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1조달러… 신흥국 채권상환 '3년 고통' 시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정부·기업이 54% 차지
美 금리인상 겹쳐 자금 압박
美 금리인상 겹쳐 자금 압박
중국 등 신흥국 정부와 기업이 발행한 외화 채권 중 앞으로 3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이 3조2297억달러(약 36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금리 인상과 맞물려 신흥국 경제의 새로운 리스크가 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7일 금융정보업체 딜로직의 데이터를 인용해 앞으로 3년간 신흥국에서 연간 1조달러(약 1000조원) 규모의 채권이 만기 상환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3년 전과 비교하면 두 배 수준이다.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은 올해 8919억달러, 내년 1조1000억달러, 2020년 1조2000억달러 규모다.
특히 중국 정부와 기업이 앞으로 3년간 상환해야 할 금액이 1조7531억달러로 신흥국 전체 채권 상환액의 54%에 이른다. 이어 러시아(1330억달러) 브라질(1360억달러) 멕시코(881억달러) 순으로 만기 도래 부채가 많았다.
중국은 기업 설비투자와 해외 자산 매입 등을 위해 외화 부채를 늘려왔다. 중국 정책당국은 최근까지 지방정부와 민간부문의 과잉 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힘을 쏟아왔다. 석유·가스회사인 차이나리저브&케미컬스(CERC) 등은 중국 정부의 이 같은 부채 축소 정책 때문에 신규 차입이 어려워져 채무 불이행(디폴트) 상황에 빠졌다.
선진국 투자자들은 최근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높아지자 신흥국 투자금 회수를 서두르고 있다. 미국 이머징마켓포트폴리오리서치(EPFR)에 따르면 4월 말부터 7월 초까지 신흥국 채권 펀드에서 155억달러가 유출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994년 미국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 투자 자금이 선진국으로 빠져나간 것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의 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지금의 신흥국들은 자금 유출에 대비해 외환 보유를 늘려 과거와 같은 통화 위기가 발생할 확률은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오춘호 선임기자 ohchoon@hankyung.com
니혼게이자이신문은 7일 금융정보업체 딜로직의 데이터를 인용해 앞으로 3년간 신흥국에서 연간 1조달러(약 1000조원) 규모의 채권이 만기 상환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3년 전과 비교하면 두 배 수준이다.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은 올해 8919억달러, 내년 1조1000억달러, 2020년 1조2000억달러 규모다.
특히 중국 정부와 기업이 앞으로 3년간 상환해야 할 금액이 1조7531억달러로 신흥국 전체 채권 상환액의 54%에 이른다. 이어 러시아(1330억달러) 브라질(1360억달러) 멕시코(881억달러) 순으로 만기 도래 부채가 많았다.
중국은 기업 설비투자와 해외 자산 매입 등을 위해 외화 부채를 늘려왔다. 중국 정책당국은 최근까지 지방정부와 민간부문의 과잉 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힘을 쏟아왔다. 석유·가스회사인 차이나리저브&케미컬스(CERC) 등은 중국 정부의 이 같은 부채 축소 정책 때문에 신규 차입이 어려워져 채무 불이행(디폴트) 상황에 빠졌다.
선진국 투자자들은 최근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높아지자 신흥국 투자금 회수를 서두르고 있다. 미국 이머징마켓포트폴리오리서치(EPFR)에 따르면 4월 말부터 7월 초까지 신흥국 채권 펀드에서 155억달러가 유출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994년 미국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 투자 자금이 선진국으로 빠져나간 것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의 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지금의 신흥국들은 자금 유출에 대비해 외환 보유를 늘려 과거와 같은 통화 위기가 발생할 확률은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오춘호 선임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