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G(5세대 이동통신) 설비투자는 LTE(롱텀에볼루션) 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하던데요. 투자비가 늘어나게 되면 당연히 통신비도 비싸지는 게 아닐까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이다. 해당 글에는 '통신비 올라가는 소리가 들린다', 'LTE도 충분히 빠른데 그냥 통신비나 내려줬으면 좋겠다' 등의 댓글이 달렸다. 5G 시대가 오기도 전에 통신비에 대한 우려만 쌓이는 모양새다.

정부가 5G 상용화 시점을 내년 3월로 정한 만큼, 이통사들의 발길도 분주해졌다. 이통사는 5G시대를 맞이 하기 위한 대거 투자를 앞두고 있다. 업계는 올해 말부터 3~5년동안 5G 투자가 전망된다. 예상 투자 금액은 최소 30조원이다.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의 특성을 지닌 5G의 특성을 살린 이통사들의 마케팅도 뜨겁다 더불어 5G에 걸맞는 서비스도 앞다퉈 내놓고 있다. KT는 GS리테일과 VR(가상현실) 테마 파크 사업에 뛰어들었고, SK텔레콤은 올해 2월 세계 최초로 복수 자율주행차의 5G 협력운행을 성공했다. LG유플러스는 야구·골프 등 5G 시대에 특화된 스포츠 중계 서비스를 내놨다.
[최수진의 5G탐험] 5G 시대, '통신비 폭탄' 트라우마 극복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러한 투자와 서비스 확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점은 '통신비'다. 4G인 LTE는 동영상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필요성도 함께 부각됐다. 그럼에도 LTE 요금제에 대한 인하 요구도 속 시원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5G까지 부담이 더하진다면 소비자들의 통신비 저항은 더 커질 전망이다.

5G가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의 특성을 가졌다. 5G의 빠른 속도만을 보고 LTE 통신비보다 비싼 돈을 지불할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소비자들이 모바일을 통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한계가 있다. 자율주행차를 예로 들어 보자. 자율주행차를 위해서는 5G가 필수라고 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모바일로 통화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과 같은 개인생활과 자율주행차는 연관성이 없어보인다. 또 VR, AR(증강현실) 등이 사업 모델로 거론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체감 온도는 낮다.

그럼에도 이동통신사들은 5G 상용화 초기에 빠른 속도를 강조해 B2C(기업 소비자간 거래) 사업을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콘텐츠 발굴이 절실해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빠른 속도로 봐야하는 콘텐츠가 있어야만 5G 시대의 통신비 논란을 일축할 수 있어서다. 장재현 LG경제연구원은 한 보고서에서 "B2C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차별 화된 콘텐츠가 필요하다"며 "통신사입장에서는 B2C에서 B2B로의 서비스 확장이 필요한 만큼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장 연구원은 이통사와 다른 사업자간의 협업도 중요하다고 봤다. 그는 "통신사 힘으로만 해결되기는 쉽지 않다"며 "미디어 사업자, 게임업체, 포털 등의 역할이 중요하고 B2B 서비스 강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5G는 LTE보다 우수한 기술력이라는 건 두말할 필요가 없다. 다만 소비자들에게 5G 환상을 전하는 것이 아닌 실질적 콘텐츠가 있느냐를 고민할 때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환상 보다는 한 달에 한 번 날아오는 요금폭탄이 더 현실적인 고민이다. 한 통신사 간부는 "내년 5G가 상용화 됐을 때 과연 소비자들이 선뜻 고가의 단말기를 사고 고가의 요금제를 쓰면서 5G 서비스를 가입할까란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이 말이, 먼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