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式 '중재외교', 동방경제포럼 건너뛰고 유엔총회서 종전선언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南北정상회담, 9월 평양서 열린다
南·北·美·中정상 함께 선언할수도
전문가 "문 대통령, 다발성 정상회담
이전 정부와 가장 큰 차이"
南·北·美·中정상 함께 선언할수도
전문가 "문 대통령, 다발성 정상회담
이전 정부와 가장 큰 차이"
‘평양 남북한 정상회담’이 성사되면서 종전선언을 향한 문재인식 ‘중재외교’의 시간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는 9월 중 정상회담을 마치고, 9월 말 유엔총회에서 남북을 비롯해 미국, 중국 정상 등과 함께 종전을 선언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전까지만 해도 남북 정상회담은 2000년과 2007년 단 두 차례 열렸다. 올 들어서만 두 차례에 걸쳐 남북 정상이 만났고, ‘가을 평양 답방’까지 치러지면 한 해에 세 차례 정상회담이 열리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다발성 정상회담’을 이전 정부와의 가장 큰 차이로 꼽는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당사자인 미국과 북한 간 관계 정상화를 위해 한국 정부가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만큼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대북관계에서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북한과 미국 간에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5·26 정상회담’만 해도 미·북 정상회담 개최 여부가 교착 상태에 빠지자 우리 정부의 제안으로 성사됐다.
9월에 열릴 예정인 3차 남북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도 미·북 간 비핵화 협상이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미국 정부가 원하는 비핵화 시나리오와 시간표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대한 납득할 수 있게 전달하고, 종전선언이란 대형 이벤트를 공표하기 위한 계기와 장소를 ‘간택’하는 문제도 집중 거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외교부 관계자는 “올해 남아 있는 국제 행사가 많다”며 “특정한 행사를 목표로 하기보다 미·북 간 이견이 풀려가는 상황에 따라 계기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9월만 해도 11~1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과 9월 말 유엔총회 등이 남아 있다. 매년 10월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도 후보가 될 수 있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다만 청와대에선 종전선언을 위한 가장 유력한 ‘계기’로 9월 말 유엔총회를 꼽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은 남북관계와 관련해 탈냉전의 상징과도 같다. 1991년 남북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면서 한반도 해빙의 단초가 마련됐다. 1990년대 초반의 짧았던 ‘평화 무드’는 1993년 1차 북핵 위기가 발생하면서 종료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작년 9월에도 유엔총회에 참석해 ‘문재인 독트린’을 공표한 바 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문재인 정부 출범 전까지만 해도 남북 정상회담은 2000년과 2007년 단 두 차례 열렸다. 올 들어서만 두 차례에 걸쳐 남북 정상이 만났고, ‘가을 평양 답방’까지 치러지면 한 해에 세 차례 정상회담이 열리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다발성 정상회담’을 이전 정부와의 가장 큰 차이로 꼽는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당사자인 미국과 북한 간 관계 정상화를 위해 한국 정부가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만큼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대북관계에서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북한과 미국 간에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5·26 정상회담’만 해도 미·북 정상회담 개최 여부가 교착 상태에 빠지자 우리 정부의 제안으로 성사됐다.
9월에 열릴 예정인 3차 남북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도 미·북 간 비핵화 협상이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미국 정부가 원하는 비핵화 시나리오와 시간표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대한 납득할 수 있게 전달하고, 종전선언이란 대형 이벤트를 공표하기 위한 계기와 장소를 ‘간택’하는 문제도 집중 거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외교부 관계자는 “올해 남아 있는 국제 행사가 많다”며 “특정한 행사를 목표로 하기보다 미·북 간 이견이 풀려가는 상황에 따라 계기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9월만 해도 11~1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과 9월 말 유엔총회 등이 남아 있다. 매년 10월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도 후보가 될 수 있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다만 청와대에선 종전선언을 위한 가장 유력한 ‘계기’로 9월 말 유엔총회를 꼽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은 남북관계와 관련해 탈냉전의 상징과도 같다. 1991년 남북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면서 한반도 해빙의 단초가 마련됐다. 1990년대 초반의 짧았던 ‘평화 무드’는 1993년 1차 북핵 위기가 발생하면서 종료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작년 9월에도 유엔총회에 참석해 ‘문재인 독트린’을 공표한 바 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