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손길이 미지지 않은 채 잘 보존돼있는 바다는 전체의 13%에 불과하다는 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전 세계 인간 피해 안 겪은 바다 불과 13%"
태평양의 외진 바다나 극지방 바다를 제외하고는 생태계가 잘 보존돼있는 바다는 지구 상에 사실상 없다는 것이다.

대규모 고기잡이 선단을 비롯해 전 세계를 오가는 해상 운송 선박, 육지에서 유입되는 오염원 등이 기후변화와 한데 엮여 바다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호주 퀸즐랜드대와 야생동물보호협회(WCS) 연구팀이 주장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6일(현지시간) 전했다.

그나마 잘 보존돼있는 13% 가운데 불과 5% 만이 해양보존구역 내에 있어 나머지 바다는 언제든 오염될 수 있다는 것.
퀸즐랜드대 켄달 존스는 "잘 보존돼있는 바다가 얼마나 적은지 알고서 무척 놀랐다"며 "바다는 지구의 70%를 덮고 있지만 우리는 방대한 바다 생태계 대부분에 충격을 가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공해(公海) 보전조약이 시급히 체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는 9월 열리는 유엔해양법협약(UNCLOS) 회의에서는 이 문제가 다뤄진다.

공해 상에서 고기잡이에 나서는 선박들에 각국 정부가 매년 지급하는 40억 달러(4조4천760억원 상당) 규모의 보조금이 삭감돼야 한다고 아울러 강조했다.
"전 세계 인간 피해 안 겪은 바다 불과 13%"
존스는 "공해 상에서 이뤄지는 조업은 보조금이 없으면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손길이 미치는 수준이 최저 10%인 바다를 잘 보존된 바다로 분류했다.

이런 바다는 대부분 공해 상에 있다.

하지만 보호되고 있는 바다는 드물다.

바다 탐험 및 고기잡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이 더 깊은 곳에서 고기를 잡고 더 먼 바다까지 나가게 되면서 생태계가 잘 보존된 바다도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우려했다.

기후변화도 바다 생태계 훼손에 한몫하고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북극 생태계는 빙산 덕에 잘 보존됐으나 이후 빙산이 녹고 고기잡이 배가 북극 깊숙이 들어가면서 훼손되고 말았다는 것.
이에 불구하고 인도양 서부 영국령인도양식민지의 먼바다 산호 서식 구역은 생태계가 잘 보존된 곳이다.

남극대륙에서는 주요 어업회사들이 세계 최대 해양보호구역 지정을 지지하고 있다.

이런 내용은 '현대생물학'(Current B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에 앞서 지난 1월 과학자들은 1950년 이후 물속에서 산소가 충분하지 않아 생물이 살 수 없는 이른바 '데드 존'(dead zone)이 4배 증가하면서 해양이 질식상태에 빠져 들어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전 세계 인간 피해 안 겪은 바다 불과 13%"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