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에 암기식 '서당교육'은 실업자 양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각계 원로, 평준화·대입제도 개편에만 몰두한 '역주행 교육'에 쓴소리
교육개혁추진위 토론회
윤증현 "사교육 없애기 목표로 삼는 정책은 본말전도"
이주호 "ICT 접목한 '에듀테크' 교실, 현장에 도입해야"
김승유 "자사고 폐지 대신 일반고 교육 다양화해야"
교육개혁추진위 토론회
윤증현 "사교육 없애기 목표로 삼는 정책은 본말전도"
이주호 "ICT 접목한 '에듀테크' 교실, 현장에 도입해야"
김승유 "자사고 폐지 대신 일반고 교육 다양화해야"
전직 장관 및 교육가, 기업인 등 원로급 인사들이 “세계적인 교육 대전환 시기에 한국 교육정책은 우왕좌왕하고 있다”며 “교육계와 학계가 정부에 주문만 하지 말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학습혁명을 주도하자”고 제안했다. 이들은 “디지털기술을 접목한 첨단 에듀테크를 서둘러 도입하고, 대학이 혁신 생태계 허브가 될 수 있도록 자율과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의식 교육모델 폐기해야”
시민단체 바른사회운동연합의 교육개혁추진위원회는 2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한민국의 미래교육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란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이기수 전 고려대 총장, 정창영 전 연세대 총장,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신영무 전 대한변호사협회장, 정일화 대전교원단체총연합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발제를 맡은 이 전 장관은 “대입제도 개편에 온 나라가 매달려 있을 게 아니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교육혁명부터 서둘러야 한다”며 “250년 넘게 유지된 대량생산 방식, 강의식 교육모델은 이제 폐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약 65%가 지금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직업을 가질 것으로 예측됐다”며 “시험문제만 잘 푸는 과거형 인재는 인공지능(AI)과 로봇으로 대체돼 일자리를 얻을 수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디지털교과서 등 정보통신기술(ICT)과 교육을 접목한 에듀테크를 현장 교실에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교사가 모든 학생에게 각각 최적의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이너’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전 장관은 “교사 재교육을 늘리고, 석사학위 이상을 받고 1년 교생실습을 해야 교사가 될 수 있는 핀란드처럼 교사 양성체제를 획기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I 시대에 ‘서당 교육’ 답습”
시대에 뒤처진 교육이 공교육 불신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 부회장은 “공교육을 불신하는 이유는 학교에서 배운 걸 사회에서 써먹을 수 없기 때문”이라며 “지식과 정보 생산주기가 짧아지고 있는데 학교 교육은 암기식 ‘서당 교육’을 답습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전 장관도 “이제까지 공교육은 ‘사교육 없애기’를 목표로 삼는 본말전도 현상을 보였다”며 “사교육 부담을 없애야 하는 건 맞지만 교육의 본질, 즉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부터 명확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부와 일선 교육청이 추진 중인 정책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도 쏟아졌다. 이 전 장관은 “세계적으로 교육 대전환의 시기에 한국 교육정책은 표류하거나 역주행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자율형사립고, 특수목적고는 기존의 교육이 지나치게 획일적으로 이뤄진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라며 “최근 자사고 폐지론 등 교육이 다시 평준화와 획일화로 역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회장은 “교육부가 일반고에서도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이 이뤄지도록 지원해줘야지 잘하고 있는 자사고를 없애는 식으로 교육 격차를 좁히려 한다”고 꼬집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강의식 교육모델 폐기해야”
시민단체 바른사회운동연합의 교육개혁추진위원회는 2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한민국의 미래교육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란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이기수 전 고려대 총장, 정창영 전 연세대 총장,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신영무 전 대한변호사협회장, 정일화 대전교원단체총연합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발제를 맡은 이 전 장관은 “대입제도 개편에 온 나라가 매달려 있을 게 아니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교육혁명부터 서둘러야 한다”며 “250년 넘게 유지된 대량생산 방식, 강의식 교육모델은 이제 폐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약 65%가 지금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직업을 가질 것으로 예측됐다”며 “시험문제만 잘 푸는 과거형 인재는 인공지능(AI)과 로봇으로 대체돼 일자리를 얻을 수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디지털교과서 등 정보통신기술(ICT)과 교육을 접목한 에듀테크를 현장 교실에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교사가 모든 학생에게 각각 최적의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이너’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전 장관은 “교사 재교육을 늘리고, 석사학위 이상을 받고 1년 교생실습을 해야 교사가 될 수 있는 핀란드처럼 교사 양성체제를 획기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I 시대에 ‘서당 교육’ 답습”
시대에 뒤처진 교육이 공교육 불신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 부회장은 “공교육을 불신하는 이유는 학교에서 배운 걸 사회에서 써먹을 수 없기 때문”이라며 “지식과 정보 생산주기가 짧아지고 있는데 학교 교육은 암기식 ‘서당 교육’을 답습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전 장관도 “이제까지 공교육은 ‘사교육 없애기’를 목표로 삼는 본말전도 현상을 보였다”며 “사교육 부담을 없애야 하는 건 맞지만 교육의 본질, 즉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부터 명확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부와 일선 교육청이 추진 중인 정책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도 쏟아졌다. 이 전 장관은 “세계적으로 교육 대전환의 시기에 한국 교육정책은 표류하거나 역주행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자율형사립고, 특수목적고는 기존의 교육이 지나치게 획일적으로 이뤄진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라며 “최근 자사고 폐지론 등 교육이 다시 평준화와 획일화로 역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회장은 “교육부가 일반고에서도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이 이뤄지도록 지원해줘야지 잘하고 있는 자사고를 없애는 식으로 교육 격차를 좁히려 한다”고 꼬집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