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국장 면세점' 들어서나…희비 갈리는 항공·면세업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슈+
문재인 대통령이 입국장 면세점 도입 검토를 주문하면서 관련업계 간 희비가 갈리고 있다. 기내 면세점을 운영하는 항공업계와 출국장 면세점을 운영 중인 면세업계는 시큰둥한 반면, 중견·중소 면세점은 반색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입국장 면세점 도입은 해외여행을 하는 국민의 불편을 덜고 해외 소비 일부를 국내 소비로 전환할 수 있다"며 "입국장 면세점 도입 방안을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중견·중소기업들에 혜택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함께 검토해주기 바란다"고도 했다.
현재 국내 공항 내 면세점은 출국 시에만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지난 2003년부터 인천공항 입국장에 면세점을 설치하는 문제를 두고 기획재정부, 관세청, 공항공사 등 유관 기관들이 협의를 해 왔지만 도입이 성사되지 못했다.
공항공사는 여객 편의 개선 및 공항 경쟁력 강화 등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도입을 환영했지만, 입국장 면세점 설치에 따른 마약·테러 우범자 추적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항공사 및 국정원 등 정보보안기관은 반대해 무산된 바 있다.
실제 여행객 다수는 입국장 면세점 도입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국 시 공항 면세점에서 구입한 물건을 여행 내내 소지해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천공항공사가 2002∼2017년 공항 이용객 2만여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4%가 여행객 편의 증대를 이유로 입국장 면세점 설치를 찬성했다.
이미 주변국의 경우 입국장 면세점 설치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세계적으로 입국장 면세점을 운영 중이거나 설치할 예정인 곳은 73개국 137개 공항으로, 중국 베이징국제공항과 일본 도쿄나리타국제공항에서도 입국장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기내 면세점을 운영하는 항공업계와 출국장 면세점을 주도는 대형 항공사들은 반응이 시큰둥하다. 시내 면세점 포화 상태인 데다 입국장 면세점이 생기면 기존 면세점 매출이 타격을 입을 것이란 계산에서다. 항공업계도 기내 면세품 구입 감소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대기업 면세점 관계자는 "나눠먹는 파이가 줄 수밖에 없지 않냐"며 "게다가 중견·중소 면세업체는 해외 브랜드 유치 및 운영 능력이 높지 않은 만큼, 정부가 의도한 데로 실효성이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중견·중소 면세점 업계에서는 '입국장 면세점 도입'을 반기지만 면세 구매금액 한도를 늘리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소 면세업체에게 혜택이 어느 정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입국장 면세점 효과를 보려면 근본적으로 면세품 구매 한도를 늘려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면세한도를 늘리지 않으면 파이 나눠 먹기식 경쟁이 치열해져 어느 한쪽이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관세청이 규정한 면세 한도는 600달러다. 그 이상을 구매할 경우 세금을 내야 한다.
한편, 그동안 입국장 면세점 도입에 난색을 표하던 대형항공사들은 최근 '오너 갑질' 논란으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기내면세점 매출 규모는 연간 3300억원 규모다. 입국장 면세점 도입으로 매출 타격이 예상되는 만큼, 달가운 입장이 아니다.
이승은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입국장 면세점이 개점된다면 기내면세품을 판매하고 있는 항공사와 출국장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 매출에 타격이 예상된다"며 "면세점 간 경쟁이 더욱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입국장 면세점 도입은 해외여행을 하는 국민의 불편을 덜고 해외 소비 일부를 국내 소비로 전환할 수 있다"며 "입국장 면세점 도입 방안을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중견·중소기업들에 혜택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함께 검토해주기 바란다"고도 했다.
현재 국내 공항 내 면세점은 출국 시에만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지난 2003년부터 인천공항 입국장에 면세점을 설치하는 문제를 두고 기획재정부, 관세청, 공항공사 등 유관 기관들이 협의를 해 왔지만 도입이 성사되지 못했다.
공항공사는 여객 편의 개선 및 공항 경쟁력 강화 등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도입을 환영했지만, 입국장 면세점 설치에 따른 마약·테러 우범자 추적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항공사 및 국정원 등 정보보안기관은 반대해 무산된 바 있다.
실제 여행객 다수는 입국장 면세점 도입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국 시 공항 면세점에서 구입한 물건을 여행 내내 소지해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천공항공사가 2002∼2017년 공항 이용객 2만여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4%가 여행객 편의 증대를 이유로 입국장 면세점 설치를 찬성했다.
이미 주변국의 경우 입국장 면세점 설치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세계적으로 입국장 면세점을 운영 중이거나 설치할 예정인 곳은 73개국 137개 공항으로, 중국 베이징국제공항과 일본 도쿄나리타국제공항에서도 입국장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기내 면세점을 운영하는 항공업계와 출국장 면세점을 주도는 대형 항공사들은 반응이 시큰둥하다. 시내 면세점 포화 상태인 데다 입국장 면세점이 생기면 기존 면세점 매출이 타격을 입을 것이란 계산에서다. 항공업계도 기내 면세품 구입 감소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대기업 면세점 관계자는 "나눠먹는 파이가 줄 수밖에 없지 않냐"며 "게다가 중견·중소 면세업체는 해외 브랜드 유치 및 운영 능력이 높지 않은 만큼, 정부가 의도한 데로 실효성이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중견·중소 면세점 업계에서는 '입국장 면세점 도입'을 반기지만 면세 구매금액 한도를 늘리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소 면세업체에게 혜택이 어느 정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입국장 면세점 효과를 보려면 근본적으로 면세품 구매 한도를 늘려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면세한도를 늘리지 않으면 파이 나눠 먹기식 경쟁이 치열해져 어느 한쪽이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관세청이 규정한 면세 한도는 600달러다. 그 이상을 구매할 경우 세금을 내야 한다.
한편, 그동안 입국장 면세점 도입에 난색을 표하던 대형항공사들은 최근 '오너 갑질' 논란으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기내면세점 매출 규모는 연간 3300억원 규모다. 입국장 면세점 도입으로 매출 타격이 예상되는 만큼, 달가운 입장이 아니다.
이승은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입국장 면세점이 개점된다면 기내면세품을 판매하고 있는 항공사와 출국장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 매출에 타격이 예상된다"며 "면세점 간 경쟁이 더욱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