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그동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그리는 미래에 긍정적 시각을 유지했다. 미래에셋그룹은 2022년부터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X(옛 트위터)에 약 7400억원을 투자해 1.5배 넘게 벌어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박 회장이 테슬라에 ‘투자주의보’를 내렸다. ◇테슬라, 中의 거센 도전 직면박 회장은 1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테슬라는 핵심 경쟁력인 전기자동차,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로봇(옵티머스) 세 가지 모두에서 중국 업체로부터 상당한 도전을 받고 있다”고 했다. 그는 “중국 업체들은 2000만원대 자동차에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할 정도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도 메타가 중국 유니트리로보틱스와 손잡고 시장에 뛰어드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올해 미국 일본 중국 인도 등 전 세계를 돌며 인공지능(AI), 로봇, 항공우주 등 미래 기술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엿보고 있다. 그 과정에서 생성형 AI 딥시크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부상을 목도했고, 이것이 테슬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는 설명이다.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의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2 수준에서 레벨3 이상으로 전환되고 있다. 여기에 딥시크의 등장으로 소프트웨어 기술력이 더해져 발전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자율주행 훈련이 수월해지고 비용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어서다.박 회장은 “테슬라의 최근 주가 상승에는 정치적 배경이 있다”며 “이렇게 고평가된 주식은 반드시 원래 펀더멘털로 돌아간다”고 했다. 그는 “테슬라가 주가수익비율(PER) 100배 이상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가 김서형·한선화 등이 소속된 배우 기획사 키이스트를 매각한다. 최근 호조를 보이는 본업 K팝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에스엠은 키이스트 매각을 위해 청담인베스트먼트와 케이엔티인베스트먼트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17일 공시했다. 매각 주간사는 안진회계법인이다.에스엠은 "(키이스트 최대 주주인) 자회사 에스엠스튜디오스가 우선협상대상자와 주요 계약조건 등에 관한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에스엠은 자회사들에 퍼져 있는 키이스트 지분 33.71%를 모두 매각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스엠스튜디오스가 최대주주로서 28.38%를, 일본법인 SM엔터테인먼트 재팬이 5.33%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키이스트에는 배우 김서형, 배정남, 채정안, 한선화 등이 소속돼 있는 기획사다.배우 기획사를 매각하는 건 ‘본업’인 K-팝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풀이된다. 앞서 장철혁 에스엠 공동대표는 작년 4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앞으로도 기본에 충실하고 꾸준히 노력하는 회사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최근 K팝 사업이 호조를 보이며 에스엠은 작년 4분기 ‘깜짝 실적’을 내놨고, 올해도 가파른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에스엠은 작년 4분기 연결 기준 매출 2738억원, 영업이익 339억원이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실적 발표 직전 집계된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220억원)를 50%가량 웃돌았다.지인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핵심 지적재산권(IP) 매출 중 하나인 고마진 굿즈 매출이 512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콘서트가 많지 않았던 분기였음에도 기획 MD 활약이 컸다&r
국내 실물 금값이 하루 만에 3% 넘게 내렸다. 국제 시세보다 20% 가까이 비쌌던 ‘김치 프리미엄’ 현상이 누그러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본지 2월 15일자 A1,12면 참조17일 한국거래소 KRX금시장에 따르면 이날 g당 국내 금 현물은 3.38% 내린 15만8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장 초반엔 7.4% 내리기도 했다. 이날 거래소가 미국 금융정보업체 모닝스타를 통해 집계한 국제 금 시세는 g당 우리 돈으로 13만3950원이었다. 전 거래일 대비 1.6% 내려 국내보다 낙폭이 작았다.신고가를 경신하던 국내 금 현물 가격이 국제 가격보다 더 크게 떨어진 이유는 김치 프리미엄이 과도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금은 세계 어디에서나 가치가 통용돼 괴리율이 벌어지는 경우가 드물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선 금 투자 ‘포모’(FOMO·나만 소외된다는 두려움) 현상이 강해지며 현물이 크게 부족해졌다. 원·달러 환율 상승과 저조한 차익거래도 김치 프리미엄 확대에 영향을 끼쳤다. 실제로 지난 13일 런던귀금속거래소(LBMA)와 KRX금시장의 현물 종가 괴리율은 19.47%로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이런 괴리가 일물일가(하나의 상품에 하나의 가격) 원칙에 따라 좁혀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이시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