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하마을 방문한 김병준… '친노반문'으로 승부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권력 쥐면 국가주의로 흘러"
연일 文정부 노선에 각세우기
한국당 일각 봉하 방문 반대엔
"사회통합 차원서 이해해달라"
연일 文정부 노선에 각세우기
한국당 일각 봉하 방문 반대엔
"사회통합 차원서 이해해달라"
김병준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찾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했다. 문재인 정부를 ‘국가주의’와 ‘대중인기영합주의’로 몰아붙이면서 정치 진영을 넘어서는 화합을 주장해온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정부·여당이) 권력을 쥐면 뭔가를 해보고 싶은 ‘관성’이 국가주의로 흐르게 된 배경”이라며 “견제세력이 약할 땐 더더욱 그런 경향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치권에선 김 위원장의 행보를 ‘친노(친노무현)·반문(반문재인)’ 노선을 구축하겠다는 의도로 분석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묘소 참배 후 노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를 예방했다. 한국당 내에 노 전 대통령 참배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얘기지만 우리 국민 모두가 함께 만드는 세상, 사회 통합 차원에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권 여사와의 비공개 면담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정치적인 얘기는 전혀 주고받지 않았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국가주의 논쟁’에 대해 “이 문제는 하루 이틀 얘기가 아니다”며 “우리 시민들의 잠재 역량과 시장의 규모로 봤을 때 이제는 탈국가주의로 갈 때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오전에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도 정부의 ‘먹방’(시식 방송프로그램) 규제와 프랜차이즈업계에 대한 원가 공개 요구 등을 예로 꺼내들며 “조선 시대도 아니고 왜 국가가 일일이 먹는 데까지 간섭하고 시장에 개입하냐”며 “우리 사회의 새 틀 짜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 정부 경제정책 방향인 소득주도성장에 대해서는 “진보진영에 성장이론이 없다는 증거이자, 자영업자가 30% 가까이 되는 우리 현실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국가주의에 대한 청와대·여당의 반박에 대해서는 “(여권 내) 문화가 얼마나 오래되고 그 속에서 깊이 살았으면 감각 없이 국가주의가 아니라고 하느냐”고 쏘아붙였다. 또 한국당에 대해서도 “정치권 전체가 소위 진영 계파 논리에 휩싸여 있다”며 “한국당이 안보만 내세우고 다른 가치를 점유하지 못한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연일 현 정부 정책기조를 놓고 국가주의 대 시장주의로 ‘프레임 대결’을 펼치는 것은 구체적인 쟁점 현안에서 정부·여당과 사사건건 각을 세우는 대신 굵직한 담론·기조를 놓고 승부를 보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이날 △당내 가치재정립소위 △공천시스템 개혁소위 △정당개혁소위 △입법개혁소위 등 4개 소위원회를 구성했다. 이와 별도로 송희경 비례대표 의원을 좌장으로 하는 ‘경청위원회(경제와 청년정책 관련 위원회)’를 출범시켜 정책 담론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정부·여당이) 권력을 쥐면 뭔가를 해보고 싶은 ‘관성’이 국가주의로 흐르게 된 배경”이라며 “견제세력이 약할 땐 더더욱 그런 경향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치권에선 김 위원장의 행보를 ‘친노(친노무현)·반문(반문재인)’ 노선을 구축하겠다는 의도로 분석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묘소 참배 후 노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를 예방했다. 한국당 내에 노 전 대통령 참배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얘기지만 우리 국민 모두가 함께 만드는 세상, 사회 통합 차원에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권 여사와의 비공개 면담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정치적인 얘기는 전혀 주고받지 않았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국가주의 논쟁’에 대해 “이 문제는 하루 이틀 얘기가 아니다”며 “우리 시민들의 잠재 역량과 시장의 규모로 봤을 때 이제는 탈국가주의로 갈 때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오전에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도 정부의 ‘먹방’(시식 방송프로그램) 규제와 프랜차이즈업계에 대한 원가 공개 요구 등을 예로 꺼내들며 “조선 시대도 아니고 왜 국가가 일일이 먹는 데까지 간섭하고 시장에 개입하냐”며 “우리 사회의 새 틀 짜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 정부 경제정책 방향인 소득주도성장에 대해서는 “진보진영에 성장이론이 없다는 증거이자, 자영업자가 30% 가까이 되는 우리 현실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국가주의에 대한 청와대·여당의 반박에 대해서는 “(여권 내) 문화가 얼마나 오래되고 그 속에서 깊이 살았으면 감각 없이 국가주의가 아니라고 하느냐”고 쏘아붙였다. 또 한국당에 대해서도 “정치권 전체가 소위 진영 계파 논리에 휩싸여 있다”며 “한국당이 안보만 내세우고 다른 가치를 점유하지 못한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연일 현 정부 정책기조를 놓고 국가주의 대 시장주의로 ‘프레임 대결’을 펼치는 것은 구체적인 쟁점 현안에서 정부·여당과 사사건건 각을 세우는 대신 굵직한 담론·기조를 놓고 승부를 보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이날 △당내 가치재정립소위 △공천시스템 개혁소위 △정당개혁소위 △입법개혁소위 등 4개 소위원회를 구성했다. 이와 별도로 송희경 비례대표 의원을 좌장으로 하는 ‘경청위원회(경제와 청년정책 관련 위원회)’를 출범시켜 정책 담론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