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에 학교…아이들 살려달라"
"호흡기 질환 호소…재가동 반대"
회사측"억울하다"
"발암물질 나온 뒤에
집진시설 설치했는데…"
환경부 9년째 손놓고 방치
"유해물질 등 규정 마련 시급"
◆법 지키며 운영해도 오염 심각

회사 측은 이후 공장 재가동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이달 9일 경기도에 관련 신고를 마치고 11일에는 안양시 측에 악취배출신고 변경신고를 완료했다. 회사 관계자는 “아스콘 공장은 미세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세 가지 배출물질만 신고하면 인가가 이뤄진다”며 “작년 경기도 검사에서 발암물질이 나왔다고 해 이를 걸러내는 집진시설도 새로 설치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여전히 안전성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한 주민은 “벤조피렌 외에 유해물질이 적지 않은데 어떻게 믿을 수 있겠느냐”며 “밤에도 자는 도중 타이어가 타는 듯한 악취 때문에 잠을 깬 일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암과 호흡기 질환 등도 호소하고 있다. 올초 연현마을 주민들이 자체 조사한 결과 전체 주민 중 암환자 비율은 8.2%였다. 전국 암 유병률의 두 배가 넘는다. 지금까지는 공장 배출물질과의 상관관계가 증명되지 않았다.
◆유해물질 기준 마련 시급
아스콘 공장으로 갈등을 빚는 지역은 이곳뿐만이 아니다. 7년간 아스콘 공장 인근에서 근무한 경찰관 중 4명이 암에 걸려 사망한 경기 의왕과 주민들이 암과 호흡기 질환 등을 호소하는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등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환경부는 2009년부터 PAHs 등 유해물질 16종을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해왔으나 9년간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우선 벤조피렌 등 8개 물질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거쳐 입법 예고를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