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96단 낸드를 '4D 낸드'라 명명한 까닭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스카페
SK하이닉스는 지난 7~9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플래시메모리 서밋’에 참가해 96단 낸드플래시를 선보였다. 기존 3차원(3D) 낸드플래시보다 개선된 제품이라는 의미에서 ‘4D 낸드플래시’라는 이름을 붙였다.
기존 제품에서는 셀(데이터 저장영역) 옆에 배치했던 페리(셀 작동을 관장하는 영역)를 셀 밑에 배치해 공간 효율성을 높인 것이 핵심이다. 이를 PUC(페리 언더 셀)라고 부른다.
‘아파트’(낸드플래시)에 반드시 필요한 ‘주차장’(페리)을 종전에는 건물 옆에 지었다면 이번에는 공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하에 뒀다고 이해하면 쉽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제품 크기는 물론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주력인 TLC(3비트 단위로 데이터 저장)에 4D 기술을 적용한 낸드플래시를 내년 상반기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기존 72단 3D TLC 낸드플래시와 비교했을 때 이번에 발표한 96단 4D TLC 낸드플래시 성능은 최대 30%, 전력 효율은 150% 높아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칩 크기는 30% 줄어들고, 생산성은 20% 늘어난다.
4D 낸드플래시 제품이 기존 3D 제품과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SK하이닉스가 4D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인 것은 그만큼 첨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는 관측이 나온다. 빠른 속도로 따라오는 중국을 따돌리고 삼성전자 등 선두 그룹을 따라잡기 위해 시장에 선도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마케팅 전략이 필요했다는 분석이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기존 제품에서는 셀(데이터 저장영역) 옆에 배치했던 페리(셀 작동을 관장하는 영역)를 셀 밑에 배치해 공간 효율성을 높인 것이 핵심이다. 이를 PUC(페리 언더 셀)라고 부른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주력인 TLC(3비트 단위로 데이터 저장)에 4D 기술을 적용한 낸드플래시를 내년 상반기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기존 72단 3D TLC 낸드플래시와 비교했을 때 이번에 발표한 96단 4D TLC 낸드플래시 성능은 최대 30%, 전력 효율은 150% 높아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칩 크기는 30% 줄어들고, 생산성은 20% 늘어난다.
4D 낸드플래시 제품이 기존 3D 제품과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SK하이닉스가 4D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인 것은 그만큼 첨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는 관측이 나온다. 빠른 속도로 따라오는 중국을 따돌리고 삼성전자 등 선두 그룹을 따라잡기 위해 시장에 선도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마케팅 전략이 필요했다는 분석이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