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를 찾아서 없애는 면역 치료, 감염성 간암·위암 치료에 더 효과적"
“한국은 일본과 함께 세계적으로도 간암 환자가 많은 나라로 꼽힙니다. 한국산 B형 간염 백신과 면역항암제가 개발됐을 정도로 치료제 개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죠. 수술이 어려운 환자라도 많은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희망을 가져야 합니다.”

이주호 분당차병원 간내과 교수(사진)는 “2008년 넥사바가 출시된 뒤 10여 년간 하나밖에 없었던 간암 치료제가 스티바가 등 5개로 늘었다”며 “면역세포를 활용한 임상 연구가 활발해지면 많은 환자에게 새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면역세포를 활용해 암을 치료하는 의사다. 첨단연구암센터 내 종양내과 의료진과 함께 면역조절 항암제와 종양 면역 치료제 임상연구를 하고 있다. NK세포 치료법도 개발하고 있다.

간암은 간세포에 악성 종양이 생기는 것이다. 매년 세계 60만 명이 간암 환자로 진단받는데 한국과 일본, 중국, 아프리카 등에 환자가 많다. B형, C형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가 많기 때문이다. 2015년 기준 국내 의료기관에서 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1만5757명이다. 사망자는 폐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으며 40~50대 남성은 사망 원인 1위가 간암이었다.

간암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술로 암 덩어리를 잘라내는 것이다. 크기가 5㎝ 미만인 간암 환자의 2년 생존율은 80%다. 5㎝ 이상이면 2년 생존율이 40%로 내려간다. 환자 대부분이 증상이 없고 간기능 검사에서도 정상 소견을 받는 경우가 많다 보니 10㎝ 이상으로 커졌을 때 발견되는 일이 흔하다. 간암 환자의 간을 없애고 다른 사람의 간을 이식하는 수술도 활용된다. 그러나 이식한 뒤 바이러스성 간염이나 종양 재발 등의 문제가 생길 위험이 있어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이 교수는 “간암 진단을 했을 때 간 절제술이나 이식 등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환자가 전체의 70~90% 정도를 차지한다”며 “이때는 고주파 열치료술 등 국소 치료술, 경동맥 화학색전술, 체외 방사선치료 등을 시도한다”고 했다.

면역 치료도 많이 활용되면서 간암 환자들의 생존 희망을 높이고 있다. 몸속 면역세포는 바이러스, 세균 등 외부 물질이나 암처럼 변형된 세포를 찾아 없앤다. 매일 몸속에서 5000~1만 개의 암세포가 나와도 암이 생기지 않는 배경이다. 이 같은 면역 체계가 무너지면 암 덩어리가 커진다.

면역세포 치료는 이 같은 면역 체계를 정상에 가깝게 회복해주는 것이다. BMS의 옵디보 등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을 피하는 스위치를 찾아 꺼주는 원리다. GS녹십자셀의 이뮨셀-엘씨는 암을 공격하는 T세포를 몸 밖에서 배양해 넣어주는 방식이다.

수지상세포는 암세포를 인지해 면역시스템에 알린다. 이 정보에 따라 B세포와 T세포가 공격한다. NK세포는 이 같은 신호작용이 일어나는 사이에 암세포를 선별해 먼저 공격한다. 이 교수는 “B형 간염 바이러스로 생기는 간암, 헬리코박터균에 의한 위암 등 감염성 바이러스·세균 때문에 생기는 암 치료에 면역세포 치료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그는 “항암면역치료가 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