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공과대학이 공대 구성원이 지켜야 할 윤리강령 도입을 추진한다. 최근 서울대에서 교수 갑질, 논문 표절, 연구비 부당집행 등이 잇따르면서 공대가 윤리 의식 강화에 나선 것이다. 기본 윤리 준칙을 논의하기 위해 단과대 주요 구성원인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가 손잡은 것은 서울대에서 공대가 처음이다.
"교수 갑질·연구부정 안돼" 칼 뺀 서울대 공대
◆공대판 ‘윤리 행동강령’ 추진

서울대 공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대 공과대학 행동강령’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르면 올해 말까지 구체적인 행동강령을 담은 안을 내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학장, 학생회, 대학원생 등이 포함된 ‘공과대학 인권의식 함양을 위한 3자 협의체’(가칭)가 최근 출범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대 연구 윤리와 관련된 기획과제도 지난 1학기부터 허은녕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등이 수행하고 있다.

"교수 갑질·연구부정 안돼" 칼 뺀 서울대 공대
신상준 공대 학생부학장은 “공대 학생회가 만드는 초안과 교수들의 기획과제를 연계해 진행할 것”이라며 “행동강령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피드백 과정을 거쳐 올해 말 완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협의체는 학생, 교수 등 학내 주요 구성원별로 지켜야 할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교수와 대학원생은 연구비 부당집행, 논문·실험 조작, 교수 갑질 등 연구 윤리 개선 방안 등을 다룬다. 학부생을 대상으로는 커닝, 리포트 표절 등을 방지하는 항목을 포함하기로 했다. ‘미투’ 운동으로 촉발된 대학 내 성범죄 관련 조항도 논의한다. 해외 대학 사례까지 참고해 다양한 상황에 맞는 행동강령을 준비한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윤리 가이드라인은 공대의 ‘자기반성’에서 출발했다. 그동안 연구 윤리 등과 관련해 학내외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수십 편의 논문에 자녀를 공저자로 등록해 문제가 된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는 지난해 사직서를 냈다. 대학원생 제자를 성추행한 혐의를 받은 공대 교수에 대해 뒤늦게 교원징계위원회를 열어 ‘늑장 대처’라는 지적도 받았다. 가짜 학술단체인 와셋(WASET)에 논문을 게재한 서울대 교수 역시 대부분 공대 소속인 것으로 조사됐다.

◆실종된 윤리 의식

윤리 의식 부재는 공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강대희 의과대학 교수가 성추문과 논문 표절 의혹으로 총장 최종 후보에서 사퇴한 게 대표적이다. 교육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조사 결과에서 교수가 미성년 자녀를 공저자로 등록한 사례는 서울대가 14건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대 인권센터가 벌인 ‘2016 인권실태 및 교육환경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13.4%는 ‘타인의 연구 및 논문 작성’ 경험이 있다고 털어놨다. 응답자의 33.8%는 폭언과 욕설을 겪기도 했다.

이에 서울대는 2006년 교육·연구·사회 참여·봉사 등 교수들이 준수해야 할 사항을 담은 ‘교수윤리헌장’을 공포했다. 서울대 자연과학대학도 지난해부터 신입생을 대상으로 명예 규율인 ‘아너코드’를 도입했다. 그러나 대학 관계자는 “강제성이 없고 대상자가 일부 구성원에 한정돼 한계가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공대는 앞으로 윤리 의식 개선 노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공대 학생회는 인권문제를 전담하는 인권증진위원회를 학생회 산하기구로 발족했다. 정수영 공대 학생회장은 “학부생과 대학원생, 교수가 한 테이블에 모여 논의를 시작한다는 점에서 다른 단과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구체적인 행동강령을 마련한 뒤 향후 구속력을 가질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