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미중 무역갈등 심화로 한국경제 부정적 영향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불확실성 높은 시기…위기 시 시장 안정화 조치"
한국은행은 "미중 간 무역갈등 심화에 따른 교역 여건 악화로 우리 경제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은은 26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최근 금융·경제 상황을 두고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라고 진단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금융시장을 안갯속으로 몰아넣는 변수는 글로벌 무역분쟁, 미국의 금리 인상 지속이다.
미국과 중국은 이달 초 340억달러 규모의 상대국 제품에 25% 관세를 매겼다.
이후 미국은 2천억달러어치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고 중국도 맞대응을 예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월에 이어 6월 정책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은은 "경제여건 작은 변화에도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며 "정책 방향과 관련해 일관성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제전망 정확도를 높여 정책 예측 가능성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금융·외환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일 경우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실시하고 금융·외환시장 불안 시에 대비한 비상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을 지속해서 보완·점검하겠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는 정부 주택시장·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신용대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점, 전반적인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한은은 "일부 신흥시장국 금융불안 발생 우려,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 대외 리스크 요인 모니터링도 한층 강화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금리 인상 발걸음을 재촉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을 긴장케 하지만 일본은 아직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정하진 않고 있다.
일본은행은 낮은 물가상승률이 지속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 4월, 6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완화적 통화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물가상승률이 중기적으로 목표인 2%에 도달하리라는 기존 전망도 유지했다.
다만 금융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방향 전환을 검토한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30∼31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저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정책금리 목표와 자산매입 방식을 바꾸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는 것이다.
중국인민은행은 정책금리에 해당하는 은행의 1년 만기 예금·대출금리를 종전 수준에서 유지했다.
다만 4월과 6월 지급준비율을 각각 1%포인트, 0.5%포인트 인하했다.
지급준비율을 내리면 시중에 돈이 풀리는 효과가 난다.
이에 더해 중국 정부는 최근 내수확대 지원을 위한 금융 및 재정정책 강화 방침을 밝혔다.
시장에서는 중국이 미중 무역갈등으로 성장세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고 풀이하고 있다. 미국, 유럽, 영국, 일본을 제외하고 주요 20개국(G20) 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21개국 가운데 15개국이 4∼7월 정책금리를 동결했다.
인도네시아, 인도, 멕시코, 체코, 터키, 캐나다는 금리를 올렸다.
인도, 캐나다는 성장세 지속 때문에, 인도네시아는 환율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금리를 인상했다.
멕시코, 체코, 터키는 유가 상승과 자국 통화가치 절하 등 경제·금융 불안에 대응해 정책금리를 올렸다.
/연합뉴스
한은은 26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최근 금융·경제 상황을 두고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라고 진단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금융시장을 안갯속으로 몰아넣는 변수는 글로벌 무역분쟁, 미국의 금리 인상 지속이다.
미국과 중국은 이달 초 340억달러 규모의 상대국 제품에 25% 관세를 매겼다.
이후 미국은 2천억달러어치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고 중국도 맞대응을 예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월에 이어 6월 정책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은은 "경제여건 작은 변화에도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며 "정책 방향과 관련해 일관성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제전망 정확도를 높여 정책 예측 가능성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금융·외환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일 경우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실시하고 금융·외환시장 불안 시에 대비한 비상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을 지속해서 보완·점검하겠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는 정부 주택시장·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신용대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점, 전반적인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한은은 "일부 신흥시장국 금융불안 발생 우려,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 대외 리스크 요인 모니터링도 한층 강화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금리 인상 발걸음을 재촉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을 긴장케 하지만 일본은 아직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정하진 않고 있다.
일본은행은 낮은 물가상승률이 지속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 4월, 6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완화적 통화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물가상승률이 중기적으로 목표인 2%에 도달하리라는 기존 전망도 유지했다.
다만 금융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방향 전환을 검토한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30∼31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저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정책금리 목표와 자산매입 방식을 바꾸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는 것이다.
중국인민은행은 정책금리에 해당하는 은행의 1년 만기 예금·대출금리를 종전 수준에서 유지했다.
다만 4월과 6월 지급준비율을 각각 1%포인트, 0.5%포인트 인하했다.
지급준비율을 내리면 시중에 돈이 풀리는 효과가 난다.
이에 더해 중국 정부는 최근 내수확대 지원을 위한 금융 및 재정정책 강화 방침을 밝혔다.
시장에서는 중국이 미중 무역갈등으로 성장세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고 풀이하고 있다. 미국, 유럽, 영국, 일본을 제외하고 주요 20개국(G20) 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21개국 가운데 15개국이 4∼7월 정책금리를 동결했다.
인도네시아, 인도, 멕시코, 체코, 터키, 캐나다는 금리를 올렸다.
인도, 캐나다는 성장세 지속 때문에, 인도네시아는 환율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금리를 인상했다.
멕시코, 체코, 터키는 유가 상승과 자국 통화가치 절하 등 경제·금융 불안에 대응해 정책금리를 올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