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너무 올랐나"… 파주·연천·고성 거래 급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파주, 한 달 새 거래량 절반 '뚝'
"남북관계 개선 기대만으론 한계"
"남북관계 개선 기대만으론 한계"
주요 접경지역 토지·임야 거래가 급감하고 있다. 남북한 관계 개선과 경제협력 기대감에 가격이 단기 급등하자 부담을 느끼고 돌아서는 매수인이 늘어나는 영향이다.
29일 경기도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이달 27일까지 파주 지역 토지·임야 거래량은 계약일을 기준으로 289건을 기록해 지난달(667건) 대비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남북 정상회담을 전후해 3~5월 평균 거래량이 1000건을 넘은 것과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연천은 지난 5월만 해도 예년의 두 배 수준인 558건의 토지와 임야가 거래됐지만 지난달엔 419건으로 줄었다. 이달 중순엔 218건으로 다시 반 토막 났다.
현지 중개업소들은 땅값이 서너 달 사이 두 배 이상 급등하자 매수 의향을 보이던 이들이 발길을 돌리고 있다고 전했다. 파주 군내면 통일촌 H공인 관계자는 “총 매매가격이 3000만~5000만원으로 비교적 작은 물건을 제외하면 거래된 게 없다”면서 “정전협정이나 통일경제특구 지정, 민간인통제선 해제 같은 구체적인 발표가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기대만으로 시세가 올라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정치 변수에 민감한 지역인 만큼 미국 중간선거를 전후로 미·북관계에 특별한 진전이 있지 않은 이상 단기적인 추가 상승은 어려울 것이란 게 일선 중개업소들의 관측이다.
연천과 강원 고성, 철원 등 다른 접경지역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동해선 국내 단절구간 복구와 남북 연결이 가시권에 든 고성은 올해 파주 다음으로 땅값이 많이 오른 지역이다. 고성군 죽왕면 소망공인 관계자는 “3.3㎡당 40만원을 밑돌던 땅값이 100만원 이상에 매물로 나오고 있다”며 “철로가 지나는 바닷가 쪽 일부 지역은 이미 전고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철원은 민통선 내 경원선 역사 신설 예정지인 강산리를 중심으로 30~40%가량 오르다 거래가 끊기며 정체되고 있다. 민태원 운수대통공인 대표는 “몇 달 전까지만 해도 3.3㎡당 12만~15만원대이던 땅의 호가가 25만원까지 올랐으니 매수인으로선 거품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며 “지주들은 여전히 추가 상승을 기대하고 있어 거래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과거에도 남북관계가 개선 조짐을 보일 때마다 접경지역 부동산이 들썩이다 주저앉은 전례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종율 보보스부동산연구소 대표는 “접경지역 투자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구체적인 사업계획이나 고시·공고가 나온 뒤 실행에 옮겨도 늦지 않다”며 “비무장지대(DMZ)나 민통선 안쪽 같은 위험한 지역에 선행 투자하는 것은 도박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
29일 경기도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이달 27일까지 파주 지역 토지·임야 거래량은 계약일을 기준으로 289건을 기록해 지난달(667건) 대비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남북 정상회담을 전후해 3~5월 평균 거래량이 1000건을 넘은 것과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연천은 지난 5월만 해도 예년의 두 배 수준인 558건의 토지와 임야가 거래됐지만 지난달엔 419건으로 줄었다. 이달 중순엔 218건으로 다시 반 토막 났다.
현지 중개업소들은 땅값이 서너 달 사이 두 배 이상 급등하자 매수 의향을 보이던 이들이 발길을 돌리고 있다고 전했다. 파주 군내면 통일촌 H공인 관계자는 “총 매매가격이 3000만~5000만원으로 비교적 작은 물건을 제외하면 거래된 게 없다”면서 “정전협정이나 통일경제특구 지정, 민간인통제선 해제 같은 구체적인 발표가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기대만으로 시세가 올라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정치 변수에 민감한 지역인 만큼 미국 중간선거를 전후로 미·북관계에 특별한 진전이 있지 않은 이상 단기적인 추가 상승은 어려울 것이란 게 일선 중개업소들의 관측이다.
연천과 강원 고성, 철원 등 다른 접경지역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동해선 국내 단절구간 복구와 남북 연결이 가시권에 든 고성은 올해 파주 다음으로 땅값이 많이 오른 지역이다. 고성군 죽왕면 소망공인 관계자는 “3.3㎡당 40만원을 밑돌던 땅값이 100만원 이상에 매물로 나오고 있다”며 “철로가 지나는 바닷가 쪽 일부 지역은 이미 전고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철원은 민통선 내 경원선 역사 신설 예정지인 강산리를 중심으로 30~40%가량 오르다 거래가 끊기며 정체되고 있다. 민태원 운수대통공인 대표는 “몇 달 전까지만 해도 3.3㎡당 12만~15만원대이던 땅의 호가가 25만원까지 올랐으니 매수인으로선 거품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며 “지주들은 여전히 추가 상승을 기대하고 있어 거래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과거에도 남북관계가 개선 조짐을 보일 때마다 접경지역 부동산이 들썩이다 주저앉은 전례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종율 보보스부동산연구소 대표는 “접경지역 투자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구체적인 사업계획이나 고시·공고가 나온 뒤 실행에 옮겨도 늦지 않다”며 “비무장지대(DMZ)나 민통선 안쪽 같은 위험한 지역에 선행 투자하는 것은 도박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