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 전망 3.0%→2.9%로 낮출지도 관심

한국은행이 12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경제 성장률 전망을 업데이트한다.

11일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이 금리를 연 1.50%로 동결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74개 기관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89%가 7월 금리동결을 예상했다.
내일 한은 금통위 금리동결 유력… 인상 소수의견 나올까
10일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하락하며 지난주 기록한 연중 최저점에 근접했다.

해외 투자은행(IB)들도 이달 들어 낸 보고서에서 이번엔 금리조정이 없을 것으로 봤다.

최근 미중 무역분쟁 심화와 부진한 고용지표 등이 금리인상 기대감을 낮춘 것으로 풀이된다.

HSBC는 한국 수출의 대중국 의존도가 지난해 25%에 달하고 중국으로 수출한 품목의 75%가 중간재라는 점을 들며 "무역분쟁에 따라 간접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고용시장은 싸늘하다.

취업자 증가폭이 5월에 7만명대까지 추락했고 6월에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도 1.5%로 한은 목표(2%)와 차이가 크다.

근원 물가 상승률은 1.2%로 내려갔다.

일각에서는 한은이 금리를 올리면 안된다는 주장까지 늘고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10일자 보고서에서 최근 경기 회복세 둔화 우려가 나오고 경기 흐름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오히려 금리 인상에 신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대우도 최근 내수 경기와 미중 무역갈등 등을 고려하면 금리를 올리면 안 되는 상황이라는 견해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연구실장은 "하방 리스크가 실제 지표에 반영되면 올해 아예 안 올릴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소시에테제네랄(SG)은 올해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럼에도 추가 금리인상 불씨는 살아있다.

한은은 통화정책 정상화 의지를 유지하고 있다.

가장 큰 명분은 사상 최저수준(1.25%)에서 갓 벗어난 금리를 어느 정도 올려놔야 혹시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도 부담이다.

내외 금리차가 자본유출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해도 역전 폭이 커지도록 두기는 편치 않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성장세가 잠재 성장률 수준을 이어가고 물가 상승률이 목표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 추가 조정 여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은이 이번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9%로 낮추더라도 여전히 잠재성장률 이상 수준 성장세라는 평가가 가능하다.

한국 경제 잠재성장률은 2.8∼2.9%로 추정된다.

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상승세 등의 영향으로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BoA), HSBC, 스코샤은행, 씨티는 8월 31일 금통위에서 금리인상을 전망한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10월, 노무라는 11월로 예상 시기를 늦췄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