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숙박공유 허용… 누가, 왜 반대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규제혁신 없인 미래 없다
택시업계 "생존권 위협"
국회도 법안 발의 동조
정부는 중재보단 '방관'
택시업계 "생존권 위협"
국회도 법안 발의 동조
정부는 중재보단 '방관'
“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 하나 만들어 덜렁 내놓는 게 대단한 기술입니까? 영세한 사람들 일자리 빼앗아가는 게 무슨 4차 산업혁명이냔 말입니다.”
택시단체 관계자의 이런 항변은 공유경제에 대한 불안감과 분노가 뒤섞인 이해관계자들의 시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택시업계 4개 단체인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는 최근 공동성명에서 “승차공유 서비스를 빌미로 일부 플랫폼업체가 운송질서를 교란하고 자가용 불법영업을 자행하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허용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회적·경제적 약자인 택시업계 종사자의 생존권 보장 요구를 기득권을 지키려는 집단이기주의로 치부해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숙박업자들은 에어비앤비 형태의 숙박공유 서비스가 내국인으로까지 대폭 허용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다. 대한숙박업중앙회는 “생존권을 위협하는 공유민박업의 양성화를 반드시 막겠다”고 밝혔다.
조직화한 이들 단체의 영향력은 선거 때 ‘표’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부와 정치권이 공유서비스 규제에 과감히 손을 댈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회에는 택시업계 요구를 반영한 법안이 두 건 발의돼 있다.
이찬열 바른미래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은 카풀을 부분적으로 허용하는 ‘출퇴근시간’ 규정을 오전 7~9시, 오후 6~8시로 명시했다. 황주홍 민주평화당 의원의 같은 법 개정안은 출퇴근시간 카풀까지 불가능하도록 했다. 모두 승차공유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의 출현을 원천 봉쇄하는 법안으로 꼽힌다. 부산·강원·제주에서 숙박공유를 허용하는 내용의 ‘규제프리존’ 법안은 수년째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
공유경제 스타트업과 기존 사업자 간 충돌은 해외에서도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승차공유 서비스를 둘러싼 갈등을 중재하려는 노력을 소홀히 한 채 단속 중심의 소극적 행정을 편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반면 신산업 육성 못지않게 면허제인 택시산업의 보호·관리 역시 공무원들의 책무인데, 일방적으로만 비난받는 건 억울하다는 정부 측 반론도 나온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택시단체 관계자의 이런 항변은 공유경제에 대한 불안감과 분노가 뒤섞인 이해관계자들의 시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택시업계 4개 단체인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는 최근 공동성명에서 “승차공유 서비스를 빌미로 일부 플랫폼업체가 운송질서를 교란하고 자가용 불법영업을 자행하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허용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회적·경제적 약자인 택시업계 종사자의 생존권 보장 요구를 기득권을 지키려는 집단이기주의로 치부해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숙박업자들은 에어비앤비 형태의 숙박공유 서비스가 내국인으로까지 대폭 허용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다. 대한숙박업중앙회는 “생존권을 위협하는 공유민박업의 양성화를 반드시 막겠다”고 밝혔다.
조직화한 이들 단체의 영향력은 선거 때 ‘표’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부와 정치권이 공유서비스 규제에 과감히 손을 댈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회에는 택시업계 요구를 반영한 법안이 두 건 발의돼 있다.
이찬열 바른미래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은 카풀을 부분적으로 허용하는 ‘출퇴근시간’ 규정을 오전 7~9시, 오후 6~8시로 명시했다. 황주홍 민주평화당 의원의 같은 법 개정안은 출퇴근시간 카풀까지 불가능하도록 했다. 모두 승차공유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의 출현을 원천 봉쇄하는 법안으로 꼽힌다. 부산·강원·제주에서 숙박공유를 허용하는 내용의 ‘규제프리존’ 법안은 수년째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
공유경제 스타트업과 기존 사업자 간 충돌은 해외에서도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승차공유 서비스를 둘러싼 갈등을 중재하려는 노력을 소홀히 한 채 단속 중심의 소극적 행정을 편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반면 신산업 육성 못지않게 면허제인 택시산업의 보호·관리 역시 공무원들의 책무인데, 일방적으로만 비난받는 건 억울하다는 정부 측 반론도 나온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