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쇼크 5개월째… 6월 취업자도 10만6천명 증가 그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조업 석 달 연속 감소…'고용시장 주축' 40대 취업자 12만8천명 급감
2분기 취업자 증가폭 10만명 '턱걸이'…정부 올 목표 32만명 '불투명'
정부 "청년 일자리 대책 추진 만전…저소득층 지원 대책 속히 마련"
취업자 증가 폭이 5개월 연속 10만명 전후에 머무는 등 일자리 상황이 '쇼크' 수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 폭을 늘려가며 석 달 연속 줄었다.
임시직과 일용직의 감소 폭도 두드러졌다.
정부는 청년 일자리 정책 등에 전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지만, 올해 취업자 증가 목표치 32만명 달성은사실상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712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6천명(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2월 10만4천명을 기록하며 1년9개월 만에 10만명대로 떨어졌다.
3개월 연속 10만명대를 맴돌다가 5월에는 10만명선 마저 무너졌다.
6월에는 10만명 선에 턱걸이했지만 여전히 부진하다.
최근 고용 상황은 금융위기 이래로 가장 좋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당시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를 기록했다.
제조업 일자리 부진이 전체 취업자 증가 폭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
제조업 취업자는 12만6천명 줄어 석 달 연속 감소했다.
이번 감소 폭은 작년 1월(-17만명) 이후 1년 5개월 만에 컸다.
경기 영향에 따라 자동차·조선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 의복에서 감소한 것으로 통계청은 봤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 없는 수출과 성장의 영향으로 실적은 좋지만 채용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서비스업(-10만7천명) 취업자 감소가 이어졌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4만6천명) 등에서도 줄었다.
도소매·숙박음식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만1천명 줄었다.
작년 12월부터 7개월째 감소한 것이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6만2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9만4천명), 금융 및 보험업(6만6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임금근로자는 11만8천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36만6천명 증가했으나,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가 각각 13만명, 11만7천명 줄어 발목을 잡았다.
경기에 영향을 쉽게 받는 임시직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에서 감소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자영업자는 1만5천명 감소했다.
통상 제조업이 감소하면 자영업자는 증가하지만 지난달은 모두 줄었다.
통계청은 도소매업이나 숙박·음식점업 취업자의 감소 폭이 줄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최저임금 인상과 고용의 관련성을 찾아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고용률은 61.4%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103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2만6천명(-2.5%) 감소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9.0%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내렸다.
올해 3∼5월 10%를 넘으며 고공행진을 했으나 지난달 공무원 시험이 끝나면서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2.9%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내렸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 재학·수강 등에서 감소했으나 쉬었음, 가사 등에서 증가해 1년 전보다 15만6천명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울산은 고용률이 59.4%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내렸고 실업률은 4.5%로 0.8%포인트 올랐다.
제조업 부진 탓으로 통계청은 봤다.
40대 취업자 수는 12만8천명 감소했다.
2016년 10월 13만3천명 감소 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구조조정의 여파로 통계청은 판단했다.
2분기 취업자 증가 폭은 10만1천명에 그쳤다.
2009년 4분기 2만5천명 감소 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상반기 취업자 증가 폭은 14만2천명이었다.
2009년 하반기 2만7천명 감소 이후 최저치다.
빈 과장은 "인구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 수 감소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작년 6월에 취업자 증가 폭이 다른 달보다 낮았던 점을 고려하면 기저효과에 힘입어 좋은 수치가 나올 것이라 예상했으나 경기 흐름이나 인구구조 변화 탓에 좋지 않은 흐름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20대 전반 취업자 수가 산업 전반에서 11만명 감소한 것은 인구가 감소하는 세대이기 때문"이라며 "인구구조 영향은 하반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플러스 요인이 많지 않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서비스·건설 고용이 개선됐으나 제조업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생산가능인구 감소 폭 확대가 취업자 증가를 계속 제약하고 있다고 고용 상황을 평가했다.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4월 6.6%, 5~6월 8.0% 각각 줄며 취업을 할 수 있는 인구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청년 일자리 주요 과제와 추가경정예산 집행에 만전을 기하고 저소득층 소득 일자리 대책과 혁신성장 지원방안을 속도감 있게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분기 취업자 증가폭 10만명 '턱걸이'…정부 올 목표 32만명 '불투명'
정부 "청년 일자리 대책 추진 만전…저소득층 지원 대책 속히 마련"
취업자 증가 폭이 5개월 연속 10만명 전후에 머무는 등 일자리 상황이 '쇼크' 수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 폭을 늘려가며 석 달 연속 줄었다.
