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훼손되고 주변엔 쓰레기…'공공조형물 지정 통한 체계적 관리' 목소리
전국 '평화의 소녀상' 102개… 화려한 제막식 끝나면 무방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해마다 늘고 있지만, 소녀상을 관리하는 데는 미숙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등에 따르면 2011년 12월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소녀상이 세워진 이후 전국에 세워진 소녀상은 현재까지 102개에 이른다.

2015년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전국에 소녀상 건립 바람이 불면서 그 숫자가 빠르게 늘었다.

서울에만 16개 소녀상이 자리하고 있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모금으로 세워지는 소녀상은 통상 지역별로 발족한 건립추진위원회가 제막부터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담당한다.

제막식 이후에는 추진위를 중심으로 지역주민들이 이른바 '지킴이' 활동을 하지만 자원봉사 형식으로 운영되다 보니 관리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지난달 대구에서는 소녀상을 툭툭 치거나 쓰다듬는 등 훼손을 한 중학생의 영상이 SNS에 올라오면서 지탄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경북에 있는 소녀상 얼굴 2∼3곳에 날카로운 물체로 긁힌 것으로 보이는 3∼4㎝가량의 자국이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서울에서도 소녀상 주변에 쓰레기가 널려 있는 등 관리가 되지 않는 사례가 발견되곤 했다.

서울의 한 광장에 세워진 소녀상 주변에는 누군가 먹고 버린 아이스크림 막대와 음료수병, 휴지 뭉치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습이 종종 눈에 띈다.

다른 지역의 또 다른 소녀상 옆에는 담배꽁초가 나뒹구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전국 '평화의 소녀상' 102개… 화려한 제막식 끝나면 무방비
상황이 이렇다 보니 소녀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관리 책임을 지도록 '공공조형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후원하는 업체인 마리몬드가 소녀상의 공공조형물 지정을 위해 벌이고 있는 캠페인이 대표적이다.

지금까지 이 캠페인을 위한 서명 운동에 15만명이 참여했다.

덕분에 공공조형물로 지정된 소녀상은 올해 초 10개도 되지 않다가 최근 32개까지 늘어났다.

공공조형물로 지정되면 지자체가 폐쇄회로(CC)TV를 통해 24시간 감시를 할 수 있어 훼손과 같은 범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파손된 곳이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정기점검과 소녀상 주변 환경정비 등도 가능해진다.

마리몬드 관계자는 "간혹 소녀상 훼손 사건이 벌어질 뿐만 아니라 청소나 관리가 전혀 안 되고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며 "소녀상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잘 관리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