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작가 4명 중 1명 '연 수입 1000만원 미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콘텐츠진흥원, 작가 761명 조사…주 62시간 일하지만 4대 보험 가입 8.3%뿐
국내 웹툰 작가 4명 중 1명은 1년에 1천만원도 채 벌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펴낸 '만화·웹툰 작가실태 기초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작가 761명 중 24.7%가 지난해 기준 연간 총수입이 1천만원 미만이라고 답했다.
1천만~2천만원은 21.9%, 2천만~3천만원은 22.1%, 3천만~5천만원은 14.8%, 5천만원 이상은 16.3%였다.
단, 2013년 이전 데뷔 작가들로 한정해보면 연 수입 5천만원 이상이 31%를 기록하는 등 경력에 따른 소득 격차가 있었다. 전체 조사 대상 작가들은 일주일 평균 5.7일, 하루 평균 10.8시간 동안 창작 활동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주 평균 61.56시간을 일하는 셈이다.
그러나 4대 보험에 모두 가입된 작가는 8.3%뿐 이었고, 4개 중 하나도 가입되지 않은 경우가 61.9%에 달했다.
보고서는 "사실상 직업으로서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사회적 보장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조사 대상 중 38.5%는 창작 활동 외에 다른 소득 활동을 하고 있었다.
학교나 아카데미 등에서 강의를 한다는 응답이 13.8%로 가장 많았고, 8.4%는 가족의 지원을 받았으며 다른 분야에서 일용직을 하고 있다는 작가도 4.9% 있었다.
창작 활동에서 겪는 어려움(5점 만점)으로는 '차기작 준비 기간 중 경제적 어려움'(4.27점)과 '휴식 시간 부족'(4.27점)이 가장 컸다.
'과도한 작업에 건강악화'(4.22점), '작업 시간 부족'(4.22점), '연재 마감 부담감'(4.07점) 등도 높았다.
업체 측으로부터 불공정한 경험을 한 사례(복수응답)로는 '제작사에 유리한 일방적 계약'(42.6%), '계약서 전문용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없이 계약 진행'(38.9%), '적정한 수익 배분 미지급'(31%), '일방적 계약 해지'(20.2%) 등이 있었다.
중소 전문 웹툰 업체에 작품을 연재해온 2년 경력의 작가 A 씨는 "만화 창작자는 다음 작품까지 준비하는 기간이 오래 걸리는데 그 기간에 고정적인 수입이 없다.
몇 개월 동안 작품을 준비한다고 해도 이게 연재된다는 보장도 없고 심지어 계약하고 도장을 찍어도 나중에 플랫폼이 말을 바꾸는 경우가 있다"고 털어놓았다.
인격 침해 사례로는 '인격 모독'(23.5%),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협박'(19.4%), '성차별적 발언'(15.9%) 등이 있었다.
가해자는 주로 플랫폼이나 선배작가, 동료 등이었다.
보고서는 "최근 산업의 성장 속도를 생각하면 만화 및 웹툰 작가의 경제적 생활 만족도는 특히 낮은 편"이라며 "양질의 창작자들이 생태계 내에서 자생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국내 웹툰 작가 4명 중 1명은 1년에 1천만원도 채 벌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펴낸 '만화·웹툰 작가실태 기초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작가 761명 중 24.7%가 지난해 기준 연간 총수입이 1천만원 미만이라고 답했다.
1천만~2천만원은 21.9%, 2천만~3천만원은 22.1%, 3천만~5천만원은 14.8%, 5천만원 이상은 16.3%였다.
단, 2013년 이전 데뷔 작가들로 한정해보면 연 수입 5천만원 이상이 31%를 기록하는 등 경력에 따른 소득 격차가 있었다. 전체 조사 대상 작가들은 일주일 평균 5.7일, 하루 평균 10.8시간 동안 창작 활동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주 평균 61.56시간을 일하는 셈이다.
그러나 4대 보험에 모두 가입된 작가는 8.3%뿐 이었고, 4개 중 하나도 가입되지 않은 경우가 61.9%에 달했다.
보고서는 "사실상 직업으로서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사회적 보장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조사 대상 중 38.5%는 창작 활동 외에 다른 소득 활동을 하고 있었다.
학교나 아카데미 등에서 강의를 한다는 응답이 13.8%로 가장 많았고, 8.4%는 가족의 지원을 받았으며 다른 분야에서 일용직을 하고 있다는 작가도 4.9% 있었다.
창작 활동에서 겪는 어려움(5점 만점)으로는 '차기작 준비 기간 중 경제적 어려움'(4.27점)과 '휴식 시간 부족'(4.27점)이 가장 컸다.
'과도한 작업에 건강악화'(4.22점), '작업 시간 부족'(4.22점), '연재 마감 부담감'(4.07점) 등도 높았다.
업체 측으로부터 불공정한 경험을 한 사례(복수응답)로는 '제작사에 유리한 일방적 계약'(42.6%), '계약서 전문용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없이 계약 진행'(38.9%), '적정한 수익 배분 미지급'(31%), '일방적 계약 해지'(20.2%) 등이 있었다.
중소 전문 웹툰 업체에 작품을 연재해온 2년 경력의 작가 A 씨는 "만화 창작자는 다음 작품까지 준비하는 기간이 오래 걸리는데 그 기간에 고정적인 수입이 없다.
몇 개월 동안 작품을 준비한다고 해도 이게 연재된다는 보장도 없고 심지어 계약하고 도장을 찍어도 나중에 플랫폼이 말을 바꾸는 경우가 있다"고 털어놓았다.
인격 침해 사례로는 '인격 모독'(23.5%),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협박'(19.4%), '성차별적 발언'(15.9%) 등이 있었다.
가해자는 주로 플랫폼이나 선배작가, 동료 등이었다.
보고서는 "최근 산업의 성장 속도를 생각하면 만화 및 웹툰 작가의 경제적 생활 만족도는 특히 낮은 편"이라며 "양질의 창작자들이 생태계 내에서 자생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