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일본 기상청 태풍 예보가 우리보다 정확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루 전은 일본, 나흘 전은 한국이 정확…차이는 미미
"태풍 상륙 위치보다 강풍·강수 지역 분석 더 중요" 제19호 태풍 '솔릭'의 한반도 상륙을 앞두고 이동 경로에 관심이 쏠린다.
일부 네티즌은 "우리보다 일본 기상청의 예보가 더 정확하다"고 주장하면서 소셜미디어(SNS)에 일본 기상청의 솔릭 예상 이동 경로를 공유하고 있다.
23일 우리 기상청에 따르면 솔릭은 24일 새벽 충남에 인접한 전북 군산 인근으로 상륙한 뒤 내륙을 통과해 동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 기상청도 태풍이 진도 앞바다에 진입한 뒤 충청도, 강원도를 거쳐 동해 상으로 이동할 것으로 판단했다.
태풍이 한반도에 가까워지면서 예상 경로가 비슷해졌지만 전날만 해도 우리와 일본 기상청은 상륙 지점을 각각 충남 서해안과 인천으로 예보하는 등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에 일본 기상청은 한때 국내 포털 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상위권을 차지하기도 했다. 한국 기상청과 일본 기상청,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의 최근 몇년간 태풍 예보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일본의 예보가 우리보다 더 정확하다는 주장에 근거가 없지는 않지만 아주 두드러진 차이가 나는 것도 아니었다.
실제 태풍 위치와 각 기관의 예보시간별 진로예보 오차 수준은 나라마다 수㎞ 정도 차이가 났을 뿐 대체로 비슷했다.
다만 최근 2년 통계를 보면 24∼48시간 전 일본의 예보 정확도가 한국이나 미국보다 높은 편이었고, 96시간이나 더 이전에는 한국의 예보 오차가 가장 작은 편이었다.
2017년의 발생한 27개 태풍에 대한 일본의 태풍 진로예보 오차는 24시간 기준 82㎞였고, 미국과 한국은 각각 85㎞, 93㎞였다.
96시간 기준에서는 한국이 313㎞로 가장 오차가 가장 적었고 미국이 322㎞, 일본이 335㎞였다.
26개 태풍이 발생한 2016년에는 24시간 기준 일본의 진로 예보 오차가 78㎞, 미국과 한국이 각각 82㎞, 84㎞였다.
96시간 기준으로 보면 역시 한국이 317㎞로 오차가 가장 작았고 일본과 미국이 각각 325㎞로 같았다.
이러한 경향은 2015년에도 거의 유사했다. 태풍의 반경이 통상 수백㎞인 점을 고려하면 예보와 실제 태풍 경로에 수십㎞ 정도의 오차가 있다고 해도 그 영향권을 분석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 기상본부장은 "태풍 예상 경로는 기온, 풍속 등 관측 데이터를 수리, 물리 방정식으로 만든 예보모델에 적용해 분석한다"면서 "이 모델이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고, 이를 바탕으로 한 예보관들의 판단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예상 경로에 차이가 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예상 경로와 실제 경로가 동쪽, 서쪽처럼 아예 방향까지 다르다면 문제겠지만 태풍의 중심이 예상보다 10∼20㎞ 서쪽으로 치우쳐 지나가는 정도라면 영향권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면서 "최근 한국과 일본, 양국 예보의 차이는 특별한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민간 기상업체 케이웨더의 반기성 센터장은 "예보 정확도는 통상 경제 수준을 따라가기 때문에 관련 인프라나 예산, 맨파워가 잘 갖춰진 일본이나 미국이 기상예보 강국인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 기상청의 태풍 예보도 이들 국가 못지않게 정확하고 신뢰할 만하다"고 말했다.
우리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 상륙 위치보다는 강풍이 어느 지역에 어느 정도 강도로 불고, 강수 지역은 얼마나 되는지와 같이 태풍의 영향권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정확한 예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태풍 상륙 위치보다 강풍·강수 지역 분석 더 중요" 제19호 태풍 '솔릭'의 한반도 상륙을 앞두고 이동 경로에 관심이 쏠린다.
일부 네티즌은 "우리보다 일본 기상청의 예보가 더 정확하다"고 주장하면서 소셜미디어(SNS)에 일본 기상청의 솔릭 예상 이동 경로를 공유하고 있다.
23일 우리 기상청에 따르면 솔릭은 24일 새벽 충남에 인접한 전북 군산 인근으로 상륙한 뒤 내륙을 통과해 동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 기상청도 태풍이 진도 앞바다에 진입한 뒤 충청도, 강원도를 거쳐 동해 상으로 이동할 것으로 판단했다.
태풍이 한반도에 가까워지면서 예상 경로가 비슷해졌지만 전날만 해도 우리와 일본 기상청은 상륙 지점을 각각 충남 서해안과 인천으로 예보하는 등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에 일본 기상청은 한때 국내 포털 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상위권을 차지하기도 했다. 한국 기상청과 일본 기상청,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의 최근 몇년간 태풍 예보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일본의 예보가 우리보다 더 정확하다는 주장에 근거가 없지는 않지만 아주 두드러진 차이가 나는 것도 아니었다.
실제 태풍 위치와 각 기관의 예보시간별 진로예보 오차 수준은 나라마다 수㎞ 정도 차이가 났을 뿐 대체로 비슷했다.
다만 최근 2년 통계를 보면 24∼48시간 전 일본의 예보 정확도가 한국이나 미국보다 높은 편이었고, 96시간이나 더 이전에는 한국의 예보 오차가 가장 작은 편이었다.
2017년의 발생한 27개 태풍에 대한 일본의 태풍 진로예보 오차는 24시간 기준 82㎞였고, 미국과 한국은 각각 85㎞, 93㎞였다.
96시간 기준에서는 한국이 313㎞로 가장 오차가 가장 적었고 미국이 322㎞, 일본이 335㎞였다.
26개 태풍이 발생한 2016년에는 24시간 기준 일본의 진로 예보 오차가 78㎞, 미국과 한국이 각각 82㎞, 84㎞였다.
96시간 기준으로 보면 역시 한국이 317㎞로 오차가 가장 작았고 일본과 미국이 각각 325㎞로 같았다.
이러한 경향은 2015년에도 거의 유사했다. 태풍의 반경이 통상 수백㎞인 점을 고려하면 예보와 실제 태풍 경로에 수십㎞ 정도의 오차가 있다고 해도 그 영향권을 분석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 기상본부장은 "태풍 예상 경로는 기온, 풍속 등 관측 데이터를 수리, 물리 방정식으로 만든 예보모델에 적용해 분석한다"면서 "이 모델이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고, 이를 바탕으로 한 예보관들의 판단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예상 경로에 차이가 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예상 경로와 실제 경로가 동쪽, 서쪽처럼 아예 방향까지 다르다면 문제겠지만 태풍의 중심이 예상보다 10∼20㎞ 서쪽으로 치우쳐 지나가는 정도라면 영향권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면서 "최근 한국과 일본, 양국 예보의 차이는 특별한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민간 기상업체 케이웨더의 반기성 센터장은 "예보 정확도는 통상 경제 수준을 따라가기 때문에 관련 인프라나 예산, 맨파워가 잘 갖춰진 일본이나 미국이 기상예보 강국인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 기상청의 태풍 예보도 이들 국가 못지않게 정확하고 신뢰할 만하다"고 말했다.
우리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 상륙 위치보다는 강풍이 어느 지역에 어느 정도 강도로 불고, 강수 지역은 얼마나 되는지와 같이 태풍의 영향권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정확한 예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