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명 사망' 영흥도 낚싯배 사고… 해경 보완대책 미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경 직통 신고전화 없이 접수 업무만 지방청으로 일원화
지난해 15명이 숨진 인천 영흥도 낚싯배 충돌 사고를 계기로 해경이 신고전화 접수 체계 개선방안을 내놨지만, 핵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고 당시 문제로 지적된 해경 직통 신고전화는 설치하지 않고 신고 접수 업무를 일선 해경서에서 지방해경청으로 옮기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25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해경은 올해 9월부터 긴급신고 전화를 일선 해경서가 아닌 지방청으로 통합해 접수할 계획이다.
현재 9억원을 들여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시스템 구축이 끝나면 해상 사고와 관련한 긴급신고 전화는 기존 19개 해경서 상황실이 아닌 5개 지방청 상황센터가 접수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낚시꾼 등 15명이 숨진 인천 영흥도 낚싯배 충돌 사고 당시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당시 인천경찰청 112상황실은 사고 신고를 접수했다가 사고 지점 등을 확인하느라 4분 20초가량 지나서야 해경에 연락했다.
당시 1분 1초가 다급한 상황에서 해경 상황실과 경찰 112상황실 근무자가 각각 신고자에게 비슷한 질문을 되풀이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사고 당시 인천해경서장(총경), 본청 상황센터장(총경), 인천해경서 상황실장, 상황실 근무자 등이 무더기로 징계를 받았다.
긴급신고 전화 시스템과 관련한 여론의 비판이 거세자 해경은 사고 발생 16일 만에 해양수산부와 함께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현장 대응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112나 119를 거치게 돼 있는 신고 시스템을 개편해 해양사고 신고전화가 해경에 즉각 연결되도록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번에 새로 마련한 관련 대책에서 해경 직통 신고전화는 빠졌다.
과거에는 해상 사고 때 해경으로 곧바로 신고하는 해양긴급 구조 신고전화가 운영됐다.
그러나 2007년 7월부터 운영하던 해양사고 긴급신고전화 '122(원투투)'는 2016년 10월 소방 119로 통합됐다.
당시 국민안전처는 각종 신고전화가 기관마다 별도로 존재해 국민 생명이 걸린 위급한 순간에 혼란을 일으킨다며 긴급전화 통폐합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해경 내부에서는 경찰이나 소방당국보다 신고전화를 먼저 접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신속하게 초기 대응에 나서지 못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해경 한 직원은 "아무래도 경찰이나 소방을 거쳐 신고 접수를 하면 곧바로 해경이 접수하는 것보다 대응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며 "육상 사고인지 해상 사고인지 구분하는 과정에서 단 몇 분이라도 출동이 늦어진다"고 말했다.
해경청 관계자는 "122 신고전화를 10년가량 운영했으나 112와 119 등 흔히 알고 있는 신고전화와 달리 제대로 정착이 되지 않았다"며 "다시 122 번호를 살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사고 당시 문제로 지적된 해경 직통 신고전화는 설치하지 않고 신고 접수 업무를 일선 해경서에서 지방해경청으로 옮기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25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해경은 올해 9월부터 긴급신고 전화를 일선 해경서가 아닌 지방청으로 통합해 접수할 계획이다.
현재 9억원을 들여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시스템 구축이 끝나면 해상 사고와 관련한 긴급신고 전화는 기존 19개 해경서 상황실이 아닌 5개 지방청 상황센터가 접수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낚시꾼 등 15명이 숨진 인천 영흥도 낚싯배 충돌 사고 당시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당시 인천경찰청 112상황실은 사고 신고를 접수했다가 사고 지점 등을 확인하느라 4분 20초가량 지나서야 해경에 연락했다.
당시 1분 1초가 다급한 상황에서 해경 상황실과 경찰 112상황실 근무자가 각각 신고자에게 비슷한 질문을 되풀이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사고 당시 인천해경서장(총경), 본청 상황센터장(총경), 인천해경서 상황실장, 상황실 근무자 등이 무더기로 징계를 받았다.
긴급신고 전화 시스템과 관련한 여론의 비판이 거세자 해경은 사고 발생 16일 만에 해양수산부와 함께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현장 대응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112나 119를 거치게 돼 있는 신고 시스템을 개편해 해양사고 신고전화가 해경에 즉각 연결되도록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번에 새로 마련한 관련 대책에서 해경 직통 신고전화는 빠졌다.
과거에는 해상 사고 때 해경으로 곧바로 신고하는 해양긴급 구조 신고전화가 운영됐다.
그러나 2007년 7월부터 운영하던 해양사고 긴급신고전화 '122(원투투)'는 2016년 10월 소방 119로 통합됐다.
당시 국민안전처는 각종 신고전화가 기관마다 별도로 존재해 국민 생명이 걸린 위급한 순간에 혼란을 일으킨다며 긴급전화 통폐합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해경 내부에서는 경찰이나 소방당국보다 신고전화를 먼저 접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신속하게 초기 대응에 나서지 못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해경 한 직원은 "아무래도 경찰이나 소방을 거쳐 신고 접수를 하면 곧바로 해경이 접수하는 것보다 대응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며 "육상 사고인지 해상 사고인지 구분하는 과정에서 단 몇 분이라도 출동이 늦어진다"고 말했다.
해경청 관계자는 "122 신고전화를 10년가량 운영했으나 112와 119 등 흔히 알고 있는 신고전화와 달리 제대로 정착이 되지 않았다"며 "다시 122 번호를 살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