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개입 의혹' 첫 압수수색…현직판사는 모두 영장기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지만 사건에 연루된 의혹을 받는 현직 판사들 압수수색 영장은 이번에도 전부 기각됐다.
문 전 판사는 자신에게 향응 등을 제공한 정씨가 조현오 전 경찰청장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로 기소되자 2016년 해당 사건을 심리하는 항소심 재판부의 심증을 빼내는 등 재판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검찰은 법원행정처가 이보다 앞서 문 전 판사의 비위 의혹을 검찰에서 통보받고도 구두경고 이외에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은 경위를 수사 중이다. 법원행정처가 문 전 판사의 재판개입 의혹을 덮기 위해 일선 재판에 직접 관여한 정황도 포착했다.
검찰은 실제 정씨 재판이 문건 내용대로 진행된 점으로 미뤄 재판개입이 실행된 것으로 보고 있다. 법원행정처가 현기환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과 문 전 판사, 정씨의 친분을 이용해 상고법원 설치를 관철하려고 문 전 판사 관련 의혹을 덮은 것이 아닌지를 의심하고 있다.
서울중앙지법 허경호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그러나 당시 정씨 재판을 담당한 현직 판사들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은 전부 기각했다.
허 부장판사는 "주거지와 사무실 등 압수수색은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고 범죄혐의 성격이나 대상자에 대한 임의수사 시행 여부 등에 비춰 압수수색의 필요성과 상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점도 기각 사유로 들었다.
검찰은 허 부장판사가 사실상 재판개입은 없었다는 판단을 미리 내리고 현직 판사들 압수수색 영장을 기각했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법원은 지난달 말에도 문 전 판사와 법원행정처 윤리감사관실 등지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기각한 바 있다. 검찰은 이후 현 전 수석과 문건을 작성한 당시 윤리감사관실 심의관을 소환해 사실관계를 확인해 압수수색 영장을 재청구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