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상승에 따른 수출증가 착시효과 유의…中 반도체 수급상황 정교히 모니터링" 미·중 통상분쟁이 시작된 가운데 올해 상반기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본격화하면 중국으로 수출에도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4일 국제금융센터의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 급증 배경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중국 비중은 26.7%로 사상 최대였다.
이는 미국, 유럽연합(EU), 일본으로 수출 비중의 합계(26.3%)보다도 크다.
홍콩까지 포함하면 대중 수출 비중은 34.4%까지 치솟는다.
지난해 연간 대중 수출 비중은 24.8%였는데 반년 새 더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대중 수출이 1년 전보다 21.1% 증가했으나 전체 수출 증가율은 6.5%에 그치면서 대중 수출 비중이 커진 것이다. 중국으로 수출 증가는 반도체, 석유화학 수출이 활발해진 영향이다.
상반기 반도체 중국 수출은 작년 동기보다 57.7% 급증했다.
중국의 스마트폰, 차세대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한국산 D램 수요가 늘었다.
한국 반도체 수출 중 중국으로 향한 비율이 41.7%나 됐다.
석유화학도 유가 상승에 힘입어 23.7%나 증가했다.
중국 수출에서 반도체, 석유화학제품 등 두 품목 비중은 절반에 가까운 47.3%에 달했다.
반면 평판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자동차부품 등 기존 주력 대중 수출 품목은 규모와 비중이 쪼그라들었다.
중국으로 수출 증가에는 기저효과도 있다.
중국 수출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감소세를 이어갔다.
보고서는 당분간 우려보다는 양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 세계 경제, 무역 성장세가 유지되고 중국의 고부가산업 생산 설비, 고급 소비재 신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서다.
그러나 미·중 무역분쟁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해 중국 경제와 글로벌 교역에 차질이 생기면 우리나라 대중 수출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미국의 중국산 제품 관세 부과에 한국도 영향권에 든다.
중국으로 수출 중 미국이 최종 귀착지인 경우는 5∼7% 정도다.
앞으로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 대상이 2천억달러 더 확대되면 한국의 대중 수출 직접 피해는 최대 99억5천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대중 수출의 약 7%가량이다.
이외에 중국 자체 조달 증가, 가공 무역 축소와 함께 중국 기업이 연말부터 반도체 자체 생산을 확대하는 점도 한국의 대중 수출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보고서는 "최근 한·중 기술격차가 빠르게 줄어드는 상황에서 G2(미국·중국) 무역분쟁이 격화될 경우 대중 수출, 경상수지 흑자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이어 "유가 반등에 따른 대중 수출 증가 착시 효과에 유의하는 한편 중국의 반도체 수급 상황을 정교하게 모니터링 해야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