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도 KIAT 원장 "현장 기업들의 목소리 전해 혁신성장 뒷받침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중소기업 엔켐의 올해 예상 매출액은 5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250억원에서 두 배로 늘었다. 2014년 50억원에 불과했던 매출이 불과 4년만에 10배로 늘어난 데는 2016년 엔켐과 LG화학을 ‘기술나눔’으로 연결해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의 역할이 컸다. 기술나눔은 대기업이 갖고 있는 미활용 기술을 중소기업에 이전해주는 제도다. 리튬 2차전지 관련 특허 7건을 이전받은 엔켐은 이후 급성장해 올해 8월까지만도 30명을 채용하는 ‘모범 사례’가 됐다.
김학도 KIAT 원장은 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자리 창출 주역인 기업들을 돕고 현장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해 혁신성장을 든든히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KIAT는 기술 사업화 지원과 제도 개선 등 기업 성장에 필요한 요소를 종합 지원하는 기관이다. 김 원장은 “KIAT가 하는 일은 한마디로 정의하면 ‘매치 메이킹’”이라며 “정부에 기업 목소리를 전달하고,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가나 대학, 협력 기업 등을 이어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고객 중심 서비스’로 혁신성장 앞장
김 원장은 취임 직후인 지난 2월 ‘유퍼스트 전략’을 발표했다.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려면 우선 ‘고객’인 기업들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철학에서다. 이 같은 전략은 불과 두 달만에 성과를 거뒀다. 지난 4월 발표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KIAT가 연구기관 그룹 중 홀로 A등급을 받은 것이다.
혁신성장 정책의 성공 여부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는 게 김 원장 지론이다.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기업이라는 설명이다. 정부 산업정책을 현장에서 집행하는 KIAT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 이유다. 그는 “산업정책을 수립할 때 산업 트렌드 변화와 기업 수요가 충분히 반영돼야 한다”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 구축과 정부에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혁신성장 도구로 연구개발(R&D)와 기술 사업화 지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R&D 투자는 2016년 기준 GDP 대비 4.24%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지원을 받은 R&D 사업들이 대부분 특허 출원 단계에 그쳐 충분히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체 예산 20조원 중 사업화 관련 지원 예산이 전체의 2%인 4000억원 수준에 불과한 게 원인으로 꼽힌다. 김 원장은 “기술이 연구실에 머무르지 않고 사업화로 연결돼야 기업이 성장하고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며 “시장연계형 R&D 확대 등 기술 사업화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역설했다.
◆ R&D로 보호무역 돌파·일자리 창출
세계 각국은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경쟁적으로 R&D 확대 정책을 펴고 있다. 산업 수준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돼서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중국의 ‘중국제조 2025’ 등이 대표적인 정책이다. 이 같은 경쟁은 국가 간 신경전으로 이어질 때가 많다. 최근 미중간 통상분쟁이 중국의 첨단산업 육성 계획인 ‘기술굴기’에 대한 미국의 견제에서 비롯됐다는 해석까지 나올 정도다.
김 원장은 “국제 기술협력으로 보호무역주의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분쟁은 먹고 살기 힘들기 때문에 일어나는데 승자와 패자가 나뉘는 상품 무역과 달리 기술협력은 ‘윈-윈’이 가능한 구조”라는 설명이다. KIAT는 외국 기업과의 공동연구나 기술이전 등 산업통상자원부의 국제기술협력사업을 총괄 수행하고 있다. 해외에 진출한 한인 공학자 등 전문가들로 이뤄진 네트워크로 기업들에게 자문을 제공하는 ‘K-TAG’가 대표적인 사업이다.
올해 하반기 김 원장의 화두는 ‘일자리’다. 이날 인터뷰에서 그는 “직접 재정지원이나 기업에 부여하는 세제혜택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이 성장하고, 성장한 기업이 고용 여력을 늘리는 것이 최고”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원장은 “하반기에는 혁신성장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기업의 규제 개선 의견을 발굴해 정부에 전달하고 산업 진흥 관련 에산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원장은 산업통상자원부 관료(행정고시 31회) 출신으로 통상 에너지 분야 주요 보직을 거친 후 에너지자원실장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나 지난해 12월 KIAT 원장에 취임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김학도 KIAT 원장은 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자리 창출 주역인 기업들을 돕고 현장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해 혁신성장을 든든히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KIAT는 기술 사업화 지원과 제도 개선 등 기업 성장에 필요한 요소를 종합 지원하는 기관이다. 김 원장은 “KIAT가 하는 일은 한마디로 정의하면 ‘매치 메이킹’”이라며 “정부에 기업 목소리를 전달하고,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가나 대학, 협력 기업 등을 이어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고객 중심 서비스’로 혁신성장 앞장
김 원장은 취임 직후인 지난 2월 ‘유퍼스트 전략’을 발표했다.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려면 우선 ‘고객’인 기업들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철학에서다. 이 같은 전략은 불과 두 달만에 성과를 거뒀다. 지난 4월 발표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KIAT가 연구기관 그룹 중 홀로 A등급을 받은 것이다.
혁신성장 정책의 성공 여부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는 게 김 원장 지론이다.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기업이라는 설명이다. 정부 산업정책을 현장에서 집행하는 KIAT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 이유다. 그는 “산업정책을 수립할 때 산업 트렌드 변화와 기업 수요가 충분히 반영돼야 한다”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 구축과 정부에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혁신성장 도구로 연구개발(R&D)와 기술 사업화 지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R&D 투자는 2016년 기준 GDP 대비 4.24%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지원을 받은 R&D 사업들이 대부분 특허 출원 단계에 그쳐 충분히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체 예산 20조원 중 사업화 관련 지원 예산이 전체의 2%인 4000억원 수준에 불과한 게 원인으로 꼽힌다. 김 원장은 “기술이 연구실에 머무르지 않고 사업화로 연결돼야 기업이 성장하고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며 “시장연계형 R&D 확대 등 기술 사업화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역설했다.
◆ R&D로 보호무역 돌파·일자리 창출
세계 각국은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경쟁적으로 R&D 확대 정책을 펴고 있다. 산업 수준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돼서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중국의 ‘중국제조 2025’ 등이 대표적인 정책이다. 이 같은 경쟁은 국가 간 신경전으로 이어질 때가 많다. 최근 미중간 통상분쟁이 중국의 첨단산업 육성 계획인 ‘기술굴기’에 대한 미국의 견제에서 비롯됐다는 해석까지 나올 정도다.
김 원장은 “국제 기술협력으로 보호무역주의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분쟁은 먹고 살기 힘들기 때문에 일어나는데 승자와 패자가 나뉘는 상품 무역과 달리 기술협력은 ‘윈-윈’이 가능한 구조”라는 설명이다. KIAT는 외국 기업과의 공동연구나 기술이전 등 산업통상자원부의 국제기술협력사업을 총괄 수행하고 있다. 해외에 진출한 한인 공학자 등 전문가들로 이뤄진 네트워크로 기업들에게 자문을 제공하는 ‘K-TAG’가 대표적인 사업이다.
올해 하반기 김 원장의 화두는 ‘일자리’다. 이날 인터뷰에서 그는 “직접 재정지원이나 기업에 부여하는 세제혜택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이 성장하고, 성장한 기업이 고용 여력을 늘리는 것이 최고”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원장은 “하반기에는 혁신성장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기업의 규제 개선 의견을 발굴해 정부에 전달하고 산업 진흥 관련 에산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원장은 산업통상자원부 관료(행정고시 31회) 출신으로 통상 에너지 분야 주요 보직을 거친 후 에너지자원실장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나 지난해 12월 KIAT 원장에 취임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