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대신 싼커·왕홍 모셔라!"…화장품·면세점, VIP 고객에 '시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바이두](https://img.hankyung.com/photo/201808/01.17435450.1.jpg)
2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722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지난해 한중 정상회담 이후 사드 해빙 무드가 조성되면서 올해 유커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으나, 일본과 동남아로 유커들이 쏠리면서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크게 늘지 않았다.
대신 중국인 단체 여행객 자리에는 개별 싼커들이 차지하기 시작했다. 싼커와 보따리상 따이공이 늘어나면서 2분기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 대비 51.7% 증가했다. 이들 대부분은 20~30대 지우링허우(1990년 이후 출생자)들이다. 젊고 유행에 민감하며, 구매액도 의외로 큰 편이다.
롯데면세점은 지난 4월 명동 본점에 국내 최대 규모 VIP 라운지 오픈했다. 상위 0.5% 고객들을 위한 휴게 공간으로 패션쇼부터 업무 미팅 등 각종 모임이 가능하다. 면적만 1339㎡(400여평)에 달한다. 중국 고객들을 위해 특별히 내부 장식을 황금색으로 꾸민 'LVVIP 차이나 라운지'를 마련했다.
신세계면세점 강남점은 '스튜디오 S(Studio-S)'를 만들어 왕홍들을 위한 촬영 공간을 조성했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왕홍을 초청해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팝업스토어는 있었지만, 별도 공간을 마련해 상시 운영하는 스튜디오는 이번이 처음이다.
화장품 업계도 기존에 강화했던 구매제한 정책을 완화하고 따이공과 왕홍 모시기에 나섰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6월부터 기존 1인당 주요 브랜드별로 5개만 구매할 수 있도록 했던 구매제한을 제품 종류별로 5개씩 구매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업계 관계자는 "싼거나 왕홍은 미래 고객이자 영향력이 큰 '큰 손' 고객'이라며 "투자대비 효율성이 크기 때문에 관심을 두고 마케팅에 나서는 곳이 많다"고 말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