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3.3㎡ 기준)이 대출 규제와 정국 혼란 등의 영향으로 6개월 만에 4000만원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부동산 플랫폼 기업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했더니 지난달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 가격은 3996만원으로 지난해 12월보다 5.2% 하락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7월 3987만원이던 평균 매매가는 8월 4000만원을 넘어선 뒤 12월(4213만원)까지 꾸준히 오르다가 지난달 뚝 떨어졌다. 직방 관계자는 “대출 규제와 정국 혼란으로 시장 분위기가 냉각돼 가격이 낮은 아파트 위주로 거래된 게 평균가를 낮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서초구가 12.6%로 하락 폭이 가장 컸다. 7639만원으로 전월(8742만원)에 비해 1000만원 넘게 하락했다. 거래량도 87건으로 전달(146건)보다 40%가량 감소했다. 래미안원베일리 등 고가 아파트 거래가 줄어든 영향이다. 지난달 서초구에서 15억원 넘는 아파트가 거래된 비중은 74.7%로, 작년 12월(83.6%)에 비해 8.9%포인트 낮았다. 이어 강북구(-5.9%) 관악구(-5.6%) 은평구(-4.3%) 강서구(-3.7%) 등의 순으로 가격이 하락했다.오른 곳은 종로구(31.0%) 서대문구(10.7%) 영등포구(6.3%) 용산구(5.8%) 도봉구(5.7%) 등으로 나타났다.지난달 신규 분양가는 올랐다. 이날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당 1335만원으로 전월보다 0.1% 올랐다. 최근 12개월간의 분양가를 평균한 값이다. 1년 전과 비교해선 18.8% 상승했다. 서울 분양가는 작년 11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뒤 12월 6.6% 하락했다. 3.3㎡ 기준으로 4413만원, 전용 84㎡는 11억2140만원에 해당한다.임근호 기자
서울 집값과 분양가가 급등하며 경기도 등 수도권 외곽으로 이주하는 ‘탈서울’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수도권에서 신규 아파트 공급도 줄어들 전망이어서 경기와 인천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17일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거주자가 매입한 경기도 아파트는 총 1만7093가구다. 2023년(1만3429가구)보다 27.3% 늘었다. 지난해 서울 집값 강세와 분양가 상승으로 서울을 떠나는 사람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국내 인구 이동 결과’를 보면 순유출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4만4692명)이었다. 서울 전출자의 70.8%가 경기와 인천으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이동 사유로는 주택(34.5%)이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지역별로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매입한 지역은 고양(1736가구)으로 나타났다. 남양주(1409가구), 용인(1341가구), 하남(1252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경기 지역에서 분양 중인 아파트에 관심이 쏠린다. 롯데건설은 의정부에 ‘의정부 롯데캐슬 나리벡시티’(투시도)를 공급 중이다. 이 단지는 지하 4층~지상 39층, 671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경전철 효자역이 가깝다. 수요자 자금 부담을 낮추기 위해 다양한 금융 혜택을 제공한다. 계약금 5% 중 2.5%는 대출 이자를 지원한다.DL이앤씨는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에 ‘아크로 베스티뉴’(1011가구)를 분양하고 있다. 지하철 4호선 범계역이 가까이 있다.한명현 기자
정부가 주거 안정 방안으로 내놓은 ‘기업형 장기임대주택’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17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 주체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신유형 장기임대주택 도입 필요성과 추진 방향’ 토론회가 열렸다. 국토부는 지난해 8월 리츠(부동산투자회사) 등 법인이 100가구 이상 주택을 20년 이상 장기간 임대하도록 한 신유형 장기민간임대주택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임대료 규제를 완화하고 세제 혜택을 줘 기업이 민간임대시장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국내 주택시장의 40%는 임대주택이 차지하고 있지만, 양질의 민간임대주택 공급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기 때문이다.지규현 한양사이버대 교수는 장기민간임대주택이 중산층의 주거 불안을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 교수는 “전세와 선분양으로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를 장기민간임대주택으로 보완할 수 있다”며 “임대사업자 특성에 따라 신혼부부나 고령자에게 맞춤형 특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했다. 그는 장기민간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토지주에게 리츠 지분 매각으로 안정적인 운영 수익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봤다.이어 김계흥 국토부 민간임대정책과 과장은 신유형 장기민간임대주택 공급을 위한 규제 완화 방안을 설명했다. 민간임대법상 임대료 규제를 차등적으로 완화할 방침이다. 또 장기임대주택 건설 때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용적률을 법적 상한의 1.2배까지 높여준다.한명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