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세계 3대 신용평가사가 터키 국가신용등급을 일제히 강등시켰는데요. 앞으로 터키 국채는 정크 본드, 즉 쓰레기 취급을 받게 됩니다. 이럼에 따라 터키 금융위기가 더 악화될 것이라는 시각과 함께 터키에 이어 어떤 국가가 신용등급이 떨어질지 관심이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문제를 긴급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는데요.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서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마침내 세계 3대 평가사들이 터키 국가신용등급을 일제히 강등시켰는데요. 그 상황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신용등급, 금융위기 전개과정 중 가장 중요

-피치, 터키 신용등급 BB+ → BB 하향 조정

-S&P, 터키 신용등급 BB- → B+ 한단계 하향

-무디스, 터키 신용등급 Ba2 → Ba3로 추락시켜

-조정 이후 BB, B+, Ba3는 모두 정크본드 단계

왜 세계 3대 평가사들이 터키 국가신용등급을 정크 본드 수준으로 강등시킨 것입니까?

-3대 평가사, 네 가지 기준으로 신용등급 평가

-지정학적 위험, 거시위험, 재무위험, 산업위험

-트럼프 정부와의 갈등으로 지정학적 위험 증대

-거시경제 위험, 전형적인 스테그플레이션 진입

-금융시장 접근도 하락, 재무와 산업위험 증대

터키 중앙은행을 비롯한 터키 정책당국의 대응수단이 없는 것도 3대 평가사들이 신용등급을 추락시킨 요인이지 않습니까?

-에르도안 대통령, 터키 중앙은행 사실상 장악

-터키 중앙은행, 금리인상->자금이탈방지 초점

-정책금리 인상과 외환시장 개입, 미봉책 불과

-해외부채 4667억 달러, GDP대비 55%에 달해

-금리인상과 달러 강세, 이자와 환차손 악순환

터키 국가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떨어짐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접근도가 사실상 막히지 않았습니까?

-국가신용등급, 투자 ‘적격’과 ‘부적격’ 두 단계

-터키 등급, 투자 부적격으로 국채 ‘정크 본드’

-터키 국채, 쓰레기 취급당해 국제투자자 외면

-카타르 긴급지원만으로는 금융위기 해결 한계

-최후 안전변, IMF 구제금융 수혈만이 살 길

단도직입적으로 터키가 마지막 살 길인 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면 받을 수 있습니까?

-미국, IMF 최대 쿼터국으로 영향력 절대 우위

-에르도안 대통령, 이란 경제제재 협조 공식 거부

-오히려 미국보다 높은 보복관세 부과 정면대결

-트럼프 협상방식, 굴복하면 IMF 구제금융 수혈

-구제금융 회수율 제고 목적 강력 구조조정 요구

터키에 이어 국가신용등급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어떤 국가가 되느냐도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지 않습니까?

-달러 부채, 상환과 외화조달능력 제고 최선

-신흥국, 금리인상과 환시개입 등 대증적 방법

-IIF, 신흥국 달러 부채 2조 7000억달러 발표

-올해 2180억$, 19∼25년 매년 4000억$ 상환

-고위험국: 아르헨티나·터키·남아공·베네수엘라

-준위험국: 멕시코·콜롬비아·인니·브라질·인도

우리나라의 대외위상도 갈수록 떨어지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 국가신용등급은 떨어질 가능성이 없습니까?

-2016년부터 국가신용등급 정체된 상황

-같은 해 8월 S&P 상향 조정이 마지막

-국가신용등급 뿐만 아니라 전망도 정체

-MSCI,, 2008년부터 선진국 watchlist

-15년 연례점검, 선진국 예비명단 탈락

금융위기 조짐이 높아지는 다른 신흥국과의 차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우리 신용등급을 끌어 올려야 하지 않습니까?

-4대 기준으로 봐 ‘상향’보다 ‘하향’ 여지 커

-지정학적 위험, 남북 관계 악화되면 큰 일

-거시경제 위험, 세금감면 등으로 경기부양

-산업위험, 부진한 4차 산업 집중할 필요

-재무위험, 민간부채 줄이는데 최우선 순위

-한국 경제 IR 활동, 의문사항 솔직히 밝혀야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