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 차별화 된 제품 개발이 성패 가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et"s Study 사회적 기업 (3)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일자리 및 사회 서비스 제공, 도시재생, 환경문제 해결 등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 판매를 통해 획득한 경제적 가치를 도구로 활용한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경영이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재투자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말한다. 일반 영리기업 경영과 사회적 기업 경영은 사업기획(전략), 생산, 마케팅, 인사·조직관리, 재무관리 등 기능적 분야에서 조금씩 차이가 난다.
사회적기업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한국 사회적 기업의 3년 평균 생존율은 75.4%다. 일반기업의 38.8%와 비교하면 훨씬 높다. 이는 인증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 정책 및 지원 제도가 가장 잘 정비된 국가 1위(톰슨로이터 재단, 2016년)로 선정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초기 정부 정책의 초점이 인건비 지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기업의 생존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기업 경영은 기업의 발달 단계상 성장과 안정·성숙기로의 진입 측면에 중심을 두고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회적 기업은 내외부 환경 분석과 시장조사를 통해 기업이 해결하려는 구체적인 사회문제를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창업자(이를 ‘사회적 기업가’라고 부른다)가 자신의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비즈니스 모델화해 사업을 영위한다. 이는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이란 목적을 달성하려는 기업의 전략 측면이다.
사회적 서비스 제품 만들어 차별화
전략의 틀이 정해지면 이를 구체적으로 수행할 제반 기능에 관한 하부 전략이 필요하다. 기업 제품(서비스) 전략에서 변하지 않는 두 가지 영역은 가격 경쟁력과 제품 차별화다. 이는 사회적 기업의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사회적 기업 제품이 시장의 경쟁기업 것과 비슷하다면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해야 하는데, 이는 일반 기업의 가격정책과 동일하다. 단순히 사회적 기업의 선의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영역으로 사회적 기업 성장에 필수적 요소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가치 제공을 제품화해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고 있으므로 제품 차별화에 경쟁력이 있다. 사회적 서비스라는 제품은 다른 영리기업이 제공하기 어려운 사회적 기업의 고유 영역이다. 다분히 블루오션 성격을 지닌다. 더욱이 정부, 지방자치단체, 대기업 및 동종 사회적 기업의 지원과 협업이 이뤄지는 우호적인 생태계가 조성돼 있어 차별화된 제품의 적정한 가격은 열악한 수요계층의 구매력에도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분야다.
기업이 차별적인 제품(서비스)으로 성장하려면 두 가지 자원이 더 필요하다. 경제학에서 얘기하는 노동(인력)과 자본이다. 사회적 기업의 인력풀은 사회적 기업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과 함께 성장한다. 필자가 2018년을 한국 사회적 기업(경제) 2.0 시대로의 진입 연도라고 명명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회적 기업의 생존기(사회적 기업 1.0 시대)를 거쳐 성장기로 진입하려면 사회적 경제에 관한 법률 등 제도 보완(사회적 경제 3법), 사회적 기업가정신을 비롯한 대학과 민간의 교육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인식과 교육으로 무장한 우수 인력을 사회적 기업으로 유입하기 위해 초기에는 교육과 고용에 대한 정부의 인센티브 지원제도가 필요한 이유다. 한국 사회적 기업의 특징인 경영자, 주주, 종업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중요시되는 지배구조는 기업 성장을 위해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조정돼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하려면 영업수익 늘려야
마지막으로 필요한 영역이 사회적 기업의 성장 자금을 조달하는 재무전략이다. 사회적 기업은 아직 성장기에 접어들지 못하고 있으므로 기존 기업평가방식에 따른 금융기관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기업은 정부 지원, 제품 판매 등 영업활동에 따른 수익, 대기업 등 민간의 기부금을 재원으로 하는 특징이 있지만 이를 통한 자금 조달이 사회적 기업의 성장을 지속가능하게 하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금 조달 측면에서 사회적 기업의 성장이란 정부 지원과 민간 기부금의 비율을 축소하고 영업활동에 따른 수익의 비율을 높여가는 데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미 일반기업과 다른 사회적 기업 신용평가방식을 개발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 전용 펀드, 사회적 가치 실현에 따른 인센티브 지원제도 등 다양한 방식의 사회적 기업 성장 지원 재원을 마련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 기업에 벤처기업과 같은 수준의 지원을 제공하려는 노력으로서, ‘소셜벤처’로서의 사회적 기업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일반 기업과 설립 목적 및 운영 방식이 다르다. 그러나 기업으로서 성장하려는 것은 같다. 비즈니스 모델, 기업 운영전략, 생산, 마케팅, 인사, 조직 구성 및 자금 조달 등 모든 사업부문은 성공한 벤처기업의 벤치마킹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돼야만 사회적 기업의 성장이 지속가능해질 것이다. 기술혁신 벤처기업의 성장을 통해 세계 경제가 발전하듯이 소셜벤처의 활성화가 한국 경제의 성장동력을 높이는 계기가 돼야 한다.
