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7개월 끌다… 中, LGD 광저우공장 건설 승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 광저우 공장 내년 하반기 가동…LGD, 8.5세대 OLED 패널 양산
중국 정부가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공장 건설 계획을 최종 승인했다. 지난해 7월 LG디스플레이가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지 1년 만이다.
10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LG디스플레이에 광저우 OLED 공장 건설 승인을 통보했다. 7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의 승인은 국가 핵심 기술 유출 논란으로 한국 정부가 5개월을 끌었고, 중국이 기술 이전을 요구하면서 다시 7개월이 지연됐다. 내년 상반기였던 공장 가동 시기는 하반기로 연기됐다.
국익이 걸린 최첨단 산업기술을 놓고 국가 간 줄다리기는 한 치 양보가 없었다. TV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술을 지키려는 한국 정부와 자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을 위해 해당 기술을 빼앗으려는 중국 정부 사이에서 LG디스플레이는 애를 태워야 했다.
지난해 7월 광저우 OLED 공장 건설을 발표했을 때만 해도 LG디스플레이는 낙관적이었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의 조율이 대부분 끝나 1개월 안에 승인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작년 9월 OLED 기술의 해외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더 깊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놨다. OLED 기술은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이 이뤄진 국가 핵심 기술로 해외 공장 등을 지으려면 정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가능하면 중국이 아니라 국내에 투자하라는 간접적인 압박도 이어졌다. 수차례에 걸친 전문위원회 회의 끝에 지난해 말 한국 정부의 승인이 떨어졌다.
중국 정부에서 승인받는 과정은 더욱 험난했다. 지난 1월부터 승인 절차를 밟았지만 “이달에는 될 것”이라는 약속이 수차례 연기돼 결국 7개월이 걸렸다. OLED 기술을 앞세운 LG디스플레이가 자국 프리미엄 TV 패널 시장을 독식할 것이라는 중국 업체들의 우려가 크게 작용했다. 승인 여부를 심사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 기구에는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의 고위 경영진이 참여했다. 중국 측은 막판에 OLED 핵심 기술을 넘기고 관련 R&D센터를 현지에 지으라는 ‘억지 요구’까지 했다. LG디스플레이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티자 중국 정부는 조건을 접은 것으로 전해졌다.
LG디스플레이는 이달 광저우시와 합작 법인 설립을 마무리하고 관련 인력 파견도 할 예정이다. 투자비 7조4000억원 가운데 30%는 합작 법인이 댄다.
예상보다 지연되기는 했지만 내년 말까지 8.5세대(2250㎜×2500㎜) OLED 패널 양산은 가능할 전망이다. 2021년 경기 파주 P10 공장에서 10.5세대(2940㎜×3370㎜) OLED 패널을 생산하기 전까지 늘어나는 OLED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생산시설을 확보하게 됐다는 의미도 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10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LG디스플레이에 광저우 OLED 공장 건설 승인을 통보했다. 7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의 승인은 국가 핵심 기술 유출 논란으로 한국 정부가 5개월을 끌었고, 중국이 기술 이전을 요구하면서 다시 7개월이 지연됐다. 내년 상반기였던 공장 가동 시기는 하반기로 연기됐다.
국익이 걸린 최첨단 산업기술을 놓고 국가 간 줄다리기는 한 치 양보가 없었다. TV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술을 지키려는 한국 정부와 자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을 위해 해당 기술을 빼앗으려는 중국 정부 사이에서 LG디스플레이는 애를 태워야 했다.
지난해 7월 광저우 OLED 공장 건설을 발표했을 때만 해도 LG디스플레이는 낙관적이었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의 조율이 대부분 끝나 1개월 안에 승인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작년 9월 OLED 기술의 해외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더 깊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놨다. OLED 기술은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이 이뤄진 국가 핵심 기술로 해외 공장 등을 지으려면 정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가능하면 중국이 아니라 국내에 투자하라는 간접적인 압박도 이어졌다. 수차례에 걸친 전문위원회 회의 끝에 지난해 말 한국 정부의 승인이 떨어졌다.
중국 정부에서 승인받는 과정은 더욱 험난했다. 지난 1월부터 승인 절차를 밟았지만 “이달에는 될 것”이라는 약속이 수차례 연기돼 결국 7개월이 걸렸다. OLED 기술을 앞세운 LG디스플레이가 자국 프리미엄 TV 패널 시장을 독식할 것이라는 중국 업체들의 우려가 크게 작용했다. 승인 여부를 심사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 기구에는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의 고위 경영진이 참여했다. 중국 측은 막판에 OLED 핵심 기술을 넘기고 관련 R&D센터를 현지에 지으라는 ‘억지 요구’까지 했다. LG디스플레이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티자 중국 정부는 조건을 접은 것으로 전해졌다.
LG디스플레이는 이달 광저우시와 합작 법인 설립을 마무리하고 관련 인력 파견도 할 예정이다. 투자비 7조4000억원 가운데 30%는 합작 법인이 댄다.
예상보다 지연되기는 했지만 내년 말까지 8.5세대(2250㎜×2500㎜) OLED 패널 양산은 가능할 전망이다. 2021년 경기 파주 P10 공장에서 10.5세대(2940㎜×3370㎜) OLED 패널을 생산하기 전까지 늘어나는 OLED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생산시설을 확보하게 됐다는 의미도 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