임기자 kimdw@hankyung.com
니혼게이자이신문의 10일 보도에 따르면 화웨이와 ZTE, 하이크비전, 하이얼 등 중국 IT 및 전자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중국 첨단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글로벌 선두 업체가 교체되거나 시장 판도가 뒤바뀌는 모습이 곳곳에서 나타났다. 이는 미·중 통상전쟁을 불러온 하나의 불씨가 됐다.
◆중국발(發) IT 구도 대격변
니혼게이자이신문 조사를 보면 D램과 감시카메라, 클라우드 서비스 등 7개 IT 분야는 지난해 시장 성장률이 30%를 웃돌았고, 이들 시장에선 한결같이 중국 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스마트폰 분야(출하대수 기준)에선 삼성전자(21.6%)와 애플(14.7%)의 양강 구도가 흔들리는 모습이 나타났다. 3~5위를 화웨이, 오포, 샤오미 등 중국 기업이 차지하면서 3개사의 시장점유율 합계는 24.3%로 삼성전자 점유율을 웃돌았다. 화웨이는 점유율 10.4%로 ‘3강 구도’까지 노려볼 만한 수준으로 성장했다.
5G(5세대)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이동통신 인프라 분야에서도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이 약진하고 있다. 지난해 화웨이는 터줏대감 격인 스웨덴 에릭슨을 제치고 시장 선두(출하액 기준)에 올라섰다. ZTE도 4위를 차지했다. 중국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구도를 바꿔가고 있다.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중국 기업이 시장 주도권을 잡은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감시카메라를 주요 도시에 적극 도입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장악력이 강화되는 모습이다. 중국 하이크비전(31.3%)과 다화테크놀로지(11.8%)가 나란히 감시카메라 세계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했다.
미국 기업의 아성에 도전하는 중국 기업도 늘고 있다. 라우터 분야에선 미국 시스코시스템스(61.3%)가 여전히 1위지만 화웨이(15.0%), H3C(4.2%), ZTE(4.2%) 등 중국 기업들이 추격에 나서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중 무역전쟁의 배경에는 하이테크 분야에서 미국을 맹추격하는 중국에 대한 경계심이 자리잡고 있다”며 “세계 1위 기업 분포도에서도 이 같은 변화상이 잘 드러나고 있다”고 전했다.
◆과도한 ‘삼성전자 쏠림’
세계 1등 품목 조사에서 미국은 일반 의약품(화이자)과 반도체 장비(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등 24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며 경제 강국의 면모를 과시했다. 클라우드 서비스(아마존)와 사이버보안(시만텍), 스마트폰 운영체제(구글)에서도 시장을 선도했다. 일본은 이미지센서(소니), 리튬이온전지용 절연체(아사히가세이), DSLR 카메라 및 일반 디지털카메라(캐논) 등 10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2개 더 늘어난 수치다. 중국도 8개에서 9개로 1등 품목이 하나 증가했다.
하지만 한국은 시장 경쟁력이 정체된 모습을 보였다. 미·중·일이 모두 전년 대비 세계 1위 기업 수를 늘린 데 비해 한국은 전년과 같은 7개 분야에서 1위 자리를 유지하는 데 그쳤다. 그나마 삼성전자가 스마트폰과 D램, 낸드플래시, 평면 TV, 중소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등 5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삼성전자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조선업에서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의 한국 조선 3사가 1~3위를 차지했지만 해당 업종이 글로벌 업황 악화와 공급 과잉 등으로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만큼 내실이 적다는 분석이다.
대대적인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약진하는 상황에서 지난해 LG디스플레이가 점유율 27.9%로 1위, 삼성전자가 13.9%로 3위를 기록했지만 기반이 약해지고 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오춘호 선임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