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에서 가장 오래되고 두꺼운 '마지막 보루' 해빙도 붕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그린란드 북부 해안-해빙 사이 바닷물 드러나
북극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두꺼워 해빙(海氷)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지던 곳에서마저 해빙 붕괴가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그린란드 북부 해안에서 지난 2월에 이어 이달 초에도 기온 상승과 따뜻한 바람의 영향으로 해빙이 붕괴했다.
이 해빙들은 바람을 타고 1970년대 위성을 이용한 기록이 시작된 이래 해안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나갔다.
신문은 이전에는 발생하지 않던 현상이 두 차례나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 지역은 지구온난화로 해빙이 붕괴하더라도 가장 늦게 무너질 것이라는 의미에서 최근까지도 "마지막 해빙 지대"로 불리던 곳이다.
그린란드 본섬 최북단 모리스 재섭 곶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2월 기온은 보통 영하 20도 이상 오르지 않지만 올해 초에는 영상을 기록한 날이 열흘에 달했다.
또 이달 초에는 기온이 최고 17도를 기록하고 11노트에 달하는 강한 남풍마저 가세해 해빙 붕괴를 가져왔다.
덴마크기상연구소 기상학자 루스 모트람은 가디언과의 회견에서 "그린란드 북부해안의 거의 모든 얼음이 깨지고 부서지면서 더 많이 움직이고 있다"면서 "북부 해안의 바다가 드러난 것은 이례적"이라고 했다.
그린란드 북부 해안은 해류의 영향으로 북극 주변의 유빙이 흘러들어 쌓이는 곳이다.
평균적으로 두께가 4m가 넘고, 20m 이상으로 쌓이기도 한다.
이런 두께의 해빙은 쉽게 움직이지 않지만 지난 2월과 이달 초에는 다른 상황이 펼쳐진 것이다.
미국국립설빙데이터센터의 수석연구원 월터 마이어는 "얼음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은 북극에서 가장 추운 곳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면서 "이는 북극 해빙과 기후의 변화를 극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했다.
노르웨이기상연구소 과학자 토마 라베르뉴는 그린란드 북부 해안 수백㎞에 걸쳐 흰 얼음 사이에 파란 바닷물이 들어찬 위성 사진을 리트윗하면서 "무섭다"고 했다.
그는 떨어져 나간 해빙이 프람이나 네어스 해협을 거쳐 남쪽의 더 따뜻한 바다로 흘러들어 더 쉽게 녹게 될 것으로 봤다.
/연합뉴스
21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그린란드 북부 해안에서 지난 2월에 이어 이달 초에도 기온 상승과 따뜻한 바람의 영향으로 해빙이 붕괴했다.
이 해빙들은 바람을 타고 1970년대 위성을 이용한 기록이 시작된 이래 해안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나갔다.
신문은 이전에는 발생하지 않던 현상이 두 차례나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 지역은 지구온난화로 해빙이 붕괴하더라도 가장 늦게 무너질 것이라는 의미에서 최근까지도 "마지막 해빙 지대"로 불리던 곳이다.
그린란드 본섬 최북단 모리스 재섭 곶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2월 기온은 보통 영하 20도 이상 오르지 않지만 올해 초에는 영상을 기록한 날이 열흘에 달했다.
또 이달 초에는 기온이 최고 17도를 기록하고 11노트에 달하는 강한 남풍마저 가세해 해빙 붕괴를 가져왔다.
덴마크기상연구소 기상학자 루스 모트람은 가디언과의 회견에서 "그린란드 북부해안의 거의 모든 얼음이 깨지고 부서지면서 더 많이 움직이고 있다"면서 "북부 해안의 바다가 드러난 것은 이례적"이라고 했다.
그린란드 북부 해안은 해류의 영향으로 북극 주변의 유빙이 흘러들어 쌓이는 곳이다.
평균적으로 두께가 4m가 넘고, 20m 이상으로 쌓이기도 한다.
이런 두께의 해빙은 쉽게 움직이지 않지만 지난 2월과 이달 초에는 다른 상황이 펼쳐진 것이다.
미국국립설빙데이터센터의 수석연구원 월터 마이어는 "얼음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은 북극에서 가장 추운 곳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면서 "이는 북극 해빙과 기후의 변화를 극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했다.
노르웨이기상연구소 과학자 토마 라베르뉴는 그린란드 북부 해안 수백㎞에 걸쳐 흰 얼음 사이에 파란 바닷물이 들어찬 위성 사진을 리트윗하면서 "무섭다"고 했다.
그는 떨어져 나간 해빙이 프람이나 네어스 해협을 거쳐 남쪽의 더 따뜻한 바다로 흘러들어 더 쉽게 녹게 될 것으로 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