임시직과 일용직의 감소 폭도 두드러졌다.
정부는 청년 일자리 정책 등에 전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지만, 올해 취업자 증가 목표치 32만명 달성은사실상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712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6천명(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2월 10만4천명을 기록하며 1년9개월 만에 10만명대로 떨어졌다.
3개월 연속 10만명대를 맴돌다가 5월에는 10만명선 마저 무너졌다.
6월에는 10만명 선에 턱걸이했지만 여전히 부진하다.
최근 고용 상황은 금융위기 이래로 가장 좋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당시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를 기록했다.
제조업 일자리 부진이 전체 취업자 증가 폭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
제조업 취업자는 12만6천명 줄어 석 달 연속 감소했다.
이번 감소 폭은 작년 1월(-17만명) 이후 1년 5개월 만에 컸다.
경기 영향에 따라 자동차·조선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 의복에서 감소한 것으로 통계청은 봤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 없는 수출과 성장의 영향으로 실적은 좋지만 채용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서비스업(-10만7천명) 취업자 감소가 이어졌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4만6천명) 등에서도 줄었다.
도소매·숙박음식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만1천명 줄었다.
작년 12월부터 7개월째 감소한 것이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6만2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9만4천명), 금융 및 보험업(6만6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임금근로자는 11만8천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36만6천명 증가했으나,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가 각각 13만명, 11만7천명 줄어 발목을 잡았다.
경기에 영향을 쉽게 받는 임시직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에서 감소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자영업자는 1만5천명 감소했다.
통상 제조업이 감소하면 자영업자는 증가하지만 지난달은 모두 줄었다.
통계청은 도소매업이나 숙박·음식점업 취업자의 감소 폭이 줄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최저임금 인상과 고용의 관련성을 찾아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고용률은 61.4%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103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2만6천명(-2.5%) 감소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9.0%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내렸다.
올해 3∼5월 10%를 넘으며 고공행진을 했으나 지난달 공무원 시험이 끝나면서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2.9%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내렸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 재학·수강 등에서 감소했으나 쉬었음, 가사 등에서 증가해 1년 전보다 15만6천명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울산은 고용률이 59.4%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내렸고 실업률은 4.5%로 0.8%포인트 올랐다.
제조업 부진 탓으로 통계청은 봤다.
40대 취업자 수는 12만8천명 감소했다.
2016년 10월 13만3천명 감소 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구조조정의 여파로 통계청은 판단했다.
2분기 취업자 증가 폭은 10만1천명에 그쳤다.
2009년 4분기 2만5천명 감소 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상반기 취업자 증가 폭은 14만2천명이었다.
2009년 하반기 2만7천명 감소 이후 최저치다.
빈 과장은 "인구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 수 감소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작년 6월에 취업자 증가 폭이 다른 달보다 낮았던 점을 고려하면 기저효과에 힘입어 좋은 수치가 나올 것이라 예상했으나 경기 흐름이나 인구구조 변화 탓에 좋지 않은 흐름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20대 전반 취업자 수가 산업 전반에서 11만명 감소한 것은 인구가 감소하는 세대이기 때문"이라며 "인구구조 영향은 하반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플러스 요인이 많지 않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서비스·건설 고용이 개선됐으나 제조업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생산가능인구 감소 폭 확대가 취업자 증가를 계속 제약하고 있다고 고용 상황을 평가했다.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4월 6.6%, 5~6월 8.0% 각각 줄며 취업을 할 수 있는 인구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청년 일자리 주요 과제와 추가경정예산 집행에 만전을 기하고 저소득층 소득 일자리 대책과 혁신성장 지원방안을 속도감 있게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