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의 기적'… 302g 초미숙아, 건강하게 가족 품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개월 만에 태어나 생존 한계 극복
서울아산병원서 169일 집중치료
서울아산병원서 169일 집중치료
몸무게 302g, 키 21.5㎝. 지난 1월25일 서울아산병원에서 초미숙아로 태어난 사랑이의 신체 수치다. 그동안 국내에서 사랑이보다 작게 태어난 아이도 있었지만 건강하게 병원 밖으로 나간 적은 없었다. 사랑이의 부모와 의료진은 1% 미만의 생존율에 기대를 걸어 보기로 했다.
사랑이는 엄마 이인선 씨(42)가 앓고 있던 임신중독증 때문에 임신 24주5일 만에 제왕절개로 태어났다. 폐포도 형성되기 전이었다. 출생 직후에는 심장이 잘 뛰지 않아 심폐소생술도 받았다. 169일간의 정성 어린 치료 끝에 사랑이는 3㎏의 건강한 아기로 성장했다. 서울아산병원은 12일 이사랑 양이 수술 한번 받지 않고 무사히 퇴원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생존 신생아 중 가장 작게 태어난 아이다. 세계적으로도 26번째로 작다.
몸무게 1㎏이 안 되는 미숙아는 신체 모든 장기가 미성숙한 상태로 태어난다. 호흡곤란증후군, 장폐색증 및 괴사성 장염, 패혈증 등 합병증 위험이 높다. 이를 치료하는 것도 쉽지 않다. 가장 작은 주삿바늘도 그 길이가 아이 팔뚝과 비슷해 주사 치료조차 어렵기 때문이다. 몸속을 도는 혈액량이 적어 채혈 몇 방울만 해도 빈혈이 생긴다.
사랑이도 위기는 있었다. 태어난 지 1주일 되던 날 몸속 양수가 빠지며 체중이 295g까지 내려갔다. 세계적으로도 300g 이하 신생아의 생존 사례는 거의 없었다. 주치의인 정의석 신생아과 교수 등 의료진은 밤낮으로 아이를 돌봤다. 엄마 이씨는 괴사성 장염을 예방하기 위해 매일 모유를 모았다. 아빠는 매일 병원으로 모유를 날랐다. 정 교수는 “손바닥 한 뼘도 되지 않던 사랑이가 가쁜 숨을 내쉬는 모습을 처음 봤을 때 그저 살리고 싶다는 생각만 들었다”며 “위기 상황마다 아이가 스스로 극복해내는 것을 보면서 생명의 위대함을 느꼈다”고 했다.
국내에서 한 해에 태어나는 1.5㎏ 미만 저체중 미숙아는 3000명에 이른다. 20여 년 전 1000명에서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생존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최근 5년간 태어난 500g 미만 초미숙아 33명의 생존율은 52%에 이른다. 이병섭 서울아산병원 신생아과장은 “국내 출산율은 급감하는 반면 미숙아 출산율은 높아지고 있다”며 “사랑이를 통해 국내 초미숙아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과 희망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사랑이는 엄마 이인선 씨(42)가 앓고 있던 임신중독증 때문에 임신 24주5일 만에 제왕절개로 태어났다. 폐포도 형성되기 전이었다. 출생 직후에는 심장이 잘 뛰지 않아 심폐소생술도 받았다. 169일간의 정성 어린 치료 끝에 사랑이는 3㎏의 건강한 아기로 성장했다. 서울아산병원은 12일 이사랑 양이 수술 한번 받지 않고 무사히 퇴원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생존 신생아 중 가장 작게 태어난 아이다. 세계적으로도 26번째로 작다.
몸무게 1㎏이 안 되는 미숙아는 신체 모든 장기가 미성숙한 상태로 태어난다. 호흡곤란증후군, 장폐색증 및 괴사성 장염, 패혈증 등 합병증 위험이 높다. 이를 치료하는 것도 쉽지 않다. 가장 작은 주삿바늘도 그 길이가 아이 팔뚝과 비슷해 주사 치료조차 어렵기 때문이다. 몸속을 도는 혈액량이 적어 채혈 몇 방울만 해도 빈혈이 생긴다.
사랑이도 위기는 있었다. 태어난 지 1주일 되던 날 몸속 양수가 빠지며 체중이 295g까지 내려갔다. 세계적으로도 300g 이하 신생아의 생존 사례는 거의 없었다. 주치의인 정의석 신생아과 교수 등 의료진은 밤낮으로 아이를 돌봤다. 엄마 이씨는 괴사성 장염을 예방하기 위해 매일 모유를 모았다. 아빠는 매일 병원으로 모유를 날랐다. 정 교수는 “손바닥 한 뼘도 되지 않던 사랑이가 가쁜 숨을 내쉬는 모습을 처음 봤을 때 그저 살리고 싶다는 생각만 들었다”며 “위기 상황마다 아이가 스스로 극복해내는 것을 보면서 생명의 위대함을 느꼈다”고 했다.
국내에서 한 해에 태어나는 1.5㎏ 미만 저체중 미숙아는 3000명에 이른다. 20여 년 전 1000명에서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생존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최근 5년간 태어난 500g 미만 초미숙아 33명의 생존율은 52%에 이른다. 이병섭 서울아산병원 신생아과장은 “국내 출산율은 급감하는 반면 미숙아 출산율은 높아지고 있다”며 “사랑이를 통해 국내 초미숙아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과 희망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