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이란핵합의 유지 금융채널 모색… '反트럼프' 첫 조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럽 각국 중앙은행 내 이란중앙은행 계좌 활성화 모색"
이란 외무 "핵합의 유지 실질적 조치 시작" 프랑스와 영국, 독일 정부가 미국이 탈퇴한 이란 핵합의를 유지하기 위해 미 달러화에 독립적인 금융채널을 모색하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복수의 유럽연합(EU) 관계자들을 인용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5월 핵합의에서 탈퇴한 미국은 이란과 거래하는 유럽기업을 제재하는 소위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 적용 방침을 천명하면서, 이란에서 활동 중인 기업에 대한 제재를 면제해 달라는 유럽국가들의 요청을 거절하는 등 강경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미국의 제재는 다음달 6일 복원된다.
이런 가운데 나온 이번 움직임은 유럽이 이란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려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정면으로 맞서면서, 핵합의를 유지하겠다는 약속을 지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첫 번째 구체적 징후라고 신문은 전했다. 논의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유럽 중앙은행들이 유로화·파운드화 또는 다른 통화로 거래되는 이란 중앙은행계좌를 활성화하거나, 수년간 휴면상태였던 계좌들을 재가동하는 것이 유럽 각국이 적극적으로 살펴보는 '합의 유지' 방안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이란이 더 쉽게 원유수출 수익을 자국으로 보낼 수 있게 하거나, 최소한 이란 자동차 산업에 필요한 예비 부품과 같은 중요한 제품을 유럽에서 사는 데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들 3개국 정부는 이달 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이란핵합의 서명국 외무장관 회의에서 이란 측에 자신들의 계획을 설명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또 오스트리아와 스웨덴을 포함해 여타 유럽 정부들도 같은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이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당시 페데리카 모게리니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5개국이 이란과 협상을 빠르게 진행하고 이란이 핵합의를 준수하면 원유수출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9일 "영·프·독 3개국이 미 달러화를 거치지 않는 독립적인 교역 채널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이런 채널은 유럽 중소기업이 미국의 제재에 피해를 보지 않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이란 측 역시 핵합의 서명국이 미국의 제재 복원에 맞서 실질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16일 "미국을 제외한 5개 핵합의 서명국이 현재 수준대로 이란의 원유 수출과 은행 거래, 수송을 유지하기로 약속했다"면서 "핵합의를 유지하기 위한 실질적 조처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5개 서명국과 은행 거래를 보장하고 원유 수출을 지속하는 구체적인 묘안을 도출하기 위해 계속 논의하고 있다"면서 "이들 정부가 미국의 제재에 제대로 맞설 수 있을 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이란 외무 "핵합의 유지 실질적 조치 시작" 프랑스와 영국, 독일 정부가 미국이 탈퇴한 이란 핵합의를 유지하기 위해 미 달러화에 독립적인 금융채널을 모색하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복수의 유럽연합(EU) 관계자들을 인용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5월 핵합의에서 탈퇴한 미국은 이란과 거래하는 유럽기업을 제재하는 소위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 적용 방침을 천명하면서, 이란에서 활동 중인 기업에 대한 제재를 면제해 달라는 유럽국가들의 요청을 거절하는 등 강경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미국의 제재는 다음달 6일 복원된다.
이런 가운데 나온 이번 움직임은 유럽이 이란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려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정면으로 맞서면서, 핵합의를 유지하겠다는 약속을 지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첫 번째 구체적 징후라고 신문은 전했다. 논의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유럽 중앙은행들이 유로화·파운드화 또는 다른 통화로 거래되는 이란 중앙은행계좌를 활성화하거나, 수년간 휴면상태였던 계좌들을 재가동하는 것이 유럽 각국이 적극적으로 살펴보는 '합의 유지' 방안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이란이 더 쉽게 원유수출 수익을 자국으로 보낼 수 있게 하거나, 최소한 이란 자동차 산업에 필요한 예비 부품과 같은 중요한 제품을 유럽에서 사는 데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들 3개국 정부는 이달 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이란핵합의 서명국 외무장관 회의에서 이란 측에 자신들의 계획을 설명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또 오스트리아와 스웨덴을 포함해 여타 유럽 정부들도 같은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이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당시 페데리카 모게리니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5개국이 이란과 협상을 빠르게 진행하고 이란이 핵합의를 준수하면 원유수출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9일 "영·프·독 3개국이 미 달러화를 거치지 않는 독립적인 교역 채널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이런 채널은 유럽 중소기업이 미국의 제재에 피해를 보지 않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이란 측 역시 핵합의 서명국이 미국의 제재 복원에 맞서 실질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16일 "미국을 제외한 5개 핵합의 서명국이 현재 수준대로 이란의 원유 수출과 은행 거래, 수송을 유지하기로 약속했다"면서 "핵합의를 유지하기 위한 실질적 조처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5개 서명국과 은행 거래를 보장하고 원유 수출을 지속하는 구체적인 묘안을 도출하기 위해 계속 논의하고 있다"면서 "이들 정부가 미국의 제재에 제대로 맞설 수 있을 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