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축산업계 블록체인 활용, 정부와 시장의 '동상이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축산업 블록체인 기술 적용 정책토론회
정부 "블록체인에 암호화폐 필요 없어"
시장 "암호화폐 기반 참여 유도가 핵심"
"스마트폰 보급된 것 처럼 정부에겐 결정권 없다"
정부 "블록체인에 암호화폐 필요 없어"
시장 "암호화폐 기반 참여 유도가 핵심"
"스마트폰 보급된 것 처럼 정부에겐 결정권 없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게 기존 서버 기반 시스템에서 보안성이 약간 개선된다는 것 외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 “토큰이코노미를 기반으로 참여자들이 집단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을 추구해야 한다.” “정부가 예산을 들여 블록체인을 보급한다는 생각을 버려라. 정부는 나서지 않아도 된다. 시장이 알아서 할 문제다.”
지난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축산산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입히다’ 주제의 정책토론회에서 나온 발언들이다.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블록체인을 둘러싼 정부와 시장의 동상이몽이 여실히 드러났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블록체인 기반 소 이력관리시스템 도입 계획을 밝혔다. 윤갑석 축산물품질평가원 이력관리처장은 “소의 귀에 RFID(무선주파수인식) 표를 붙이고 도축장에 비콘(Beacon)을 설치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육·도축·유통 등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해 실시간 공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유성원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사업처장은 “퍼블릭 블록체인이 아닌 ‘하이퍼렛저’ 기반으로 구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하이퍼렛저는 모든 산업군에 범용화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리눅스재단과 IBM이 프로젝트를 주도했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로 꼽힌 속도와 수수료 문제를 피했다. 특정 인원만 참여할 수 있어 토큰이코노미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시장 관계자들은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환영하면서도 그 범위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그쳐서는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종근 육그램 대표는 “운송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온도, 습도 등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담는다면 소비자 입장에서 고기가 어떻게 이송 및 관리됐는지 추적하기 편리할 것”이라며 “축산업은 대금 결제가 늦어 생산자들이 투자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문제도 해결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도 “소비자가 운송 과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금 결제 역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면 실시간 처리돼 불필요 요소를 제거 가능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단 프라이빗 블록체인 도입으로는 소비자 참여를 유도할 수 없다면서 토큰이코노미를 활용한 양방향 참여를 블록체인의 핵심으로 꼽았다. 그는 “블록체인에 등록된 정보는 위·변조가 어렵지만 등록 이전에 정보가 조작될 가능성도 있다. 잘못된 정보를 신고하면 보상을 주고 잘못된 정보가 만들어지도록 한 이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을 표준화해 농·수산물에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황성재 파운데이션엑스 대표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토큰이코노미를 적용하면 소비자들의 쇠고기 맛 평가를 유도할 수 있다. 맛있는 고기를 만든 축산업계 실력자들이 실질적으로 나은 대우를 받도록 하고, 다른 농가들도 고기 품질 개선에 노력하게끔 만드는 선순환구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황 대표는 “사용자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할 수 있는 인센티브 시스템이 블록체인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전국에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며 의구심을 표했다.
이에 김태경 건국대 축산경영연구소 연구원은 “블록체인을 정부가 보급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시장이 알아서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연구원은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갈 때 사람들은 뭐가 좋은지 몰랐다. 하지만 사용하면서 차이를 알게 됐고 자연스레 스마트폰 중심으로 시장이 바뀌었다”면서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하는 축산기업이 늘고 있으니 시장이 판단하고 움직일 것이다. 시간의 문제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지난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축산산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입히다’ 주제의 정책토론회에서 나온 발언들이다.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블록체인을 둘러싼 정부와 시장의 동상이몽이 여실히 드러났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블록체인 기반 소 이력관리시스템 도입 계획을 밝혔다. 윤갑석 축산물품질평가원 이력관리처장은 “소의 귀에 RFID(무선주파수인식) 표를 붙이고 도축장에 비콘(Beacon)을 설치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육·도축·유통 등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해 실시간 공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유성원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사업처장은 “퍼블릭 블록체인이 아닌 ‘하이퍼렛저’ 기반으로 구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하이퍼렛저는 모든 산업군에 범용화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리눅스재단과 IBM이 프로젝트를 주도했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로 꼽힌 속도와 수수료 문제를 피했다. 특정 인원만 참여할 수 있어 토큰이코노미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시장 관계자들은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환영하면서도 그 범위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그쳐서는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종근 육그램 대표는 “운송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온도, 습도 등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담는다면 소비자 입장에서 고기가 어떻게 이송 및 관리됐는지 추적하기 편리할 것”이라며 “축산업은 대금 결제가 늦어 생산자들이 투자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문제도 해결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도 “소비자가 운송 과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금 결제 역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면 실시간 처리돼 불필요 요소를 제거 가능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단 프라이빗 블록체인 도입으로는 소비자 참여를 유도할 수 없다면서 토큰이코노미를 활용한 양방향 참여를 블록체인의 핵심으로 꼽았다. 그는 “블록체인에 등록된 정보는 위·변조가 어렵지만 등록 이전에 정보가 조작될 가능성도 있다. 잘못된 정보를 신고하면 보상을 주고 잘못된 정보가 만들어지도록 한 이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을 표준화해 농·수산물에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황성재 파운데이션엑스 대표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토큰이코노미를 적용하면 소비자들의 쇠고기 맛 평가를 유도할 수 있다. 맛있는 고기를 만든 축산업계 실력자들이 실질적으로 나은 대우를 받도록 하고, 다른 농가들도 고기 품질 개선에 노력하게끔 만드는 선순환구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황 대표는 “사용자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할 수 있는 인센티브 시스템이 블록체인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전국에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며 의구심을 표했다.
이에 김태경 건국대 축산경영연구소 연구원은 “블록체인을 정부가 보급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시장이 알아서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연구원은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갈 때 사람들은 뭐가 좋은지 몰랐다. 하지만 사용하면서 차이를 알게 됐고 자연스레 스마트폰 중심으로 시장이 바뀌었다”면서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하는 축산기업이 늘고 있으니 시장이 판단하고 움직일 것이다. 시간의 문제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