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의과학대 교수팀, 한국인 맞춤형 유도만능줄기세포주 구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연구팀이 한국인에게 면역 거부 반응 없이 이식할 수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주를 구축했다. 맞춤형 세포 제작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한층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차의과학대는 송지환 의생명과학과 교수팀(사진)이 한국인 맞춤형 유도만능줄기세포주(iPSC)를 구축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줄기세포분야 국제학술지인 스템셀 온라인판에 실렸다.
송 교수팀은 제대혈의 인간백혈구항원(HLA)을 하플로타입별로 스크리닝해 한국인에게 빈도 높은 제대혈 10종류를 선정했다. 이를 통해 iPSC를 제작했다. 이론적으로 이번에 만든 iPSC는 한국인 41.7%에게 면역거부반응 없이 이식할 수 있다.
iPSC를 환자 체세포로 만들면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낮다. 그러나 환자에게서 뽑은 체세포를 iPSC로 배양하고 이식하는 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송 교수팀이 만든 iPSC를 활용하면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HLA 하플로타입별로 iPSC를 배양해 여러 세포로 분화시킨 뒤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송 교수팀이 이번에 제작한 10종의 세포주는 HLA 하플로타입만 맞으면 대다수 환자에게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HLA는 사람 간 조직을 구별하는 항원이다. HLA 유형이 다른 사람의 장기나 세포를 이식하면 심각한 거부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HLA 유형은 하플로타입에 따라 결정된다.
송 교수팀은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이번에 구축한 세포주가 일본, 중국 등 대다수 아시아권 사람들에게도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 한국인 상위 10종의 세포주 중 일본인과 일치하는 세포주는 6종, 중국인은 5종이었다.
송 교수는 "iPSC를 이용한 맞춤형 세포제작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며 "HLA 하플로타입의 유사성을 토대로 일본 중국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가와 협력하면 국제적 차원에서의 유용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및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차의과학대는 송지환 의생명과학과 교수팀(사진)이 한국인 맞춤형 유도만능줄기세포주(iPSC)를 구축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줄기세포분야 국제학술지인 스템셀 온라인판에 실렸다.
송 교수팀은 제대혈의 인간백혈구항원(HLA)을 하플로타입별로 스크리닝해 한국인에게 빈도 높은 제대혈 10종류를 선정했다. 이를 통해 iPSC를 제작했다. 이론적으로 이번에 만든 iPSC는 한국인 41.7%에게 면역거부반응 없이 이식할 수 있다.
iPSC를 환자 체세포로 만들면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낮다. 그러나 환자에게서 뽑은 체세포를 iPSC로 배양하고 이식하는 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송 교수팀이 만든 iPSC를 활용하면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HLA 하플로타입별로 iPSC를 배양해 여러 세포로 분화시킨 뒤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송 교수팀이 이번에 제작한 10종의 세포주는 HLA 하플로타입만 맞으면 대다수 환자에게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HLA는 사람 간 조직을 구별하는 항원이다. HLA 유형이 다른 사람의 장기나 세포를 이식하면 심각한 거부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HLA 유형은 하플로타입에 따라 결정된다.
송 교수팀은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이번에 구축한 세포주가 일본, 중국 등 대다수 아시아권 사람들에게도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 한국인 상위 10종의 세포주 중 일본인과 일치하는 세포주는 6종, 중국인은 5종이었다.
송 교수는 "iPSC를 이용한 맞춤형 세포제작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며 "HLA 하플로타입의 유사성을 토대로 일본 중국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가와 협력하면 국제적 차원에서의 유용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및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