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가 호황이지만 경기 정점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세금 감면 및 투자 활성화 정책과 상관없이 1~2년 안에 호황이 끝날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호황이 장기간 지속된다는 사실 자체가 불안을 키우는 한 요인이다.

미국경제연구소(NBER)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6월 바닥을 찍은 뒤 9년 넘게 확장 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역사상 두 번째로 긴 호황이다. 호황이 내년 7월까지 지속되면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 역사상 최장기 호황 기록(120개월)을 깨게 된다. 이 때문에 경기확장 국면의 막바지에 다다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의 위험 요인으로 △막대한 재정적자 △금리인상 △무역전쟁 등을 꼽았다. 백악관 행정관리예산국은 내년 미국의 재정적자가 1조1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2월 내놓은 전망치 9840억달러보다 1100억달러 넘게 많은 규모다.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로 줄어든 세수가 재정수지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상반기 법인세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감소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정책이 기업 투자를 촉진해 경제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재정적자 확대라는 부작용도 낳은 것이다. 미국 의회 전문매체 더힐은 “재정적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경기가 침체되면 부양책을 쓸 여력이 줄어든다”고 지적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인상 속도도 변수다. Fed는 올해 3월과 6월 각각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다. 연말까지 두 차례 더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금리가 상승하면 개인과 기업의 대출이자 부담이 커져 소비와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맥킨지에 따르면 미국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 규모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16%에서 25% 수준으로 불어났다.

미국이 중국 등과 벌이고 있는 무역전쟁은 글로벌 교역을 줄이고 외국 기업의 미국 내 투자를 위축시켜 미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상당수 전문가는 미국 경제가 2020년께 호황을 끝내고 침체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지난 5월 전문가 6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58.8%가 2020년 호황이 끝날 것이라고 답했다.

경기침체를 논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반론도 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미국 경제가 2020년부터 침체될 것이라는 주장은 다소 성급하다”고 밝혔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