정영천 < 한양대 교수 >
사회적기업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한국 사회적 기업의 3년 평균 생존율은 75.4%다. 일반기업의 38.8%와 비교하면 훨씬 높다. 이는 인증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 정책 및 지원 제도가 가장 잘 정비된 국가 1위(톰슨로이터 재단, 2016년)로 선정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초기 정부 정책의 초점이 인건비 지원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기업의 생존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기업 경영은 기업의 발달 단계상 성장과 안정·성숙기로의 진입 측면에 중심을 두고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회적 기업은 내외부 환경 분석과 시장조사를 통해 기업이 해결하려는 구체적인 사회문제를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창업자(이를 ‘사회적 기업가’라고 부른다)가 자신의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비즈니스 모델화해 사업을 영위한다. 이는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이란 목적을 달성하려는 기업의 전략 측면이다.
사회적 서비스 제품 만들어 차별화
전략의 틀이 정해지면 이를 구체적으로 수행할 제반 기능에 관한 하부 전략이 필요하다. 기업 제품(서비스) 전략에서 변하지 않는 두 가지 영역은 가격 경쟁력과 제품 차별화다. 이는 사회적 기업의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사회적 기업 제품이 시장의 경쟁기업 것과 비슷하다면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해야 하는데, 이는 일반 기업의 가격정책과 동일하다. 단순히 사회적 기업의 선의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영역으로 사회적 기업 성장에 필수적 요소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가치 제공을 제품화해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고 있으므로 제품 차별화에 경쟁력이 있다. 사회적 서비스라는 제품은 다른 영리기업이 제공하기 어려운 사회적 기업의 고유 영역이다. 다분히 블루오션 성격을 지닌다. 더욱이 정부, 지방자치단체, 대기업 및 동종 사회적 기업의 지원과 협업이 이뤄지는 우호적인 생태계가 조성돼 있어 차별화된 제품의 적정한 가격은 열악한 수요계층의 구매력에도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분야다.
기업이 차별적인 제품(서비스)으로 성장하려면 두 가지 자원이 더 필요하다. 경제학에서 얘기하는 노동(인력)과 자본이다. 사회적 기업의 인력풀은 사회적 기업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과 함께 성장한다. 필자가 2018년을 한국 사회적 기업(경제) 2.0 시대로의 진입 연도라고 명명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회적 기업의 생존기(사회적 기업 1.0 시대)를 거쳐 성장기로 진입하려면 사회적 경제에 관한 법률 등 제도 보완(사회적 경제 3법), 사회적 기업가정신을 비롯한 대학과 민간의 교육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인식과 교육으로 무장한 우수 인력을 사회적 기업으로 유입하기 위해 초기에는 교육과 고용에 대한 정부의 인센티브 지원제도가 필요한 이유다. 한국 사회적 기업의 특징인 경영자, 주주, 종업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중요시되는 지배구조는 기업 성장을 위해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조정돼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하려면 영업수익 늘려야
마지막으로 필요한 영역이 사회적 기업의 성장 자금을 조달하는 재무전략이다. 사회적 기업은 아직 성장기에 접어들지 못하고 있으므로 기존 기업평가방식에 따른 금융기관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기업은 정부 지원, 제품 판매 등 영업활동에 따른 수익, 대기업 등 민간의 기부금을 재원으로 하는 특징이 있지만 이를 통한 자금 조달이 사회적 기업의 성장을 지속가능하게 하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금 조달 측면에서 사회적 기업의 성장이란 정부 지원과 민간 기부금의 비율을 축소하고 영업활동에 따른 수익의 비율을 높여가는 데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미 일반기업과 다른 사회적 기업 신용평가방식을 개발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 전용 펀드, 사회적 가치 실현에 따른 인센티브 지원제도 등 다양한 방식의 사회적 기업 성장 지원 재원을 마련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 기업에 벤처기업과 같은 수준의 지원을 제공하려는 노력으로서, ‘소셜벤처’로서의 사회적 기업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일반 기업과 설립 목적 및 운영 방식이 다르다. 그러나 기업으로서 성장하려는 것은 같다. 비즈니스 모델, 기업 운영전략, 생산, 마케팅, 인사, 조직 구성 및 자금 조달 등 모든 사업부문은 성공한 벤처기업의 벤치마킹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돼야만 사회적 기업의 성장이 지속가능해질 것이다. 기술혁신 벤처기업의 성장을 통해 세계 경제가 발전하듯이 소셜벤처의 활성화가 한국 경제의 성장동력을 높이는 계기가 돼야 한다.
정영천 < 한양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