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도 폭등… 59㎡ 10억대, 용산 등 곳곳에서 최고價 행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의도·용산 통합 개발할 것"
박원순 시장 발언이 기름 부어
박원순 시장 발언이 기름 부어
집값 과열 양상이 서울 전역으로 퍼지면서 강북권 아파트의 가격 상승세도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강북 도심에서는 전용면적 59㎡ 아파트가격마저 속속 10억원을 돌파하고 있다. 북아현동 ‘e편한세상신촌2단지’는 지난 6월 10억9500만원에 거래되며 10억원대에 안착했다. 이촌동에선 ‘강촌아파트’가 10억8000만원에 손바뀜했다. 준(準)강남권인 한남동 ‘한남더힐’은 3월 19억원에 실거래됐다. 전용 84㎡에선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가 5월 21억5000만원에 손바뀜했다. 강북 지역에서 전용 84㎡가 20억원을 넘어선 건 처음이다. 지금은 24억원을 호가한다.
전문가들은 박원순 서울시장의 지난달 10일 여의도·용산 개발 발언이 가뜩이나 불안한 강북 집값을 더 과열시키는 ‘불쏘시개’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여기에 지난 19일 박 시장이 강남·북 균형개발전략까지 내놓으면서 강북 상승세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추세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용산구 집값은 주간 단위로 0.29% 오르며 서울에서 가장 많이 상승했다. 이어 영등포구(0.28%), 양천(0.27%), 마포(0.25%), 은평(0.22%), 동작(0.21%) 중구(0.21%), 강북(0.20%) 등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초 대비 이달 17일까지 마포(14.3%), 성동(14.26%), 동작(13.8%), 서대문(13.14%), 동대문(12.4%), 관악(11.70%), 중구(11.41%) 등 7개 구의 집값 상승률은 강남3구(11.20%)를 뛰어넘었다.
강북의 상승세에 불이 붙으면서 사상 최고가 행진도 잇따르고 있다. 용산구 이촌동 한가람아파트 전용 59㎡는 지난 1일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6월 최고가(10억8500만원)를 한 달 만에 갈아치웠다. 여의도는 매물 품귀 현상이 한 달째 이어지고 있다. 여의도 J공인 관계자는 “여의도 전체에 거래 가능한 매물이 없다고 보면 된다”며 “지난달 중순 11억5000만원에 팔린 대교아파트 전용 95㎡ 매물은 현재 13억원을 호가한다”고 말했다. 변방으로 취급받던 강북구에서도 미아동 ‘래미안트리베라1차’ 전용 84㎡가 이달 6억5000만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를 썼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비강남, 비고가, 비재건축 등 ‘3비(非)’를 중심으로 격차 메우기가 본격화되고 있다”며 “연이은 개발 계획 발표에 집값이 계속 오를 거란 집단 심리가 짙어지면서 상승세가 이어지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
전문가들은 박원순 서울시장의 지난달 10일 여의도·용산 개발 발언이 가뜩이나 불안한 강북 집값을 더 과열시키는 ‘불쏘시개’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여기에 지난 19일 박 시장이 강남·북 균형개발전략까지 내놓으면서 강북 상승세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추세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용산구 집값은 주간 단위로 0.29% 오르며 서울에서 가장 많이 상승했다. 이어 영등포구(0.28%), 양천(0.27%), 마포(0.25%), 은평(0.22%), 동작(0.21%) 중구(0.21%), 강북(0.20%) 등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초 대비 이달 17일까지 마포(14.3%), 성동(14.26%), 동작(13.8%), 서대문(13.14%), 동대문(12.4%), 관악(11.70%), 중구(11.41%) 등 7개 구의 집값 상승률은 강남3구(11.20%)를 뛰어넘었다.
강북의 상승세에 불이 붙으면서 사상 최고가 행진도 잇따르고 있다. 용산구 이촌동 한가람아파트 전용 59㎡는 지난 1일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6월 최고가(10억8500만원)를 한 달 만에 갈아치웠다. 여의도는 매물 품귀 현상이 한 달째 이어지고 있다. 여의도 J공인 관계자는 “여의도 전체에 거래 가능한 매물이 없다고 보면 된다”며 “지난달 중순 11억5000만원에 팔린 대교아파트 전용 95㎡ 매물은 현재 13억원을 호가한다”고 말했다. 변방으로 취급받던 강북구에서도 미아동 ‘래미안트리베라1차’ 전용 84㎡가 이달 6억5000만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를 썼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비강남, 비고가, 비재건축 등 ‘3비(非)’를 중심으로 격차 메우기가 본격화되고 있다”며 “연이은 개발 계획 발표에 집값이 계속 오를 거란 집단 심리가 짙어지면서 상승세가 이어지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